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Meju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초

Changes in Microorganisms, Enzyme Activities, and Gas Formation by the Addition of Mustard Powder on Kochujang with Different Salt Concentration

  • Oh, Ji-Young;Kim, Yong-Suk;Shin, Dong-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98-302
    • /
    • 2006
  • Kochujang was fermented using hot red pepper, meju prepared with soybean and rice, and malt-digested syrup. To reduce salt content, mustard powder (1.2%, w/w) was added to Korean traditional kochujang with 4-10% salt,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enzyme activities, and gas formation in kochujang were evaluated during fermentation for 120 days at $25^{\circ}C$. Yeast numbers of all treatments maintained 2.43-2.86 log CFU/g up to 60 days fermentation, indicating salt concentration had no effect on yeast count. Activities of ${\alpha}$- and ${\beta}$-amylases, and neutral and acidic proteases of kochujang added with mustard powder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otal accumulative volume of gas produced during fermentation of kochujang without mustard powder (control group) was 5,892 mL/pack, but decreased to 34-99 mL/pack in low-salted kochujang (4 and 6% salt) added with mustard powder. Major gas produced was carbon dioxide (79-80%) with oxygen content less than 1.25%(v/v). Results indicate salt concentration of kochujang could be lowered up to 6-8% by addition of mustard powder without gas formation and quality alteration during distribution.

한국전통 식품의 원료인 메주와 누룩에서 분리된 접합균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gal Isolates of Mucorales Collected from Korean Home Made Mejus and Nuluks)

  • 유기원;성창근;이상선;유진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280-292
    • /
    • 1996
  • The fungal isolates of Mucorales, directly collected from Korean traditional raw materials of Nuruk (raw material for Korean rice wine) and Meju (raw material for Korean soysauc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Rhizopus oryzae purchased. The fungal isolates of Rhizopus, Mucor, and Absidia mostly identified as based on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s, were evaluated with the PCR-polymorphic bands. The PCR-polymorphic bands of the genomic DNA reacted with the primers of OPD series tenmer were various, but showed averaged 4 to 6 in the agarose-electrophoresis. The dissimilarity coefficient (DC) between two isolates were compared by the cluster analyses, dendrogams and polar ordinations. The isolates of R. oryzae known. showed several groupings within the lower value of DC and were divided to two groups of amylo-process and other fungi with other purposes. The isolates unidentified were identified by the DC made of this results. Taxonomy of these isolates made by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s were consistent with those resulted above in most case but not in all aspects. More works were needed with the isolates known for detail informations of Mucorales.

  • PDF

된장 제조를 위한 바로 사용 종균의 개발 (Development of Ready-to-use Starters for the Production of doenjang)

  • 이은진;허병석;이인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34-241
    • /
    • 2019
  • In Korea, traditional doenjang is manufactured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at home and by small-scale enterprises. Because this age-old process depends on natural inoculation of various microorganisms,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or maintain consistency in the final product quality across batches. Moreover, doenjang occasionally prepared by this method raises safety concerns related to aflatoxin, biogenic amine, and Bacillus cereus contamination. To develop starters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at home or in small industry settings for the manufacturing of safe and flavor-improved doenjang, autochthonous microbe starters were developed in dried forms as ready-to-use starters. Each starter powder prepared by heat- or freeze-drying methods remained stable even after 24-week storage. These ready- to-use starter powders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lab-scale fermentation for the production of safe and flavor-improved doenjang. We believe that these ready-to-use starter powders will benefit small-scale enterprises in the manufacturing of doenjang of good reproducible quality.

제조조건에 따른 한국전통간장의 색 특성에 관한 연구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Prepared Under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 전민선;손경희;채선희;박현경;전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2-3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메주의 종류와 숙성시간, 담금용기를 달리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제조한 간장에서 제조과정시 형성되는 색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유링미노산 함량은 맛난맛을 내는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과 함께 쓴맛을 제공하는 isoleucine과 leucine의 함량 또한 유리병에 담근 간장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므로 유리아미노산의 절대적인 함량차이만으로 유리병의 풍미를 높게 평가할 수는 없었다. 항아리에서 담근 간장보다 유리병에서 담근 간장의 전체적인 색변화를 나타내는 ΔE는 숙성시간에 따른 뚜렷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담금용기에 있어서 항아리보다 유리병에서 담근 간장의 색이 진한 경향을 나타냈다. 파장길이 42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메주의 종류에 관계없이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흡광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전통메주로 담근 간장군에서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항아리 간장의 흡광도가 유리병 간장에 비해 더 뚜렷하고 높은 증가 경향을 보였다. 400/500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숙성시간이 길어질수록 비율이 감소하였으나 유리병에 담근 간장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ΔA는 숙성시간이 증가할수록 변화가 적거나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숙성이 진행될수록 색이 진해지는 일관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항아리에서 담근 간장은 색변화가 뚜렷하지 않았다. 시료간장에 대한 UV-VIS spectra 측정한 결과 모든 간장 시료에서 숙성시간에 관계없이 235 nm 부근에서 최대 파장을 보였으며 180일 이후에 235 nm 부근과 410nm 부근의 두 부분에서 최대 파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410 nm 부근이 파장은 180일 이후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오늘날 주거형태 변화에 따라 담금용기를 항아리에 유리병으로 달리하여 보았을 때 맛과 향미, 색의 면에서 유리병에 담근 간장이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장유(醬油)의 색변화(色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lor Change of Soysauce)

  • 정구민;조성환;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200-205
    • /
    • 1981
  • 메주를 사용(使用)한 재래식(在來式)과, Koji를 사용(使用)한 개량식(改良式) 간장을 원료배합비(原料配合比)를 다르게 담그어 숙성중(熟成中) 환원당(還元糖), 전질소(全室素), 아미노태질소(態室素)의 성분변화(成分變化)와 흡광도(吸光度), 색도변화(色度變化)를 측정(測定)한 다음, 숙성후(熟成後) 가열(加熱)에 의(依)한 흡광도(吸崙度)와 색도변화(色度變化)를 측정(測定)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원당(還元精)의 함량(含量)은 재래식(在來式)에 비(比)하여 개량식(改良式) 간장이 더 많고 밀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을 수록 더 하였다. 전질소(全室素)와 아미노태질소(態室素)의 함량(含量)은 시간(時間)이 경과할수록 증가(增加)하였고, 콩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으면 이 함량(含量)도 많았으나 시료간(試料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숙성중(熟成中) 흡광도(吸光度)와 색도(色度)는 재래식(在來式) 간장의 경우 많이 증가(增加)하였으나 개량식(改良式) 간장은 별로 증가(增加)하지 않았다. 가열중(加熱中) 흡광도(吸光度)와 색도(色度)는 대체로 개량식(改良式) 간장이 재래식(在來式) 간장에 비(比)하여 더 증가(增加)하였으며 밀의 배합량(配合量)이 많은 구(區)일수록 증가량(增加量)도 컸다.

  • PDF

시판양조 및 재래식 조선간장으로부터 분리한 다당의 면역증강 활성 비교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ommercial Soy Sauce and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 박혜령;이문수;조선영;원혜진;이현순;이호;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8-234
    • /
    • 2012
  •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양조간장은 일본의 $koji$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는 반면, 재래식 조선간장은 자연적으로 미생물이 접종 및 발효된 메주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식으로 만들어진 양조간장과 우리나라 전통방식으로 만들어진 재래식 조선간장으로부터 얻어진 다당의 특성과 면역증진활성을 비교하였다. 조선간장 유래 다당인 KTSP-0는 2-keto-3-deoxy-D-$manno$-2-octulosonic acid(KDO)(1.1%)의 구조를 가지는 rhamnogalacturonan II(RG-II)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양조간장 유래 다당 CSP-0와 KTSP-0의 보체계 활성화능을 측정한 결과 두 시료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보체계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1,000{\mu}g/mL$ 농도에서 KTSP-0는 64.7%, CSP-0는 56%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C3의 보체계 활성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2차원 면역전기영동을 행하였다. 그 결과, CSP-0는 고전경로로만 보체계를 활성화 시키는 반면, KTSP-0는 고전경로와 부경로 모두를 통해 보체계를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SP-0와 KTSP-0는 비장 유래세포와 macrophage에 대한 세포독성이 없음이 확인되었으며, KTSP-0는 활성화된 복강유래 macrophage에서 IL-6는 $8-1,000{\mu}g/mL$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IL-12는 $40{\mu}g/mL$의 농도에서 cytokine의 분비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양조간장보다 조선간장이 보체계 활성화를 통해 높은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Lactobacillus plantarum 첨가 고추장의 C57BL/6 마우스에서 대장염 예방 증진효과 (Improvement of colitis preventive effects of Gochujang by addi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on C57BL/6 mice)

  • 박의성;허주희;임양이;주재현;박건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88-1194
    • /
    • 2017
  • DSS로 대장염을 유도한 C57BL/6 마우스에게 잡곡(보리, 수수, 기장)과 죽염, 종균(AB, ABL)을 접종한 메주로 만든 고추장을 섭취시켰다. MG-AB와 MG-ABL을 섭취한 마우스는 control에 비교해 대장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무게/길이비율은 감소시켜 대장염의 염증반응을 억제시켰다. MG-ABL은 혈청에서 IL-6의 발현을 control과 MG-A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apoptosis 관련 인자인 Bax와 Bcl-2의 발현을 조절하여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MG-ABL은 발효 시 첨가된 Lab. plantarum로 인해 대장조직의 손상을 억제하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apoptosis 관련 인자를 조절하여 대장염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 메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PCA 20-3 유래 Protease 의 정제 (Purification of a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PCA 20-3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임성일;유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35-1641
    • /
    • 1999
  • 재래식 메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PCA203이 생산하는 protease를 분리 정제하였다. 먼저 효소 생산용 배지$(0.2%\;soytone,\;2%\;soluble\;starch,\;0.1%\;(NH_4)_2SO_4,\;0.1%\;CaCl_2,\;0.01%\;yeast\;extract,\;0.1%\;K_2HPO_4,\;0.1%\;KH_2PO_4)$를 이용하여 $30^{\circ}C$에서 20시간 배양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획한 후, 80% 포화 황산암모늄에 의한 염석과 CM Sephdex C-50 및 Sephadex G-100을 이용하여 비활성도 76.0 unit/mg, 수율 2.7%, 정제배수 7.6배로 효소를 정제하였다. 정제 단백질의 YMC-pack protein-RP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순도검증에서 순도가 9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SDS-PAGE 분석에서 주 밴드의 분자량은 약 31.5 kDa이었고 아미노산 조성은 alanine, glycine, serine, valine의 함량이 많았으며 분자량 31,500 Da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본 protease의 잔기수는 321잔기였다. RP-HPLC로 분획한 main peak의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를 확인한 결과 $Val^1-Pro^2-Tyr^3-Gly^4-Val^5-Ser^6-Gln^7-Gly^8-Lys^9-Ala^{10}$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한국전통발효식품 - 유익미생물의 잠재적인 자원과 응용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A Potential Resource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and Their Applications)

  • 숩라마니얀 다라니다란;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96-502
    • /
    • 2016
  • 본 논문은 프로바이오틱 세균의 잠재적 기원으로서의 중요성으로 한국 발효식품의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소비되고 있는 발표식품들은 여러 물질들을 기반으로 나눌 수 있다. 김치, 메주, 된장, 간장, 젓갈, 막걸리와 같은 발표식품은 중요한 약리적인 성질들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발효 식품들은 지역 주민들에게 규칙적으로 소비되고 있으며, 이들 발효식품들은 Weissella spp., Lactobacillus spp., Leuconostoc spp., Mucor, Penicillium, Scopulariopsis, Aspergillus, Rhodotorula, Candida, Saccharomyces, Bacillus와 유산균을 포함한 다양한 유익 미생물을 기반으로 만들어 진다. 발효식품들은 음식으로서의 이용가치의 경계를 넘어서 약리적인 식품으로써 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면에서까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발효식품은 잠재적 항산화, 항암, 항콜레스테롤, 항당뇨, 항노화의 물질이 풍부한 기원으로 여기고 있다. 전반적으로 전통발효 식품은 식품공급원뿐만 아니라 인간 건강을 높여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러 다양한 발효식품이 식이에 대한 효과가 과학적 보고들이 많이 출판되었고 전통발효식품이 건강에 유익하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영역에서 현재 많은 보고서가 있다. 식품미생물학자가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의 탐험과 신종균주의 분리, 미생물연구에 잠재적 응용가치를 높일 수 있다.

재래 간장덧의 숙성온도가 간장의 성분 및 식미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uring Temperature of Kanjang Mash on the Distributions of Composition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anjang)

  • 정현채;최종동;권광일;정민선;임무혁;최청;최광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53-259
    • /
    • 2000
  • 재래간장 제조시 간장덧의 숙성온도가 간장의 성분 및 식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메주와 20%의 소금물을 1 : 3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각각의 시험 간장덧을 15, 30 및 $45^{\circ}C$에서 60일간 숙성시켰다. 간장덧 숙성온도 $45^{\circ}C$까지는 60일간 숙성시킬 때 숙성온도가 높아질수록 간장의 총질소, 총유리아미노산 및 색소함량이 높아지지만 초산, 낙산 및 pyroglutamic acid를 적게 함유하고 총아미노산에 대한 glutamic acid 비율이 높으며 식미득점이 높은 간장은 $15^{\circ}C$에서 간장덧을 숙성시킴으로서 만들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