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hropometry, biochemical parameters and electrolytes concentrations of the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patients according to their nutritional status at the time of admission. Thirty-three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t S University Hospital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ir nutritional status was classified as At-risk I (Mild PCM, n = 13), At - risk II (Moderate PCM, n = 9) and At-risk III (Marasmus + kwashiorkor + severe PCM, n = 11) . Anthropometeric, biochemical and dietary assessments were performed. The Patients intake of calories (75.02%) and protein (53.15%) was insufficient compare with Korean RDA requirements. The body weight and the Body Mass Index (BMI) in the At-risk III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other groups. The percentage of body weight loss and change of body weight (k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groups. The subjects were malnourished as indicated by nutritional related parameters such as serum total protein, albumin, total lymphocyte count (TLC), hemoglobin and hematocrit. Serum total protein, albumin and TLC levels were lower at the time of admission before TPN administration. But after TPN administration, they increased. The electrolyte concentration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following TPN administration.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s could be affect by the duration of TPN administration and the number of days of the patients hospitalization. The patients who require nutritional support need the continuous follow-up care and monitoring by a nutritional support team.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4) : 574-583, 2003)
Objective: The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pharmacist inventions with the implementation of pharmacistinvolved nutritional support service at neonate intensive care unit in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Method: A retrospective and observational study was carried out. The total of 58 infants in neonate intensive care unit was enrolled between January 2011 and October 2012. The pharmacist-involved total parenteral nutritional program was initiated in June of 2012. During the program, pharmacis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ultidisciplinary round with performing the interventions from reviewing the amount of combined total parenteral nutrition and enteral fluid intakes, the amount of total calories, the glucose infusion rate, and the amounts of proteins per weight in kilogram. The outcome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the control group which reflected the prior period of the program initiation. Result: The number of days of regaining birth weight was significantly shorter (14.5 vs. 19 days, p=0.049) and the percentage of total calorie days with >90 kcal/kg/da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40 vs. 13%, p=0.008) in intervention group compared to the values in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total mean daily caloric intakes ($84.78{\pm}13.8$ vs. $74.86{\pm}15.36$ kcal/kg/day, p=0.018)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tervention group than those results in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fety parameters between two groups related to nutritional services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proven sepsis, and also parenteral nutrition-induced hepatotoxicity. Conclusion: Pharmacist-involved total parenteral nutrition managed program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outcome showed the improved effectiveness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with pharmacist interventions and no differences in adverse reactions. This could prove the positive effects of pharmacist involvement on nutritional therapy for neonate population.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for 200 hospitalized adult patients in Samsung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st in 1995 to June 31st in 1997. Standard criteria were modified and determined from those stated by AJHP (American Journal of Health System Pharmacy) and ASPEN (American Society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The justification for indications was appropriate in $35\%,\;44\%,\;and\;32\%$ of the patient's in 1995, 1996, and 1997, respectively, without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last two and half years. Before and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TPN, several monitoring indicators were well documented, and monitoring frequencies were increased over two and half years period. However, the majority of the monitoring indicators were not found in the standard criteria range of $90\%$. The monitoring indicators for electrolyte balance, $PO_4$ and Mg, were not measured appropriately and resulted in the complications which could have been prevented. The indicator for lipid tolerance, triglyceride and the indicator for hemorrhagic incidence, prothrombin time (PT), were not well documented in comparison with other indicators. The indicators for the improvement in nutritional status, albumin and total protein, were appropriate in $90\%$ of the patients. Determination of TPN formula was based on the laboratory data and chart reviews, and it was appropriate in $98\%$. But the administration of lipid and vitamin K for the prevention of essential fatty acid deficiency and hemorrhage, respectively, was not carried out appropriately when the administration of TPN was prolonged, lasting more than 7 days. When a patient returned to oral or enteral feeding, TPN was terminated. However, increase in albumin level or weight was rarely observed. In conclusion,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all work as a team and active participation to provide optimized nutrition support for partners.
Park, Huee Jin;Kim, Kyung Hoon;Lee, Hyuk Jin;Jeong, Eui Cheol;Kim, Kee Won;Suh, Dong In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제58권11호
/
pp.454-458
/
2015
Compartment syndrome is a rare but devastating condition that can result in permanent neuromuscular or soft tissue injuries. Extravasation injuries, among the iatrogenic causes of compartment syndrome, occur under a wide variety of circumstances in the inpatient setting. Total parenteral nutrition via a peripheral route is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the management of critically ill children who do not obtain adequate nutrition via the oral route. However, there is an inherent risk of extravasation, which can cause compartment syndrome, especially when detected at a later stage. Herein, we report a rare case of compartment syndrome and skin necrosis due to extravasation, requiring emergency fasciotomy and skin graft in a 7-month-old boy who was treated with peripheral parenteral nutrition via a pressurized infusion pump. Although we cannot estimate the exact time at which extravasation occurred, the extent and degree of the wound suggest that the ischemic insult was prolonged, lasting for several hours. Pediatric clinicians and medical teams should carefully examine the site of insertion of the intravenous catheter, especially in patients receiving parenteral nutrition via a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with a pressurized infusion pump.
Parenteral nutrition has been an essential part of postoperative care of neonates requiring major surgery who are unable to tolerate enteral feeding for long periods during the postoperative period. However, TPN via central venous catheters(central TPN), used in increasing trend, still presents significant morbidity. To find out whether TPN via peripheral veins(peripheral TPN) could be used as a viable alternative for postoperative parenteral nutrition in neonates, a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by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3 neonates subjected to peripheral TPN for more than 7 days after surgery. Operations consisted of procedures for esophageal atresia with tracheoesophageal fistula, gastroschisis and omphalocele. Surgery was performed at the Division of Pediatric Surgery, Department of Surgery, Hanyang University Hospitall, from 1983 to 1994. The mean total duration of TPN was 13.3 days (range; 7-58 days), the average daily total fluid intake was 117.6 ml/kg during TPN and 158.6 ml/kg during subsequent oral feeding. The average daily total calorie intake was 57.7 kcal/kg during full strength TPN and 101.3 kcal/kg during subsequent oral feeding. The mean urine output was maintained at 3.5 ml/kg/ hour during TPN and at 3.6 ml/kg/hour during subsequent oral feeding. The increment of body weight observed during TPN was 132 g in TEF, 53 g in gastroschisis and 3 g in omphalocele patients, while loss of body weight was not observed. The mortality rate was 5.7 %(3/53) and was related to the underlying congenital anomalies, not the TPN.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peripheral TPN observed was laboratory findings suggestive of liver dysfunction in 23 cases(43.4 %) with no significant clinical symptom or signs in any case, transient pulmonary edema in one case, and generalized edema in one case. N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usually expected associated with central TPN were observe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ripheral TPN can be used for adeguate postoperative nutritional support in neonates requiring 2 to 3 weeks of TPN.
Umbilical venous catheterization (UVC) is a common practice in intensive neonatal care. However, a malpositioned UVC and its prolonged use may lead to various problems, including mechanical, infectious, and thrombotic complications in various organs such as the liver, lungs, and heart. Congenital chylous ascites is characterized by abnormally high levels of triglycerides in the peritoneal fluid of newborns, which originate from refluxed lymph within the abdominal cavity. Herein, we report a case of an UVC complication presenting as chyloperitoneum simulating congenital chylous ascites in a preterm neonate that resulted from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extravasation from a malpositioned UVC. Biochemical analysis of intraperitoneal chylous fluid and TPN infusate could help confirm the origin of chyloperitoneum. This case suggests that TPN extravasation from UVC should be considered when chyloperitoneum develops in newborns with an indwelling catheter. UVC positions must also be carefully monitored at regular intervals to recognize associated complications early, particularly in cases with an inevitably malpositioned catheter related to the anatomy of the vessel course.
목 적: 담즙울체를 포함한 간기능 이상은 총정맥영양법을 시행받는 환자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합병증 중 하나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주기성 정맥영양법이 있으나 소아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총정맥영양법의 합병증으로 생긴 간기능 이상의 발생초기에 주기성 정맥영양법을 시행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연구대상은 미숙아를 제외한 유소아로 총정맥영양법에 의한 담즙울체 및 간효소치의 증가를 보이고 혈역학적, 대사적으로 안정되었으며 주기성 정맥영양법이 간기능 이상을 보이는 초기에 시도되었던 12례의 환아들이었다. 주기성 정맥영양법의 중단시간은 3개월 미만에서는 2시간 이하, 그 이상에서는 4시간으로 하였다. 환아들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진단명, 지속성과 주기성 정맥영양법의 시행기간과 방법, 대사성 혹은 감염성 합병증 유무, 병행된 경관영양유무 및 정맥영양법을 시행하기 전후의 혈청 총 빌리루빈과 간효소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 과: 1) 환아들의 정중연령(median age)은 주기성 정맥영양법 시작시 4세(생후 2개월에서 17세)였고 기저질환은 만성가성장폐색증 4례를 비롯하여 다양하였다. 2) 동일 예에서는 대부분에서 투여된 단백과 포도당, 지방의 투여량에 차이가 없었다(p<0.05). 주기성 정맥영양법을 시행하는 동안 1례에서 잘 조절되지 않는 고혈당이 나타나 포도당의 감량이 필요하였으나 다른 대사성 및 정맥관의 감염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3) 혈청 총빌리루빈은 총 5례에서 상승하였고 주기성 정맥영양법 시행 후 전 증례에서 정상화되었다(p<0.05). 주기성으로 전환시 혈청 빌리루빈은 3.6 mg/dL였으며 정상화된 때까지 걸린 기간은 8일이었다. 4) AST/ALT의 상승은 12례에서 모두 관찰되었고 주기성 정맥영양법 시행 후 전례에서 정상화되었다. 주기성으로 전환시 혈청 ALT는 200 IU/L였으며 주기성 정맥영양 시행 후 정상화된 때까지 걸린 기간은 34일이었다. 결 론: 저자들은 장기간의 총정맥영양법으로 인해 발생한 간기능 이상을 보인 유소아에서 주기성 정맥영양법으로의 조기전환이 효과적인 치료적 대안이 될 수 있으며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방법임을 관찰하였다. 향후 주기성 정맥영양법은 총정맥영양을 시행받는 소아들에서 간기능 이상을 방지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일차적인 방법으로 더욱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race elements compose a very small portion of the body, however they have a variety of essential functions. Various diseases are caused by trace element deficiencies, and sometimes they can be fatal. Long-term TPN is a risk factor of trace element deficiency, and trace elements need to be checked regularly while receiving TPN. It is important to provide sufficient requirements of trace elements regarding the clinical features and the problems of trace element excess or deficiency. Moreover extensive studies to establish the efficiency of examining human hair and nails, recent method to determine the trace elements, are required.
Total parenteral nutrition(TPN)의 구성성분으로써 지방질 수액제의 사용은 점차 많아지고 있지만 사용량이나 사용대상에 대해서는 아직도 규명해야 할 것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 지방질 수액제들을 사용했을 때 이들이 혈청 지질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검토하였다. 각각의 시판 지방질 수액제를 12명의 정상적인 사람에게 주사한 후 5분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내 각종 지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혈청내에서 지질이 감소되는 속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혈청중 중성지방의 fractional removal rate(K)와 반감시간(t/2)를 intravenous fat tolerance test(IVFTT)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측정한 각종 항목에서 두 시판 지방질 사이에 통계적 차이를 볼수 없었으며 어떤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두 제품 모두 혈액중의 지질감소, 속도가 유사하였다.
목 적 : 담즙 흐름의 결정적인 인자는 담즙산의 장간순환이며, 담즙 흐름이 저하되면 직접 빌리루빈 분비 장애가 오고 혈청 직접 빌리루빈과 혈청 담즙산이 증가한다. 담즙산은 연장아나 성인에서 급만성 간염, 간경화, 담즙정체증 등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지표이다. 신생아의 간은 담즙산 저장이 저하되어 있고 담즙산의 흡수와 분비가 미성숙하며 장간순환이 감소되어 있다. 저자들은 총정맥영양에 의한 미숙아 담즙정체증에서 혈청 담즙산의 진단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신생아들 중 선천성 감염, 패혈증, 간외담도폐쇄증, 해부학적 소화기계 이상이 배제되고 담즙정체가 없었던 신생아들을 선별하여 생후 1일부터 60일까지 혈청 담즙산을 측정하고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정맥영양에 의한 담즙정체증으로 진단되었던 미숙아들에서 혈청 직접 빌리루빈, 혈청 담즙산, 감마글루탐산전이효소, 알칼리인산분해효소를 측정하고 상호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담즙정체증이 없는 신생아는 292명으로 남아 156명(53.4%), 여아 136명(46.6%)이었고 만삭아 199명(68.2%), 미숙아 93명(31.8%)이었다. 담즙정체증이 없는 신생아에서 출생 당시 혈청 담즙산은 $15.03{\pm}7.43{\mu}mol/L$이었으며, 점차 상승하여 생후 2주 이후에는 $20-25{\mu}mol/L$으로 비교적 일정하였다. 총정맥영양에 의한 담즙정체증이 있었던 미숙아는 34명으로 남아 13명(38.2%), 여아 21명(61.8%)이었으며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은 각각 $30^{+2}{\pm}2^{+3}$주, $1,381.1{\pm}403.6g$이었다. 총정맥영양에 의한 미숙아 담즙정체증이 있었던 미숙아에서 혈청 담즙산이 95% 신뢰구간의 상한값인 $40.78{\mu}mol/L$을 넘는 시기는 $28.1{\pm}18.3$일이었고 혈청 직접 빌리루빈이 2.0 mg/dL 이상으로 상승된 시기는 $34.9{\pm}18.3$일로 혈청 담즙산 농도의 상승이 혈청 직접 빌리루빈의 상승보다 약 7일 먼저 선행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혈청 담즙산, 감마글루탐산전이효소, 알칼리인산 분해효소를 비교 분석하였을 때, 혈청 직접 빌리루빈과 가장 상관성이 높은 지표는 혈청 담즙산이었다(r=0.487, P=0.000). 결 론 : 총정맥영양에 의한 미숙아 담즙정체증에서 혈청 담즙산은 가장 상관성이 높은 지표이며 혈청 직접 빌리루빈 보다 먼저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조기 진단 및 조기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