• 제목/요약/키워드: Trampling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8초

일본 홋카이도 다이세츠산 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 유형 및 요인 (Types and Factors of Trail Degradtion in Daisetsuzan National Park, Hokkaido, Northern Japan)

  • 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7-195
    • /
    • 2012
  • 일본 홋카이도의 다이세츠산 국립공원은 지형 조건상 삼림한계를 넘는 고산대가 광범위하며, 지표지질은 침식에 취약한 화산쇄설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등산 성수기와 융설기가 시기적으로 겹치므로 답압, 융설수, 서릿발에 의한 토양침식이 등산로를 따라 활발하게 일어난다. 특히 융설수에 의한 노면 세굴과 서릿발에 의한 측벽 후퇴가 결합하여 등산로 단면이 크게 확대될 수 있으며, 세굴로 인하여 걷기 불편해진 등산로를 벗어나 걸음으로써 노면분기도 빈번하게 일어난다. 비탈면 구간에서 발생한 토사는 등산로 아래쪽으로 흘러내려와 노면뿐 아니라 주변 초지까지 매몰시키며 2차적인 훼손을 일으키고 있다.

오대산 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Odaesan National Park)

  • 김용식;전승훈;강기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7-98
    • /
    • 1996
  • 1995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22일간 오대산 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바 87과, 277속, 435종, 68변종, 2아종 및 7품종 등 총 512종류(texa)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서 오대산 지역에는 85과, 255속, 389종, 61변종, 2아종 및 7품종 등 총 459종류(texa)와 소금강지역에는 60과, 115속, 138종, 12변종 및 1품종 등 총 151종류(texa)로 각각 조사되었다. 이 지역에서 조사된 식물 중 현재 환경부에서 한국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로 구분된 식물은 총 35종류(texa)였다. 이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는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대부분 등산로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히 약용 및 식용식물로 이용되고 있는 것들이 많아 인위적인 채취로 인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어서 앞으로 이들의 종 및 서식처 수준에서의 적극적인 보전대책의 수립이 요망된다.

  • PDF

인천 승기천의 하안지대에서 지형과 교란에 따른 외래식물의 분포와 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Exotic Plants with Geomorphology and Disturbance in the Riparian Zone of Seunggi Stream, Incheon)

  • 신동호;조강현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273-280
    • /
    • 2001
  • 인천 승기천의 하안지대에서 하천 지형과 교란 요인에 따른 외래식물의 식물상과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승기천의 전체 하안 회랑에서 총 53종의 외래식물이 발견되었다. 총종수에서 외래식물이 차지하는 백분율은 6개 조사지점에서 25∼33%의 범위이었고, 전체 하안지역에서 평균 24%이었다. 외래식물의 백분율은 교란에 따른 식물 침입에 대한 하안지대의 취약성을 반영하며, 하안 지대에서 생태계 기능의 허약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이용될 수 있었다. 승기천에서 외래식물은 하천의 횡적 구조에서 뚜렷한 분포 유형을 나타내지 않았다. 외래식물의 침입과 증식은 고수부지와 제방사면에서 다소 뚜렷하였다. 여러 교란 요인 중에서 농경과 답압이 외래식물 군집의 침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 PDF

인천 승기천에서 하안식생의 현황과 복원 방안 (Status of Riparian Vegetation and Implication for Restoration in the Seunggi Stream, Incheon)

  • 조강현;김자애;이효혜미;권오병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2-73
    • /
    • 2001
  • The riparian environments of urban streams in Korea have been disturbed through the channelization for flood control and artificial land use as well as water pollution and flow decrease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were investigated and an implication of stream restoration was discussed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the riparian area of the Seunggi stream in Incheon. Naturalized plants and ruderal plants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riparian area which was disturbed from cultivating, trampling, dumping etc. Submerged and floating hydrophytes were not found in the stream due to channelization and water pollution. Some halophytes were remained in downstream and reservoir after reclamation and embankment. The communities of Humulus japonicus, Panicum dichotomiflorum, Digitaria sanguinalis, Artemisia montana, Amaranthus retroflexus, and Aster pilosus were distributed in the disturbed area of bank slope and floodplain in the stream. As a natural potential vegetation, Phragmites australis in the wet meadow, Typha latifolia, Typha angustifolia, Oenanthe javanica, Persicaria thunbergii, and Penthorum chinense in the marsh, and Salix babylonica and Salix matsudana for. tortuosa in the woodland appeared in the floodplain. The topography in the stream played an important role on the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the Seunggi stream. Appropriate methods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riparian ecosystems must be planned on the basis of the actual vegetation in the disturbed urban stream.

  • PDF

GIS 및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북한산 국립공원 주변부의 추이대 탐지 (Detection of the ecotone Mt.Pukhansan National Park with GIS and remote sensing technologies)

  • 박종화;명수정;박영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91-102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산 국립공원 경계선 일대의 추이대를 탐지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추이대의 폭을 조사하고, 추이대의 폭과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1985, 1987, 1993년 5월 중순에 수신된 TM영상을 이용하여 계산한 정규식생지수(NDVI)를 도출하고, 버퍼링작업에 의하여 경계선으로 부터으 거리별 NDVI를 산출하여 추이대를 조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대상지의 추이대의 식생은 생물계절(phenology), 인접지역의 토지이용의 영향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1993년에는 1985년에 비해서 추이대의 폭이 약 2배로 증대되어 탐방객의 과도한 이용 등으로 인하여 식생 피해지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도시에서 다양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Activity in the Various Urban Soils)

  • 공학양;조강현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369-375
    • /
    • 2000
  • 도시에서 토양을 보존하고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도시 토양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이처럼 과도하게 관리되고 교란된 토양의 특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인천의 산림, 잔디밭, 가로수, 나지 및 포장 밑 토양에서 답압에 의한 견밀화에 의하여 토양 가밀도가 높았다. 또한 다양한 도시 토양에서 수분함량은 전원지 산림 토양에 비하여 적었고 지온은 높았다. 화학적으로는 도시 토양에서 pH가 중성에 가깝고 유기물 함량이 적었다. 도시 토양의 총세균수는 전원지 산림 토양의 단지 5∼50% 수준이었다. 단계식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토양 유기물함량이 총세균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선정되었다. 대부분의 도시 토양에서 탈수소효소 활성도는 전원지 산림 토양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아스팔트 포장 밑 토양에서는 낮았다 그러므로 견밀한 도시 토양에서 낮은 유기물함량이 물질 순환에 관여하는 미생물 수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었다.

  • PDF

논 잡초 멸종위기식물인 물고사리의 낙동강유역 자생지 최초보고 및 군락분류 (Habitat and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of Ceratopteris thalictroides, Endangered Plant Species on Paddy Field, in Nakdong River)

  • 최병기;이창우;허만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50-55
    • /
    • 2014
  • 본 연구는 멸종위기 II급 식물인 물고사리의 낙동강 유역권 분포와 자생지에 발달하고 있는 식물군락의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이루어졌다. 식물사회학적 연구는 Z.-M. 학파의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전통적 분류방법과 수리통계적 분류방법이 동시에 고려되었다. 물고사리우점군락은 둔치도 일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종조성에 의해 물고사리-흰꽃여뀌군락, 물고사리-밭뚝외풀군락, 물고사리-민구와말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락을 결정짓는 주요환경요소는 수분환경, 입지안정도, 답압의 영향, 인위적 관리에 의한 이차적 에너지 투입, 범람의 빈도 등인 것으로 밝혀졌다. 군락 구성종 가운데 물고사리의 상대기여도가 지배적인 고유식생형으로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주기적인 간섭에 적응되어 일년생식물의 구성비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와 같은 전통농법이 유지될 경우 자생지를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분포를 넓혀갈 것으로 판단되며, 군락과 서식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요구된다.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녹지의 평가기법 연구: 북한산 국립공원 주연부 탐지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Urban Open Spaces of Seoul with Remote Sensing: Detection of the Ecotone of the Mt. Pukhansan National Park)

  • 박종화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1-81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산 국립공원 경계선 일대의 추이대를 탐지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추이대의 폭을 조사하고, 시간경과에 따른 추이대의 폭의 변화여부를 조사하여 과도한 이용자의 집중과 주변부의 환경오염에 의한 추이대 식생의 피해 여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1985, 1987, 1993년 5월 중순에 수신된 TM영상을 이용하여 계산한 정규식생지수(NDVI)를 도출하 고, 버퍼링작업에 의하여 경계선으로 부터의 거리별 NDVI를 산출하여 추이대를 조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대상지의 추이대의 식생은 생물계절(phenology), 인접지역의 토지 이용의 영향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1993년에는 1985년에 비해서 추이대의 폭이 약 2배로 증 대되어 탐방객의 과도한 이용 등으로 인하여 공원경계부 인접한 식생 피해지역의 범위가 확대되 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Local and regional steppe vegetation palatability at grazing hotspot areas in Mongolia

  • Amartuvshin, Narantsetsegiin;Kim, Jaebeom;Cho, Nanghyun;Seo, Bumsuk;Kang, Sink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1호
    • /
    • pp.76-84
    • /
    • 2022
  • Background: Climate and livestock grazing are key agents in determining current Mongolian steppe vegetation communities. Together with plant coverage or biomass, palatability of steppe community is regarded as a useful indicator of grassland degradation, in particular, at grazing hotspots in arid and semi-arid grasslands.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hips between livestock grazing pressure and steppe vegetation palatability at three summer pastures with different aridity (dry, xeric, and mesic) and livestock numbers (1,100, 1,800, and 4,100 sheep units, respectively). At each site, it was surveyed coverage, biomass, and species composition of different palatability groups (i.e., palatable [P], impalatable [IP], and trampling-tolerant [TT]) along a 1-km transect from grazing hotspots (i.e., well) in every July from 2015 to 2018. Results: In results, total vegetation coverage increased with wetness, 7 times greater at mesic site than dry one in averages (33.1% vs. 4.5%); biomass was 3 times higher (47.1 g m-2 vs. 15.7 g m-2). Though P was the dominant palatability group, the importance of IP in total coverage increased with aridity from mesic (0.6%) to dry (40.2%) sites. Whereas, TT increased with livestock numbers across sites. Locally, IP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near the wells and its spatial range of occurrence becomes farther along the transects with aridity across sites from mesic (< 100 m) to dry (< 700 m from the well).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IP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are different at both local and regional scales, indicating that the palatability parameters are sensitive to discern balance between selective-grazing demand and climate-driven foraging supply in Mongolian rangelands.

Effect of forest restoration treatment on Abies holophylla growth and soil condition: Focusing on the Daegwallyeong alpine pastures

  • Ju-Eun Kim;Jeong-Hyeon Bae;So-Jin Kim;Ki-Hyung Park;Namin Koo;Won-Seok Kang;YuGyeong J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51권1호
    • /
    • pp.25-39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a method for restoring grasslands to forests in mountainous area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n area damaged by trampling due to construction activity and herding. Additionally, there were concerns of hindered tree growth due to the alpine region climate, characterized by the low temperatures, drying, and strong winds. Therefore, forest restoration treatments such as tillage, furrow, and shading were performed to improve growth conditions. From July 2021 to April 2023,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were monitored for each treatment plot, and changes in the initial growth and survival rate of Abies holophylla were investigated. Both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during the four seasons in the grassland-furrow treatment plot (p < 0.05). Compared to the grassland-control plot, the average soil temperature in winter was as high as 1.1℃, and the soil moisture in summer was as high as 20.3%. Additionally, the survival rate and relative growth rate were the largest in the grassland-furrow treatment plot. The survival rate was 87.5%, the relative growth rate in terms of height was 0.013, and the relative growth rate in terms of diameter at root collar was 0.023, indicating that furrow trea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survival and growth of seedl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rrow treatment may be an appropriate restoration method when implementing forest restoration projects in areas where tree growth is challen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