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in-bridge interaction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6초

교량과 분기기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raction between Viaduct and Turnout)

  • 양신추;한상철;김인재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689-694
    • /
    • 2006
  • Most of design parameters of Railway Structures are determined by the serviceability requirements, rather than the structural safety requirements. The serviceability requirements come from Ensuring of running safety and ride comfort of train, reduction of track maintenance working Track-Bridge interac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railway structures. In this study, a numerical method which precisely evaluate an axial force of rail and a rail expansion and contraction when turnout exist in succession on a CWR of bridge is developed.

차세대 고속철의 증속을 고려한 PSC 철도교 마찰 교량받침의 동적 거동 해석 (Dynamic Behavior Analysis of PSC Train Bridge Friction Bearings for Considering Next-generation High-speed Train)

  • 오순택;이성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39-4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차세대 고속철의 증가하는 주행속도에 따라 600 km/h 까지 10 km/h 간격으로 고속철 PSC 박스 연속교량의 교량받 침에 대한 동적거동을 수치해석하였다. 경부 고속철 구간의 40미터 단경간과 2경간 연속 PSC 박스교를 연구대상으로 프레임모형을 구성하였 으며, 38자유도의 관성질량 차량모형 및 교량과 궤도의 불규칙성을 포함한 상호작용력을 고려하였다. 주행속도별 교량받침의 종방향 변위와 누적이동거리와 변위속도를 산정하여 교량의 동적거동 추이분석과 비교하였다. 또한 마찰판의 내구성능평가를 위한 장기마찰시험 기준을 적 용하였다.

전단변형효과를 고려한 현수교의 교량-차량 상호작용 해석 (Bridge-Vehicle interaction Analysis of Suspension Bridges Considering the Effects of the Shear Deformation)

  • 김문영;임명훈;권순덕;김호경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8권6호통권40호
    • /
    • pp.1-11
    • /
    • 2004
  • 이전의 연구(1)에서는 해석적 및 수치적 방법을 사용하여 전단변형 및 회전관성효과를 고려하는 현수교의 수직진동에 대하여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이동하중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변형 및 회전관성 효과가 고려된 Hermitian 다항식을 사용하는 현수교요소를 이용하여 현수교의 수직진동에 대한 고유치 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이용한 현수교요소와 차량 및 열차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운동방정식을 유도한다. 이와 같이 모드중첩법을 이용하여 유도된 운동방정식을 수치적분방법으로 Newmark $\beta$ Method를 사용하여 동적해석을 수행하였다.

장경간 현수교의 고속열차 주행 시 운행한계기준 검토 (Running Safety of a Long Span Suspension Bridge under the Passage of a High Speed Train)

  • 김성일;김현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77-480
    • /
    • 2011
  • 장경간 케이블 교량은 과도한 변위 발생 등의 이유로 엄격한 안전성 및 사용성이 요구되는 철도교량에서는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즉, 철도교량으로서 요구되는 주행안전성과 승차감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열차 상호작용 해석을 수행하여 열차에서의 응답을 통해 교량 상을 주행하는 열차의 주행안전성 및 승차감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즉, 중앙경간 300m의 현수교를 주행하는 KTX 열차에 대하여 열차 내부의 가속도와 윤중감소율을 구해 평가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또한, 이동 열차하중과 지진하중이 동시에 작용할 경우를 고려한 교량/열차/지진 상호작용해석을 수행하여 지진 시의 응답을 평가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기술을 위한 고속철도상 Pre-Stressed Concrete(PSC) 교량받침의 누적수평이동거리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Accumulated Sliding Distance of Pre-Stressed Concrete (PSC) Bridge Bearing for High-Speed Railway for Ubiquitous Technology)

  • 오순택;이동준;이홍주;정신효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18
    • /
    • 2015
  • Numerical analysis of PSC box bridge bearings for high speed KTX train vehicles has been carried out as a virtual simulation for Ubiquitous Technology. Improved numerical models of bridge, vehicle and interaction between bridge and train are considered, where bending and torsional modes are provided, whereas the exist UIC code is applied by the simplified HL loading. Dynamic and static analysed results are compared to get Dynamic Amplification Factors (D. A. F.) for maximum deflections and bending stresses up to running speed of 500 km/h. Equation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D. A. F. is presented. Sliding distance of the bearings for various KTX running speeds is compared with maximum and accumulated distances by the dynamic behaviors of PSC box bridge. Dynamic and static simulated sliding distances of the bearings according to the KTX running speed are proved as a major parameter in spite of the specifications of AASHTO and EN1337-2 focused on the distance by temperature variations.

기존선 철도차량을 이용한 철도교의 상호작용해석 (Vehicle-Bridge Interaction Analysis of Railway Bridges by Using Conventional Trains)

  • 조은상;김희주;황원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A호
    • /
    • pp.31-4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차종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고, 차량과 교량의 연성 운동방정식을 구성하여 시간 단계별 직접해를 산정할 수 있는 수치해석기법을 제시하였다. 운동방정식의 해는 직접적분법인 Newmark ${\beta}$을 이용하여 해석 단계별로 구성된 유효강성행렬과 유효하중벡터를 바탕으로 정적평형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원리와 동일하게 산정하였다. 또한 해석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효강성행렬은 Skyline 법에 의해 재구성하였으며, Cholesky의 행렬 분해기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직접적인 역행렬 계산에서 야기되는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기존선 철도차량인 새마을 PMC 열차와 디젤 견인 무궁화 열차에 대한 3차원 정밀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고, 각 차량은 차체와 전 후방 대차에 각각 6자유도씩 고려하여 총 18자유도로 수치모델을 작성하였다. 교량은 3차원 공간뼈대 요소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고, 차륜과 레일 접촉면의 불규칙성은 미국의 FRA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직방향 및 횡방향틀림에 대한 PSD 함수를 이용하여 궤도틀림을 수치적으로 구현하였다. 제시된 수치해석 기법은 12 m, 18 m형 판형교의 실측결과를 이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실측 및 수치해석결과는 교량의 1차 휨 고유진동수의 2.0배를 기준으로 Low pass filtering 하였다.

차세대 고속철 주행속도를 대비한 교량받침의 장기마찰시험법 (A Long-Term Friction Test of Bridge Bearings Considering Running Speed of Next Generation Train)

  • 오순택;이동준;전성민;정신효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34-39
    • /
    • 2016
  • 경부 고속철 40 m 단경간 PSC 교량을 대상으로 38 자유도 KTX 동력차를 주행속도 500 km/h까지 12 단계 불규칙 궤도형상과 상호 작용력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차량의 윤축하중과 중심회전각을 평가하기 위하여 170 m 일반도상을 교량과 조합하여 횡압과 탈선계수 그리고 윤중감소율을 허용기준과 비교하였다. 단순교와 연속교의 교량받침 최대 변위와 누적이동거리를 주행속도별로 해석하였다. PTFE 마찰판과 DP-mate의 EN-1337-2 기준의 장기마찰시험을 수행하였다. 수행된 장기마찰시험은 차세대 고속철의 증가되는 주행속도를 고려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모드중첩법을 이용한 케이블지지교량의 3차원 교량-차량 상호작용 해석 (3D Bridge-Vehicle interaction Analysis of Cable-Supported Bridges Using Mode Superposition Method)

  • 이준석;임명훈;김문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5-272
    • /
    • 2005
  • For bridge-vehicle interaction analysis of cable-supported brides, the superposition method is applied based on the results of 3-dimensional free vibration analysis using General-purpose FEM Software. This study firstly performs the eigenvalue analysis for the free vertical and the torsional vibration of bridges using FEM analysis. Next the equations of motion considering interaction between bridges and vehicles/train are derived from mode superposition method. And then dynamic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Newmark numericial method. Finally through the numerical examples, the dynamic responses of cable-supported bridges by this study are presented and discussed.

  • PDF

철도교량 단부 궤도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횡단궤도시스템 적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Applying a Transition Track System to Improve Track Serviceability in Railway Bridge Deck Ends)

  • 임종일;송선옥;최정열;박용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207-216
    • /
    • 2013
  • 콘크리트궤도가 부설된 철도교량 단부의 궤도구성품(레일 및 체결구)에는 교량 단부회전에 의해 상향력 및 압축력과 같은 궤도-교량의 상호작용력이 작용하여 손상 및 성능저하가 유발된다. 이러한 교량의 휨거동에 기인한 단부 궤도의 상호작용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횡단궤도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입증하였다. 횡단궤도시스템의 구조안정성 검토를 위해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시간이력해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독일의 성능요구조건 및 관련기준과 비교하였다. 또한, 교량-궤도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시험체를 제작하여 실내시험을 수행하고 횡단궤도시스템의 적용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횡단궤도시스템의 정, 동적 구조안정성 및 횡단궤도 적용 후 교량 단부 궤도의 상호작용력(레일변위, 레일저부응력 및 체결구 응력)이 크게 저감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