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Furniture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1초

북촌한옥 각 실의 용도 및 공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개방한옥과 공공매입한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in the Space Composition of Each Room in Bukchon Hanok - Focused on Open-Hanoks and Publicly Puhased Hanoks -)

  • 김도연;오혜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2호
    • /
    • pp.115-12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indoor spaces in Korean-style houses which have been repaired and improved extensively through the 'Bukchon Improvement Project' and are being utilized for public purposes. For this, we conducted a field survey through visiting the house sites from the 5th to the 26th of May, 2006.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Bukchon Korean-style houses maintain centripetal space composition, in which the rooms surround the court. Centering on the court, the hierarchy of spaces is determined, and the hierarchy of spaces and the composition of internal layout are restructured centering on the court and the main hall without change in direction and position. The main hall is sometimes converted to a room, but it maintains an open space relation with other spaces centering on the court, and therefore, even after its use has been changed, it is still the most Korean-style space. In addition, with floor heating, the common sitting-style life is maintained continuously although the rooms have been converted and standing-style furniture is used. In this way, publicly promoted policies for Korean-style houses are allowed within the limit that the appearance is maintained and the internal spaces do not change the overall structure. However, in order to maintain the tradition of Korean-style houses and utilize them as various spaces, the following supplementations are necessary. First, the main hall and the inner court of a Koreanstyle house should be utilized actively. The court sometimes keeps individuals' privacy or expands the space by extending the view to outdoor spaces, and is sometimes used as an open space through interconnec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e. Seco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vertical spaces. Horizontal expansion causes a change of floor plan. Thus, space should be secured using various cross-sectional changes, such as a kitchen and a loft over the kitchen. Third, structure should be changeable in order to adjust the size of spaces. Thus, through research on traditional windows, we need to develop changeable walls that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easily according to the use of spaces.

커피박 첨가 돈족(豚足)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ttitoes(Jokbal) added with Coffee Meal)

  • 최석봉;안상란;이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4
    • /
    • 2016
  • 본 연구는 실제 커피박을 자원화하고,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며, 열수추출물로 만든 커피박을 제조한 후 족발을 현재 식품제조사에서 만드는 공정으로 가공하여 다변화된 풍미와 기능성이 향상된 족발로 돈족 제품의 다양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기초자료로 얻고자 실시하였다. 족발의 pH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수분함량의 경우 대조구와 커피박 추출물 첨가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지방, 조회분의 경우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증가되었으며, 단백질의 경우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도의 경우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텍스쳐(texture) 분석은 커피박 추출물 첨가에 따라 hardness와 chewiness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cohesivenes와 springiness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명도는 커피박 추출물 첨가량을 10%, 20%, 30%로 점차적으로 증가할수록 L값은 대조구에 비해 점점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값은 커피박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b값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커피박 추출물의 색도가 족발의 색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평가 결과, 10%의 커피박 추출물 첨가군이 외관, 씹힘성, 냄새 및 선호도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 족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관찰된다.

광주시 소매업의 입지와 주민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of Retail Trade in Kwangju-si and Its Inhabitants와 Effcient Utilization)

  • 전경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8-92
    • /
    • 1995
  • 소매업은 경제, 사회, 문화, 정치를 배경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며 발전해 가 기 때문에 지역구조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증요한 연구 주제이다. 또한 소매업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이므로, 이에 대한 이해는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도 중 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는 주민소득의 향상과 그에 따른 수요의 다양화, 개성화, 그리고 정보 화 사회로의 이행, 대기업 및 외국유통업의 참여, 정부의 유통산업 근대화 작업 등 소매업 환경의 변화와 함께 소매업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의 변화 예측과 바람직한 발 전 방향이 제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이에 광주시를 연구대 상지역으로 선정하여, 소매업의 입지와 그에 대한 주민의 이용 행태, 그리고 주민의 바람직 한 이용방안을 분석하였다. 이는 입지행태라는 순수한 학문적기여 뿐 아니라, 지역의 효율성 과 평등성의 실현이라는 응용면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