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henolic compounds

검색결과 766건 처리시간 0.023초

산지별 유자의 수확시기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 비교 (Comparison of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uzu (Citrus junos Sieb. ex Tanaka) Based on Harvest Time)

  • 문소현;아와리스;고은영;박세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283-291
    • /
    • 2015
  • 본 연구는 고흥과 제주도로부터 수확된 유자의 수확시기에 따른 과실의 품질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8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일 수확된 유자 과실을 사용하여 유자의 크기, 중량, 과형지수, 당도, 수분함량등 외관적 특징과 총 페놀함량, 항산화 활성 그리고 감귤류의 대표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나린진과 헤스페리딘의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고흥과 제주도로부터 수확된 과실의 외관적 특징을 비교할 때 8월 9월에 수확된 유자는 초록색을 띄며 수확시기가 지날수록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성숙되었고 수확적기인 11월과 12월에는 진한 노란색을 띄었다. 제주도 유자가 고흥 유자에 비해 다소 크나 유의적인 차이는 크게 없었으며. 수확시기에 따른 구형지수는 점차 감소하여 구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하였고 당도는 증가하였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제주도 유자가 고흥 유자에 비해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8월에 수확한 어린숙기의 유자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수확적기인 11월, 12월 유자 보다 높은 수준의 함량을 보였으며 산지에 따라 10월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지별, 수확시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화합물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8월 수확한 미숙 유자의 항산화 활성은 높은 수준의 활성을 보였으며 산지에 따라 10월과 11월까지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나린진과 헤스페리딘 함량 또한 제주도 유자가 고흥유자에 비해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8월 수확한 미성숙과의 유자는 높은 수준의 함량을 보였으며 수확시기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수확적기인 11월과 12월은 유의적인 차이 없이 거의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보아, 미성숙과에서 식물체에 존재하는 많은 페놀성 물질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다량 함유하며 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을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다양하게 활용한다면 여러 질병의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 색소 고정화 기술을 활용한 오미자와 자소엽 추출물 함유 음료의 항산화 활성 연구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ixture of Schisandrae Fructus (SF) and Perilae Folium (PF) using Natural Color fixation technic)

  • 신인순;황수정;김성옥;허담;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7-45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focused on Schisandrae Fructus (SF) and Perilae Folium (PF), traditional medicine herbs and health functional food in Korea, Japan and China. We investigated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that include a potential source of free radical scavenging, anti-viral, anti-microbial, anti-allerg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Methods : We conducted an investigation of total contents of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in these single herbal extraction with/without combined to mixture. We also measured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SOD-like scavenging, nitrite scavenging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xanthine oxidase inhibition, linoleic acid peroxidation inhibition, and reducing power. Results : As the results, contents of total phenoil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higher in those of PF than those of SF. Those of SF+PF mixture showed the synergy effects compared with those of SF and PF single extractions. Activities of DPPH free radical and SOD-like scavenging in 1 mg/mL concentration increased in dose dependent manners. That of SF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PF. That of SF and PF mixture also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BHA as a positive control. The other antioxident activities also showed similar to patten of activity o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When combined to SF and PF extractions, there was showed synergic effect compared with those of BHA, excepted activities of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nd reducing power. Taken together, SF and PF have high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content furthermore, antioxidant activities in SF and PF mixture showed more synergy effect compared with those of BHA. Conclusions :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F and PF mixture may offer functional materials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beverage.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active compounds.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of Equisetum arvense and Its Effects on Serum Lipid Levels in Mice Fed a High-Fat Diet

  • Kim, Yong-Hwan;Shin, Kyung-Ok;Choi, Kyung-Soon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7-356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Equisetum arvense and its effects on serum factor levels in mice fed a high-fat diet. The aim was to establish a new effective resource for 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 arvense stem and root extracts were obtained using deionized water at $95^{\circ}C$, and 70.5% ethanol at $85^{\circ}C$. These extracts were used to analyze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BTS, DDPH, and FRAP) activities. The effects of prepared ground samples were evaluated by feeding them to mice. E. arvense extracts showed strong antioxidant effects. The caffeic acid content was highest in the 70.5% ethanol extract of the vegetative stem, as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blood concentrations of insulin and lepti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ice fed a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extracts of the root, reproductive stem, and vegetative stem of E. arvense than in mice fed only a high-fat di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lyphenolic compounds in E. arvense extracts exert various antioxidant effects. The stems and root of E. arvense can lower the blood levels of insulin and leptin, even after consumption of a high-fat diet.

한국산 약용식물로부터의 SOD활성 및 Phenolic Compounds 함량 비교 (Comparisi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al Plants)

  • 임정대;유창연;김명조;윤성중;이선주;김나영;정일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1-202
    • /
    • 2004
  • 한국에 분포하고 있는 82종의 약용식물에 대하여 환경내성 및 기능성 소재의 개발을 위한 탐색을 위하여 항산화효소와 관련된 첫 번째 방어기작인 SOD 효소활성과 Phenol 화합물의 함량정도를 검정하여 본 결과 SOD 효소활성은 원지 (P. tenuifolia Willd.), 백편두 (D. lablab L.), 백개자 (S. alba L.), 대황 (R. palmatum L.), 감초 (G. uralensis Fisch), 연자육 (N. nucifera Gaertn), 지황 [R. glutinosa (Gaertner) Liboshitz], 현삼 (S. buergeriana Miq.), 인진 (A. capillaris Thb.)등에서 다른 약용작물보다 비교적 높은 SOD 효소 활성 능력을 나타냈다. Total phenol함량은 $(3{\sim}249.731\;{\mu}g/g)$의 범위를 보였으며 지유(S. officinalis L.), 대황 (R. palmatum L.), 복분자 (R. chingii Hu)에서 각각 $249.731\;{\mu}g/g,\;209.546\;{\mu}g/g,\;170.333\;{\mu}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16종의 phenol 화합물의 경우에서는 82종의 약용식물이 각기 매우 상이한 농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소 및 phenol 화합물이 많이 함유하여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된 약용식물에 대해 그들의 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henol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는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화장품, 천연 보존재 및 의약품 등으로 개발 (Cook & Samman, 1996)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조리과정 중 콩나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Soybean Sprout according to Preparation and Cooking Process)

  • 박초희;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97-403
    • /
    • 2014
  • 본 연구는 조리과정 중의 콩나물을 데치기 전, 데친 후, 무친 후로 나누어 조리한 뒤 항산화 관련 물질의 함량과 항산화 효능을 비교 측정하여 한국 고유의 조리방법인 나물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조리과정을 달리한 콩나물을 80% 에탄올에서 추출한 수율은 데치기 전 1.42%, 데친 후 0.65%, 무친 후 6.50%로 무친 후가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무친 것이 $79.52{\pm}1.41$ mg GAE/100 g FW로 가장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경우에도 무친 것이 $6.21{\pm}0.16$ mg C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4가지의 항산화 활성(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에서도 무친 후의 콩나물이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고 데치기 전, 데친 후의 순서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항산화 효능 면에서 콩나물을 섭취할 경우 가능하면 물에 장시간 끓이는 조리법은 피하고 무치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Protective effect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in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cell line

  • Senevirathne, Mahinda;Kim, Soo-Hyun;Jeon, You-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3호
    • /
    • pp.183-190
    • /
    • 2010
  • Blueberry was enzymatically hydrolyzed using selected commercial food grade carbohydrases (AMG, Celluclast, Termamyl, Ultraflo and Viscozyme) and proteases (Alcalase, Flavourzyme, Kojizyme, Neutrase and Protamex) to obtain water soluble compounds, and their protective effect was investigated against $H_2O_2$-induced damage in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cell line (V79-4) via various published methods. Both AMG and Alcalase hydrolysates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as well as higher cell viability and ROS scavenging activities, and hence, selected for further antioxidant assays. Both AMG and Alcalase hydrolysates also showed higher protective effects against lipid peroxidation, DNA damage and apoptotic body formation in a dose-dependent fashion. Thu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ater soluble compounds obtained by enzymatic hydrolysis of blueberry possess good antioxidant activity against $H_2O_2$-induced cell damage in vitro.

정선산 쥐눈이콩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Different Organs of Small Black Soybean (Yak-Kong) Grown in the Area of Jungsun)

  • 사재훈;신인철;정경진;심태흠;오흥석;김영진;정의호;김광기;최대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09-315
    • /
    • 2003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쥐눈이콩은 조단백 및 조지방의 함량이 높고, 무기질이 풍부하며,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linoleic acid가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Glucose와 galactose가 주요 구성당이었으며, 12종의 지방산이 동정되었다. 쥐눈이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한 결과 종피 메탄올 추출물$(IC_{50}:\; 8.3\;{\mu}g/ml)$과 종피 75% 에탄올 추출물$(IC_{50}: 10.0{\mu}g/ml)$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쥐눈이콩 종피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각 분획물에 대한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주된 활성이 나타났으며 페놀성화합물의 경우 100 g당 13.53 g으로 매우 높은 함량을 지니고 있었다. 쥐눈이콩의 생리활성 탐색결과 종피 부위에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부위임을 규명하였다.

꼬리진달래 발효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Extract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김민진;유상미;김도연;허태임;이준우;박지애;박창수;김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38-944
    • /
    • 2018
  • 우리나라 특산, 희귀 식물로 알려져 있는 꼬리진달래(Rhododendron micranthum Turcz)를 기능성 유산균 Lactobacillus rhamnosus를 이용하여 발효 소재를 만들고 발효 소재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 개선 활성을 조사 하였다. 고형분 함량 3%의 꼬리진달래 추출물에 L. rhamnosus를 3%가 되게 접종하여 3일간 배양하여 $5{\times}10^9CFU/ml$의 높은 농도의 유산균이 배양 되었고 총페놀 함량은 배양 전 130 GAE mg/ml에서 157 GAE mg/ml로 증가 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DPPH, ABTS radical 소거능과 tyrosinase, elastase 저해 활성은 발효 전과 비교 하였을 때 각각 1.3, 1.5, 2.4, 5.6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꼬리진달래 추출물을 유산균을 이용 하여 발효하였을 때 새로운 발효소재로 식품 및 화장품 산업 분야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 된다. 하지만 발효에 의한 천연 성분의 변화 및 활성 성분에 대한 분석, 생리활성 관련 작용 기전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볶음처리에 따른 치커리의 기능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ory Roots Induced by Roasting Processes)

  • 홍미정;이기동;김현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13-418
    • /
    • 1998
  • 한국산 치커리 뿌리의 식품학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하여, 볶음온도$(120{\sim}180^{\circ}C)$와 볶음시간($10{\sim}40$분)을 달리하면서 치커리차의 품질에 관련된 관능적 및 기능적 특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갈색도는 볶음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볶음조건별 치커리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볶음처리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면서, 무처리 대조구보다 각각 2배와 3.6배 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치커리의 볶음처리에 따른 페놀성 성분의 함량과 과산화물가 측정에 의한 항산화성의 변화는 볶음온도 $160^{\circ}C$, 볶음시간 30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치커리차의 관능적 기호도는 볶음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고온에서 장시간 볶음시에는 기호도가 떨어져 볶음온도 $170^{\circ}C$, 볶음시간 30분 이상의 조건에서는 기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볶음조건에 따른 치커리차 물추출물의 기능적 특성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전자공여작용은 갈색도 및 페놀성 성분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치커리추출물의 항산화성과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갈색도 및 전자공여작용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떫은감의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른 영양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Astringent Persimmons according to Growing Region and Cultivar)

  • 변린린;유수연;박정진;양수진;정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9-38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떫은감의 대표적인 품종인 대봉감과 반시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비교하였으며, 대봉감과 반시의 재배지역별 영양성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영양성분은 품종에 따라 다른 함량을 나타냈는데 대봉감 품종은 불용성 식이섬유, 베타카로틴, 과당, 자당, 만니톨, 칼륨, 사과산, 호박산, 총 페놀화합물이 반시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반대로 반시 품종은 수분 함량, 조단백질 함량, 비타민 C, 칼슘, 망간, 주석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대봉감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재배지역에 따라 많은 성분들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이는 영양성분은 A지역은 베타카로틴, 솔비톨, 만니톨, 아연, 총 페놀화합물, B지역은 조지방 함량, 리코펜, 자당, 자일리톨, 사과산, C지역은 호박산, D지역은 수분 함량, 망간, 탄닌, E지역은 조단백질 함량, 나트륨, 망간, 칼슘, 주석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떫은감은 품종이나 재배지역에 따라 많은 영양성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런 차이는 떫은감을 활용한 가공제품 생산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