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lysine

검색결과 644건 처리시간 0.03초

The effect of finishing diet supplemented with methionine/lysine and methionine/α-tocopherol on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 Barido, Farouq Heidar;Utama, Dicky Tri;Jeong, Hae Seong;Kim, Juntae;Lee, Chang Woo;Park, Yeon Soo;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69-78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diets with and without supplements of methionine/lysine (met/lys) and methionine/α-tocopherol (met/α-tocopherol) on the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Methods: A total of 21 Hanwoo steers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Each group consisted of 7 animals that received different dietary treatments for 120 days as follows: a control (C) diet composed of a basal diet with 74% total digestible nutrient and 12% crude protein; treatment 1 (T1) composed of a basal diet enriched with methionine 69%+lysine 31%; and treatment (T2) composed of a basal diet enriched with methionine 84.65%+α-tocopherol 15.35%. Daily supplementation was given using the top-dressing method (20 g/animal). Results: The met/lys groups yielded a longissimus lumborum with increased water holding capacity (p<0.01) and lower shear force value (p<0.05). Dietary met/lys did not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animal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Instead, these supplement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higher protein content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p<0.05). Myristic acid (C14:0) was the only fatty acid affected by the supplementation. While the met/α-tocopherol group led to significantly higher protein and oxymyoglobin contents during storage (p<0.05). It also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lower shear force value an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score during storage (p<0.05)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reatment 1 since the initial storage day. The met/α-tocopherol diet also yielded meat with a redder color (p<0.05) after 3 days of storage. However, it did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fatty acid profiles of Hanwoo steers. Conclusion: Met/lys supplementation resulted in higher protein scores, water holding capacity and lower shear force scores. While met/α-tocopherol supplementation contributes to the production of redder meat, reduces lipid oxidation, production of more tender meat and increases the content of protein and oxymyoglobin percentage.

붕어 및 가물치의 단백질 및 아미노산 조성 (Compositions of Protein and Amino Acid in Crucian Carp and Snakehead)

  • 최진호;임채환;최영준;김창목;오성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3-338
    • /
    • 1986
  • 우리 나라 전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는 붕어와 가물치의 영양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백질,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을 분석하고, 육단백질중 근형질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은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하여 그 구성 sub-unit를 검토하였다. 가물치는 붕어에 비하여 조단백질의 함량이 $3\%$가량 높았으며 Ex 분의 함량 또한 월등히 많았다. 육 단백질을 구성하는 단백질 조성은 붕어의 경우 근형질 단백질이 $32.6\%$, 근원섬유 단백질이 $62.0\%$, 알칼리가용성 단백질이 $4.9\%$, 기질 단백질이 $0.6\%$이었으며, 가물치는 근형질 단백질이 $30.7\%$, 근원섬유 단백질이 $64.1\%$, 알칼리가용성 단백질이 $4.7\%$, 기질 단백질이 $0.4\%$를 차지하고 있었다. 근형질 단백질과 근원섬유 단백질 분획의 일부에 대하여 구성 subunit를 분석한 결과, 붕어의 근형질단백질은 10개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었고, 가물치는 12개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근원직유 단백질은 붕어가 19개의 subunit이었으며, 가물치는 18개 subunit로 이루어져 있었다. 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 조성은 lysine과 glutamic acid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붕어와 가물치가 비슷한 편이었으며,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및 arginine이 전체 구성아미노산의 약 $46\%$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유리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 붕어는 histidine이 전체유리아미노산의 $52.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물치는 glutamic acid, glycine와 taurine이 전체유리아미노산의 약 $84.5\%$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총 유리아미노산의 양에 있어서 가물치는 붕어의 약 6.2배에 달하였다.

  • PDF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6. 저식염 멸치젓 및 조기젓의 정미성분 (Studio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6. Taste Compounds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and Yellow Corvenia)

  • 차용준;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2
    • /
    • 1985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수산발효식품인 젓갈을 식염농도를 낮추어 저장성이 있으면서도 풍미에 손색이 없고 또한 기호에 맞는 저식염젓갈을 가공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KCI을 $50\%$ 까지 대체하여 식염농도를 $4\%$ 까지 낮추어 제조한 저식염멸치젓과 조기젓 숙성중의 정미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완숙기(숙성 60일경)의 멸치젓에서 양적으로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lysine, alainne, leucine, valine, isoleucine, histidine, threonine 및 glycine 등 8종이었고, 조기젓(숙성 90일경)에서는 lysine, leucine, alanine, valine, threonine, isoleucine, glutamic acid 및 methionine 등 8종이었다. 그리고 멸치젓 및 조기젓 엑스분질소에 대한 유리아미노산질소의 비율은 각각 $57\%$$41\%$ 범위였으며, 저식염젓갈과 재래식젓갈제품 상호간의 차이는 없었다. 핵산관련물질은 멸치첫, 조기젓 모두 hypoxanthine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완숙기의 멸치젓 엑스분질소에 대한 총 creatinine질소의 비율은 $5.5{\sim}6.2\%$범위였고, 조기젓에서는 $8\%$ 범위였다. 결론적으로 저식염젓갈은 어종에 관계없이 재래식으로 담근 젓갈에 비해 별 손색이 없었으며 멸치젓 및 조기젓 정미성분의 주체는 유리아미노산이었고 핵산관련물질과 총 creatinine이 보조적인 구실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자이언트흑마늘의 유효성분 분석 (Analysis of Active Components of Giant Black Garlic)

  • 김담;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72-1681
    • /
    • 2015
  • 자이언트마늘을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시킬 시에 새롭게 생성되거나 증강되는 유효성분을 측정하여 기존의 일반마늘 및 이를 숙성시킨 일반흑마늘과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자이언트마늘에서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 수분은 감소하였으며 회분, 조단백, 조지방은 증가하였고, 일반마늘에서 일반흑마늘로 숙성 후에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pH는 숙성 후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숙성 후 증가했지만 자이언트흑마늘과 일반흑마늘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환원당의 경향도 유사하였다. 총 피루브산의 함량은 숙성 후에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에 비하여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구성 아미노산 측정 결과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histidine, lysine, arginine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이 많게는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보다 숙성 후 총 아미노산 함량의 증가비율이 더 높았다.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보다 arginine, cysteine, lysine, phosphoethanolamine, urea를 제외한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taurine, phosphoethanolamine, ${\beta}$-alanine, ethanolamine이 신규 생성 되었다. 무기질의 측정 결과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구리, 철, 마그네슘, 나트륨이 증가하였다. S-Allyl-L-cysteine의 함량은 자이언트흑마늘이 자이언트마늘에 비해 약 4배 증가했으며 일반흑마늘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S-Allylmercaptocysteine도 마찬가지로 숙성시에 함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자이언트마늘의 가공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 Advances in Amino Acid and Energy Nutrition of Prolific Sows - Review -

  • Boyd, R.D.;Touchette, K.J.;Castro, G.C.;Johnston, M.E.;Lee, K.U.;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1호
    • /
    • pp.1638-1652
    • /
    • 2000
  • Prolific females require better nutrition and feeding practice because of larger litter size and the substantial decline in body fat. Life-time pig output will be compromised if body protein and fat are not properly managed. First litter females are especially vulnerable because they can loose ${\geq}15%$ of whole-body protein. Conservation of body protein mass during first lactation minimizes wean to estrus interval and increases second litter size (up to 1.2 pigs). The ability to influence litter-size by amino acid nutrition is a new dimension in our understanding. A P2 fat depth below 12 mm at farrow and below 10 mm at wean compromised wean to estrus interval (>2 d) and next litter size (0.5 to 1.5 pigs) in sows. It is now clear that a 'modest' excess of feed during the first 72 h of pregnancy decreases embryo viability so that the potential for an increased litter size at birth is not realized. The capacity for milk production by prolific young sows is 25% higher than the standard used previously (NRC, 1988). First litter females averaged 9.82 kg milk/d for a 21 d lactation. Second and third litter counterparts averaged 10.35 kg/d. Milk production was 95% of peak by 10 d of lactation and sows were in greatest negative energy and lysine balance during the first 6 d. Nearly 45% of the total loss in body protein occurred within the first 6 d, but this could reduced to 30-35% by using a more aggressive feeding strategy after parturition. There appear to be 2 phases in lactation for lysine need (d 2-12 vs 12-21). Feeding to the higher level alleviates the second litter size decline. The lysine requirement for lactation can be predicted with accuracy, but we are not able to predict the second limiting amino acid. Mammary uptake of valine relative to lysine and recent work with practical diets suggest that the recent NRC (1998) pattern is realistic and that threonine and valine could be co-limiting for corn-soy diets for prolific sows nursing 10-11 pigs.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refine the ideal pattern so that synthetic lysine can be used with more confidence. Milk fat output for the elite sow is extraordinary and poses an unnecessarily high energetic cost. Methods that reduce mammary fat synthesis will benefit the sow and may enhance piglet growth.

Estimation of Protein Deposition Rate of Growing-Finishing Pigs Reared in Commercial Conditions in Korea

  • Kim, J.H.;Sohn, K.S.;Hynn, Y.;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8호
    • /
    • pp.1147-1153
    • /
    • 2000
  • A total of 9,540 pigs were evaluated for their growth performanc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different feeding strategies to support maximum rate of protein deposition (PD). Large variations in growth performance and protein deposition rate were found in the population used in this study (ADG from 701 to 974 g/day; ADFI from 1,726 to 2,498 g/day; Feed/gain from 2.10 to 2.90; Backfat thickness from 12.4 to 20.5 mm and PD rate from 103 to 153 g/day). It was found that ADG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PD ($R^2=0.9362$, p<0.0001) while FCR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PD ($R^2=0.4031$, p<0.0001). Backfat thick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PD ($R^2=0.7024$, p<0.0001) and to ADG ($R^2=0.5096$, p<0.0001). The estimated lysine requirement based on PD rate also showed large variation (12.37 to 18.38 g/day true ileal digestible lysine on average between 25 and 100 kg), thus strongly indicated the need of separate feeding strategies for each group of pigs. When pig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estimated whole body PD rate, the group of pigs with the highest PD rate grew faster by 6.3 and 13.9% than pigs with intermediate and low PD rate, respectively. Feed utilization was also more efficient in pigs with a high PD rate. It appeared that pigs with high PD rate maintained higher PD rate especially in the later stage of their life. Pigs with high PD rate require an extra amount of 1.2 and 2.4 g/true digestible lysine per day and 0.4 and 0.8% more lysine in the diet than pigs with intermediate and low PD rate during the growing-finishing period respectively.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separate feeding strategies for individual group of pigs with different PD rate. It should be noted that average value for each group presented in this report is not the adequate amount for an animals potential for maximum PD rate. With recent development in growth modeling and access to computer technologies to facilitate computation, pork producers can easily estimate pigs protein deposition rate and thus can make their own feeding strategies.

복원력이 좋은 정어리 단백질 농축물의 가공 -2. 정어리 단백질 농축물의 저장안정성 및 이용- (A Study on the Processing of Sardine Protein Concentrate with Good Rehydration Capacity -2. Changes of Quality in Sardine Protein Concentrate during Storage and its Utilization-)

  • 이승원;주동식;김진수;안창범;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4-151
    • /
    • 1991
  • 식품 가공용 중간 소재로 이용하기 위해 제조한 정어리 농축 단백질의 상온 저장 중 변화와 튀김스낵 제조 시 정어리 농축 단백질을 첨가하여 제품특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고온가압처리한 제품의 유효 lysine 및 소화율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pH, 아미노질소 및 수분활성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TBA값, 과산화물값 및 혼합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고온가압처리하여 진공 포장한 제품이 지질산화가 효율적으로 억제되었다. 고온가압하에서 처리한 제품의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lys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및 leucine이었고, 이들이 전체 구성아미노산의 $40\%$ 이상을 차지하였다. 고온가압하에서 처리한 농축 단백질과 전분, 대두단백질, 소금, 설탕, 생강가루, 중탄산나트륨 및 GDL을 혼합하여 만든 튀김 스낵의 제품 특성 및 관능검사를 비교 검토한 결과, 농축 단백질을 전분에 대해 $14.3\%$까지는 첨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본 시제품은 종래의 농축 어육 단백질에 비해 가공방법이 간단하고 기능성에서도 손색이 없는 제품이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새로운 식품 가공용 중간소재로 이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 PDF

천연 및 양식산 잉어와 이스라엘 잉어의 구성아미노산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Amino Acid Profiles of Wild and Cultured Carp, and Israeli Carp)

  • 최진호;임채환;최영준;박길동;오성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45-549
    • /
    • 1985
  • 담수어로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잉어와 이스라엘 잉어의 식품학적, 영양학적 가치평가를 위하여 육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고, 사료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이 육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에 미치는 영향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또한 in vitro법에 의한 단백질의 품질추정을 위한 실험을 병행하였다. 천연산 및 양식산 잉어육의 단백질 함량은 각각 $17.0\%$$16.1\%$이었으며, 이스라엘 잉어의 조단백질 함량은 $17.8\%$이었다. 양식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은 치어가 $32.6\%$, 성어가 $24.9\%$이었으며, 이스라엘 잉어사료는 $26.4\%$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육단백질의 총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천연산에 비하여 양식산이 lys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함량이 다소 높았다. 또한 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alanine의 함량이 전체 아미노산의 $52\%$를 차지하여 비교적 많은 함량임을 알 수 있었다. 이스라엘 잉어는 lysine의 함량이 극히 높았으나 cysteine, methionine, proline 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천연 및 양식산 잉어에 비하여 아미노산 함량은 낮은 편이었다. 사료단백질의 아미노산 종 histidine, tyrosine, aspartic acid, alanine, glutamic acid는 어육의 축적단백질로서, 어육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된다. in vitro digestibility, predicted digestibility, C-PER, DC-PER로서 비교했을 때 양식산과 천연산간에는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스라엘 잉어의 경우는 이들 잉어에 비하여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 PDF

Potassium L-lysine을 이용한 연소 후 이산화탄소 포집 (Post-combustion CO2 capture with potassium L-lysine)

  • 임진아;윤여일;남성찬;정순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627-4634
    • /
    • 2013
  • 지구온난화 주요 원인 중에 하나인 이산화탄소의 효율적 저감을 위해 새로운 흡수제인 아미노산염 흡수제를 개발하여 이산화탄소 연속공정을 연구하였다.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에 소요되는 비용 중 약 70%는 이산화탄소 포집비용이며,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 중에서 이산화탄소 흡수, 재생, 열화 등 흡수제에 의한 공정유지 비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연속공정을 통한 흡수제의 특성 평가는 새로운 흡수제 개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potassium L-lysine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수 재생 연속공정을 평가하여 공정 스케일업에 필요한 엔지니어링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흡수제와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등 다양한 조건에서 아미노산염 흡수제의 최적 조건을 평가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L/G가 커질수록 이산화탄소 제거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L/G 3.5에서 흡수탑과 재생탑 공정이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또한 아미노산염 흡수제는 유량 1.5 $Nm^3/h$인 상태에서 L/G 3.5, 이산화탄소 농도 10.5 vol%의 공정 조건일 때 가장 높은 이산화탄소 제거효율이 나타내었다.

결착제를 달리한 순대의 성분에 관한 연구 (Effects of Binding Materials on Nutrients of Soondae)

  • 손정우;이숙미;염초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4-248
    • /
    • 1999
  • 본 논문에서 돈혈을 사용한 순대와 돈혈을 혈장과 난백으로 대체한 순대의 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돈혈을 15% 첨가한 순대의 일반성분은 수분 66.1%, 단백질 9.2%, 지방 10.4%, 회분 0.9%, 섬유소 0.5%, 탄수화물 12.7%였으며 Atwater계수로 환산한 총 칼로리는 181.92kcal/100g였다. 그러나 순대에 혈장을 대체함에 따라 163.78kcal/g으로 총 칼로리의 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며 난백 첨가에 따라 총 칼로리가 230.77kcal/g으로 증가하였다. (2) 무기질은 돈혈 첨가 순대에서 Fe 함량이 8.50 mg%으로 우수한 철분 함유 식품이었으며 돈혈장, 난백 대체 비율 증가에 따라 Fe, Na, K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Ca, P, Mg 함량은 시료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순대에서의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glycine, alanine의 함량이 많았고 methionine, cysteine의 함량이 적었다. (4)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89.5∼93.5%를 차지하였다. 순대에서 돈혈장과 난백의 대체는 불포화/포화지방 산비와 다가불포화/포화지방산 비를 증가시키는 바람직한 영향을 주었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control인 혈액순대가 66.6 mg이었으나 혈장과 난백을 대체함으로써 각각 25.7%, 36.9%의 콜레스테롤 함량 저하 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