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ckback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AJAX를 이용한 웹 기반 지식 서비스의 트랙백 주소 추출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traction System Of Trackback Address For Knowledge Service Based On Using AJAX)

  • 구민오;경민기;민덕기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47-552
    • /
    • 2010
  • 지식서비스에서는 최근 자사의 지식정보에 대해 대표적인 지식 구축 채널로 발전중인 블로그(Blog)와의 연계를 추구하기 위해 트랙백(Trackback) 서비스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사를 넘어 다양한 블로그 서비스를 통해 지식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블로그 사이트들 과의 지식 체인(Knowledge Chain)을 형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 체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음 커뮤니케이션사의 지식 서비스에 대한 트랙백 주소 확보를 위한 구조 및 환경에 대해 분석 제공하고 있으며, 앞서 언급한 지식서비스와 블로그간의 지식 체인 형성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트랙백 주소 확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웹 기반의 비동기적 통신 스크립트 기술인 AJAX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측의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트랙백 주소 추출 시스템"을 제시 구현하고 있다.

  • PDF

블로그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블로그 검색 알고리즘 (The Effective Blog Search Algorithm based on the Structural Features in the Blogspace)

  • 김정훈;윤태복;이지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7호
    • /
    • pp.580-589
    • /
    • 2009
  • 오늘날, 대부분의 웹 페이지는 블로그영역에서 생성되고 기존의 웹 페이지 또한 블로그영역으로 전환되어가고 있다. 블로그 페이지는 트랙백연결, 블로거, 태그, 댓글과 같은 기폰 웹 페이지에는 존재 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지 않는 전통적인 웹 페이지 랭킹 알고리즘을 블로그 페이지에 단순히 적용하는 것은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 적절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로그 검색을 위한 "블로그-랭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블로그의 구조적특징들을 활용하여 트랙백 연결성, 블로거의 명성, 사용자 반응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블로그 페이지를 랭크 한다. 우리는 알고리즘의 검색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해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블로그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고 기존의 블로그 검색시스템과 검색효율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블로그 랭크 알고리즘을 적용한 검색시스템이 기존의 검색시스템보다 더욱 뛰어난 검색효율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사용자 태그와 중심성 지수를 이용한 블로그 검색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Blog Retrieval by User Tagg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 김은희;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77
    • /
    • 2010
  • 최근 다양한 주제 분야의 블로그가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웹 정보원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로그 페이지의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용자가 부여한 태그 및 트랙백을 이용하여 블로그 페이지의 검색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4,908개의 블로그 페이지와 각 페이지에 트랙백으로 연결된 다른 블로그 페이지의 URL을 수집하였다. 검색 자질로 본문의 용어에 이용자 태그를 추가하였을 경우와 네트워크 중심성 값을 반영하였을 경우 모두 검색 성능이 향상되었고, 본문 용어와 이용자 태그를 검색 자질로 함께 사용하고 여기에 중심성 값을 반영하였을 경우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블로그 글쓰기의 스토리생성 모델 연구 (A study on story generation model of blogging)

  • 윤현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9-38
    • /
    • 2014
  • 본 연구는 새로운 이야기 콘텐츠 생성의 장인 블로그 글쓰기의 스토리생성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블로그 스토리 생성의 조건을 블로그의 구조적 요인에서 찾아 RSS 기능을 통한 밀어내기의 스토리 유닛화와 트랙백을 통한 끌어오기의 스토리 확장으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퍼스 기호학의 해석체 개념을 적용해 블로그 스토리의 제시, 변형, 순환의 과정을 설명하고 각 과정이 어떠한 의미를 창출해 내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블로그 글쓰기의 스토리 생성 과정 자체를 하나의 통합적 기호로 제시하고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그 모델을 제시하는 선행적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신디케이션을 활용한 비정형 프로세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연구

  • 김민균;박용태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653-656
    • /
    • 2004
  • 본 연구는 기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이론적 근거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비 프로세스 영역과 불규칙 프로세스 영역을 처리하는데 적합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Framework과 Platform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비정형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은 요구변동성이 높은 소프트웨어 개발, 혹은 선도 기술 개발 프로젝트의 경우에 활용 가능성이 높은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지닌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요구사항과 사용자(개발자)의 지속적인 Feedback에 대응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은 과정 중심의 대응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프로세스가 갖춰지지 않은 Firm Level에서의 Task Transaction과 Management를 Syndication을 활용하여 구축하고, 기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과의 차이점을 검토하고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역추적식 반사체를 가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TRIZ(6SC) 응용 설계 (A Study on TRIZ Applied Design for Photovoltaic System with Reversal Tracking Reflector)

  • 허용정;홍성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31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design of photovoltaic system with reversal tracking reflector. The reversal tracking reflector is conceptually designed by using TRIZ. The 20 to 30% of incident rays cannot produce the current and reflected back to the glass surface because of high refractive index of solar cell which are produced from Si, GaAs.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has been derived using 6SC(6 steps creativity)TRIZ. The reflector which has the actuator can be trackback the sun. Reversal tracking reflector which mounted on the top of the system prevents the shadowing los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rack back function. The anti-glare reflector prevents the heat due to the concentrated reflected light rays.

LSA 유사도 비교를 통한 트랙백 스팸 탐지 (Trackback Spam Detection using Similarity Analysis by LSA)

  • 전혁수;김태환;최중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C)
    • /
    • pp.339-344
    • /
    • 2010
  • 오늘날 인터넷 사용자들은 블로그나 뉴스 등의 매체에서 트랙백을 사용해 자신의 의견을 보다 자유롭게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자유로움을 악용해 트랙백 스팸을 유발하여 네트워크의 자원을 낭비하고 방문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해 해당 포스트의 신뢰를 떨어뜨린다. 트랙백 스팸은 유명한 포스트와 연계하여 자신의 포스트로 사용자들을 유도하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웹 스팸을 탐지하는 기술을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신이 작성한 글이 다른 사람의 글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여 다른사람의 글에 자신의 글을 링크시키는 트랙백의 특성을 이용하여 원본 페이지와 트랙백 페이지 그리고 트랙백 페이지의 아웃링크 내용상의 유사도와 동시 출현(co-occurrence) 정보를 이용하여 트랙백 스팸을 처리하고자 한다.

  • PDF

학급 블로그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ass Blog Activity on self-esteem for elementary students)

  • 유승한;성영훈;이재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77-185
    • /
    • 2005
  • 블로그는 트랙백이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이 생산한 정보나 일상의 기록을 웹상에서 다수의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미디어 체계이다. 즉 기존까지 행하여진 웹활동이 수동적이었고 일방적이었던 반면 블로그는 개인이 주체적이고 사회의 일원으로써 관심을 받을 수 있게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블로그 활동이 학생들의 일반적, 사회적 자아 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가를 알아보기위해 학급 블로그 시스템을 설계하여 실제 운영해 보았다. 그 결과 6개월간 블로그를 활용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일반적 자아 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등 대부분의 자아 존중감 수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 PDF

국민참여형 위성영상 블로그 시스템 구축 (Building a Satellite Image Based Blog System using PPGIS(People Participatory GIS))

  • 이기환;이동천;박석호;김일;신상희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2-96
    • /
    • 2007
  • 전라남도 국민참여형 위성영상 블로그 시스템은 2006년도 행정자치부 자치단체정보화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고해상도 위성영상 위에 직접 자신의 글,사진, 동영상을 올리고,이를 다른 사용자나 시스템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축된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이 궁극적으로 구현하고자 했던 과제는 다음과 같다. (1)지리정보 혹은 기타 정보의 고정성을 탈피하고,(2)지리정보와 멀티미디어 자료의 효율적 통합을 통해 geoUCC를 구축하며,(3)사용자의 참여를 통한 지리정보 제공 방식의 쌍방향성을 구현하여,(4) 사용자를 일방적 자료 활용자에서 자료 생성자로 발전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자치단체와 국민 간 새로운 방식의 소통 방식을 생성하는 것이다. 본 시스템 구축의 결과로서 본 시스템에서 일반 국민에게 서비스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전라남도 전역의 1m급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대국민 서비스,(2)전라남도 전역에 대한 지번 단위까지의 주소 검색 서비스,(3)웹 상에서의 실시간 3차원 GIS 서비스,(4)Web2.0의 철학을 반영한 RSS, Trackback 및 Tag 검색 기능,(5)사용자가 직접 고해상도 위성영상 위에 자신의 글, 사진,동영상,홈페이지 등을 올릴 수 있는 "위성영상 블로그 쓰기 기능",(6)국내 거의 모든 포털 사이트의 블로그와 홈페이지를 지원하는 시스템 연계(퍼가기) 기능 등이다. 결론적으로 본 시스템의 사용자는 고해상도 위성영상 기반의 지도 위에 자신의 여행기,사진, 동영상을 올림으로써 자신만의 사용자제작콘텐츠(UCC)를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 활용함으로써 실질적인 쌍방향,참여형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게 된 것이다.

  • PDF

온라인 댓글 인식과 댓글 활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댓글의 신뢰도와 인터넷뉴스 수용자의 수용경향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Activities in the News Replies -Focused on News Perception and Credibilities-)

  • 권상희;김익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2권
    • /
    • pp.44-78
    • /
    • 2008
  • 본 연구는 댓글 저널리즘의 인식차원과 이에 따른 댓글 활동의 상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댓글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댓글의 특성, 뉴스 장르별 댓글유형, 사용자의 인식정도와 이에 따른 댓글 활동의 상관관계 등을 연구했다. 총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해 1) 댓글에 대한 인식 2) 댓글 읽기와 댓글 쓰기 활동 정도 3) 댓글에 대한 인식이 댓글 활동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봤다. 조사 결과 사용자 유형과 뉴스장르, 댓글의 신뢰도의 차이에 따라 댓글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 댓글 인식 정도에 따라 댓글 활동에도 차이가 나타냈다. 더불어 세대별 댓글 인식과 선호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즉 30대 이상 성인층들은 정치, 경제, 사회 같은 경성 기사들의 댓글을 주로 읽는 반면, 20대 이하 층은 연예, 스포츠, 생활 정보 같은 연성 기사들의 댓글을 주로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에 따른 기사 구독 행태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댓글의 기계적인 가능(상호작용, 신속성은 높은 반면, 내용의 품질이나 효용성은 전반적으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댓글에 관한 신뢰도나 활동정도는 유형별로 차이가 나는 댓글 커뮤니케이션의 초기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댓글 공간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실명제 같은 강제 요인보다는 트랙백처럼 사용자에게 책임감을 부여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정책적 제안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