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shoulder arthroplasty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3초

Difference in glenoid retroversion between two-dimensional axial computed tomography an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ed images

  • Kim, Hyungsuk;Yoo, Chang Hyun;Park, Soo Bin;Song, Hyun Seo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3권2호
    • /
    • pp.71-79
    • /
    • 2020
  • Background: The glenoid version of the shoulder joint correlates with the stability of the glenohumeral joint and the clinical results of total shoulder arthroplasty. We sought to analyze and compare the glenoid version measured by traditional axial two-dimensional (2D) computed tomography (CT) and three-dimensional (3D) reconstructed images at different levels. Methods: A total of 30 cases, including 15 male and 15 female patients, who underwent 3D shoulder CT imaging was randomly selected and matched by sex consecutively at one hospital. The angular difference between the scapular body axis and 2D CT slice axis was measured. The glenoid version was assessed at three levels (midpoint, upper one-third, and center of the lower circle of the glenoid) using Friedman's method in the axial plane with 2D CT images and at the same level of three different transverse planes using a 3D reconstructed image. Results: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scapular body axis on the 3D reconstructed image and the 2D CT slice axis was 38.4°. At the level of the midpoint of the glenoid, the measurements were 1.7°±4.9° on the 2D CT images and -1.8°±4.1° in the 3D reconstructed image. At the level of the center of the lower circle, the measurements were 2.7°±5.2° on the 2D CT images and -0.5°±4.8° in the 3D reconstructed imag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2D CT and 3D reconstructed images at all three levels. Conclusions: The glenoid version is measured differently between axial 2D CT and 3D reconstructed images at three levels. Use of 3D reconstructed imaging can provide a more accurate glenoid version profile relative to 2D CT. The glenoid version is measured differently at different levels.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에서 트라넥삼산의 출혈 및 수혈 감소 효과 (Tranexamic Acid Reduces Postoperative Blood Loss in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 박기영;김인보;김은열;이광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391-397
    • /
    • 2021
  • 목적: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TXA)은 하지 수술에서 출혈과 수혈 빈도를 줄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시에 출혈 및 수혈 요구에 대한 TXA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9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를 평가하였다. 수술 중 정맥로와 관절강 내 도포를 시행한 군은 TXA 사용군, 시행하지 않은 군은 TXA 미사용군으로 분류하였다. 술 후 출혈량을 나타내는 배액관 배액량과 수혈 여부, 술 후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TXA 사용군과 TXA 미사용군 간 연령(72.0±7.0 vs. 71.5±5.8, p=0.656) 및 남, 녀 성별 비율(28:65 vs. 23:61, p=0.689)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두 질환 모두를 가진 환자의 유병률(36:3:13 vs. 32:3:8, p=0.806)은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혈 기준에 따라 수혈을 시행한 수혈 환자 수(0 vs. 9, p=0.001)는 TXA 사용군에서 없었으며 TXA 미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더 많았다. 수술 1일째(98.8±61.2 ml vs. 162.7±98.8 ml, p<0.001) 및 제거 당시 배액관 배액량(73.8±48.4 ml vs. 91.5±54.5 ml, p=0.024)은 둘 다 TXA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더 적었다. 수술 전 측정한 혈색소 수치(13.2±1.4 vs. 13.3±1.5, p=0.374)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39.5±3.9 vs. 39.6±4.7, p=0.946)에서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1일째(11.7±1.2 g/dl vs. 11.2±1.4 g/dl, p=0.048), 3일째(10.9±1.2 g/dl vs. 10.2±1.2 g/dl, p<0.001), 6일째 혈색소(11.2±1.3 g/dl vs. 10.7±1.3 g/dl, p=0.020)는 TXA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1일째(35.0%±3.6% vs. 32.5%±3.8%, p=0.001), 3일째(32.3% ±5.0% vs. 29.8%±3.6%, p<0.001), 6일째 적혈구 용적률 수치(33.5%±3.8% vs. 31.5%±3.7%, p<0.001)에서도 TXA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정맥로와 관절강 내 국소도포를 이용한 TXA의 사용은 수술 후 수혈의 필요성과 출혈량을 줄일 수 있다.

주관절 구축의 관혈적 치료 (The Open Surgical Treatment for Stiff Elbow)

  • 이지호;라인후;전인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93-298
    • /
    • 2010
  • 목적: 주관절은 굴곡 구축 40도 이상 굴곡 제한 105도 이하일 경우 일상 생활에 상당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관절로 그 치료의 정도 및 시기를 결정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이 종설에서는 현재까지 인정된 주관절 구축의 수술적 접근법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도록 하겠다. 대상 및 방법: 환자의 병력을 포함하여 충분한 임상적 조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방사선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환자의 주관절 구축에 대한 원인 및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수술법을 선택한다. 수술법으로는 관절경적 유리술 (arthroscopic release) 및 관혈적 유리술 (Open release), 견인 관절 성형술 (Distraction Arthroplasty), 인공관절 치환술 (Total elbow replacement)이 있으며 관혈적 유리술은 4가지 기본 도달법 -전방 도달법 (anterior approach), 내측 도달법 (medial "over the top" approach), 제한된 외측 도달법 (limited lateral approach: column procedure) 광범위 후방 도달법 (posterior extensile approach)-으로 분류될 수 있다. 결과 및 결론: 현재 주관절 구축의 수술은 관절경의 발달로 인한 최소 침습적인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나 그 경과의 판정은 아직 미미하며 그에 대한 문헌 보고가 많지 않은 상태로 고식적인 개방성 접근법을 이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접근법에 따른 분류를 사용하고 있다.

원위 상완골 분쇄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 (Th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 조남수;박성우;정기연;이용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97-104
    • /
    • 2005
  •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comminuted fracture of distal humerus were enrolled.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A2.3 was 1 case, A3.2, 2 cases, A3.3, 8 cases, B1.3, 1 case, B2.3, 1 case, C2.2, 5 cases, C2.3, 4 cases, C3.2, 3 cases and C3.3, 7 cases. As fixation technique, 17 cases were fixed by double plates, 4 cases by only K-wires, 4 cases by only screws, 3 cases by K-wires and screws and 4 cases by one plate and screws. The mean a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as 49 years(range, $19{\sim}77$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6 months(range, $8{\sim}51$ months).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maximum flexion was $116.4^{\circ}\;(range,\;85{\sim}140^{\circ})$ and the mean loss of terminal extension was $11.8^{\circ}\;(range,\;0{\sim}40^{\circ})$. The averag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as $91.4^{\circ}\;(range,\;55{\sim}100^{\circ})$. Overall 29 cases(91%) showed good to excellent results. The mean range of motion of extraarticular and intraarticular fracture group was $105.5^{\circ}\;(range,\;65{\sim}140^{\circ})$ and $104^{\circ}\;(range,\;55{\sim}140^{\circ})$, respectively. The average elbow score of both groups was$93^{\circ}\;(range,\;70{\sim}100^{\circ})$ and $90.7^{\circ}\;(range,\;55{\sim}100^{\circ})$. Over 90% showed more than good results. 30 cases(94%) showed complete bony union but two cases, nonunion. One case of the nonunion cases underwent replating with bone graft as revision surgery and total elbow arthroplasty was performed in the other case. At the last follow-up, 27 patients(84.4%) showed subjective satisfaction. Conclusio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ppropriate surgical technique for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showed good results, which were not affected by age at the time of operation, fixation methods and anterior transposition of the ulnar nerve. Transolecranon approach may be considered as good choice for intraarticular comminuted fractures of distal humerus.

근위 상완골 종양 치료 실패 후 역 견관절 전치환물을 이용한 구제술 (Salvage with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after the Failure of Proximal Humeral Tumor Treatment)

  • 전대근;조완형;김범석;박환성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505-512
    • /
    • 2018
  • 목적: 상완골 근위부 절제 후 다양한 재건술이 시도되었으나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도입으로 기능적 결과의 향상이 있었다. 그러나 광범위한 골결손을 동반한 경우에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와 비수술적 치료 실패 후 지연 재건하면 기능회복의 정도가 어떤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근위부 재건술 후 실패한 11예는 중첩 동종골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조합술을, 비수술적 치료가 실패한 6예는 지연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후 기능적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합병증을 기술하였다. 결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과 동종골 조합술로 일차 수술이 실패한 11예 전부에서 안정된 재건술이 가능하였으며 수술 전 주 증상도 해소되었다. 골 접합부 평균 골유합 기간은 5.5개월이었다. 수술 전, 후 근골격계 기능 점수는 평균 20.3점에서 25.7점으로 증가하였다. 일차 수술 후 4년 이내에 역 견관절 전치환술로 치환한 6예 중 4예에서 $90^{\circ}$ 이상의 상지 거상이 가능하였으며, 일차 수술 후 4년 이후에 수술한 5예는 견관절의 안정성은 얻었으나 전부 $90^{\circ}$ 이상 거상이 불가능하였다. 합병증은 관절탈구와 무균성 감염이 각각 1예로 폴리에틸렌 교체와 반흔 조직 절제술로 치료하였다. 비수술적 치료 실패로 지연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한 6예에서 기능평가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전 예에서 상지의 $90^{\circ}$ 이상 거상은 불가능하였다. 결론: 중첩 동종골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조합술은 대량의 상완골 골결손이 발생한 환자에서 간단하고 합병증이 적은 골질 회복방법으로 생각된다. 진단 시 근위 상완골 전 절제가 필요한 전이성 골종양 환자는 조기에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하는 것이 기능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