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and amino nitrogen

검색결과 783건 처리시간 0.027초

주정을 이용한 멸치액젓의 탈염공정 및 품질특성 (Desalting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Using a Spirit)

  • 장미순;박희연;남기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93-9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시판 멸치액젓에 주정을 일정한 비율로 첨가하여 소금의 용해도를 낮춤으로서 소금을 석출시키는 탈염방법을 활용하여 저염 멸치액젓의 제조공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판 멸치액젓과 주정을 활용하여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성분, 총질소, 아미노태 질소, 대장균 및 아미노산 함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시판 멸치액젓에 대해 주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멸치액젓의 염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즉, 멸치액젓 100 mL에 대해 주정을 각각 100% 및 300%(v/v)를 첨가한 경우에 멸치액젓의 염도는 14.3% 및 10.3%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염도 23%인 식염수 용액의 실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탈염처리 한 멸치 액젓의 총질소 함량은 1.20%이었고,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784.03 mg/100 g으로, 시판 멸치액젓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시판 멸치액젓과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주요 총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lysine 및 leucine이었고,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탈염처리 한 멸치액젓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판 멸치액젓과 탈염처리 한 저염 멸치액젓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공통적으로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valine, lysine 및 isoleucine 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주정을 이용하여 소금을 원하는 농도만큼 특별한 장비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멸치액젓의 탈염공정을 확립할 수 있었다. 또한 주정을 사용하여 멸치액젓을 탈염하는 방법은 총질소, 아미노태 질소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맛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의 결과로 저염 멸치액젓 상품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및 인류 보건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 부위별 성분 분석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Parts of Opuntia ficus indica from Shinan Korea)

  • 조인경;진성우;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42-746
    • /
    • 2009
  •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수분함량은 열매 71.18%, 줄기 74.85%로 나타났고, 조단백질 함량은 줄기가 3.48%로 높았으며, 조섬유 또한 줄기가 2.58%로 열매 1.54%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조회분, 조지방은 열매와 줄기 모두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maltose는 소량 검출되었고, 유기산은 tartar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가 검출되었고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위별 함량은 유리당, 유리산 모두 열매가 줄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무기성분은 K의 함량이 178.61~254.71 mg%로 가장 높았고 열매가 줄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함량은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모두 Glutamic acid의 함량이 357.10~654.82 mg%와 218.25-263.32 mg%로 가장 높았으며 열매보다 줄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게의 열수추출 부산물을 이용한 가수분해물의 제조 (Preparation of the Hydrolyzate Using Crab Byproduct after Water Extraction)

  • 김영명;이영철;구재근;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7-86
    • /
    • 1990
  • 5N HCl과 5N NaOH로 부산물의 일종인 꽃게의 열수수출 잔사를 12시간 가수분해하여 각각 산 가수분해물과 알칼리 가수분해물을 제조한 후 산가 수분해물의 경우 $Na_2CO_3$, NaOH 및 5N NaOH로 분해한 알칼리가수분해물등의 3가지 중화처리구, 알칼리가수분해물인 경우 HCl과 5N NCl로 분해한산가수분해물의 2가지 중화처리구 총 5가지 중화 처리구로 중화하여 시험하였다. 산 가수분해물은 알칼리 가수분해물에 의한 중화처리가, 알칼리 가수분해물은 산 가수분해물에 의한 중화처리가 total nitrogen과 formol nitrogen함량을 서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 함량을 줄일 수 있었으며, 가수분해물의 맛을 상승시킬 수 있었다. 5N HCl로 가수분해하여 $Na_2CO_3$, NaOH 및 5N NaOH로 분해한 가수분해물로 중화한 가수분해물의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2,274mg\%,\;2,105.0mg\%$$2,683.5mg\%$였으며, 5N NaOH로 가수분해하여 5N HCl과 5N HCl로 분해한 가수분해물로 중화한 가수분해물의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1,352.5mg\%$$2,498.8mg\%$였다. 가수분해물의 탈색 및 탈취시험은 분말활성탄외 4종의 탈색제로 탈색시험을 한 결과, 분말활성탄의 탈색율이 우수하였으며, 활성탄의 농도가 높을수록 total nitrogen과 formol nitrogen 함량이 감소하였다. 탈색과 탈취의 목적으로 활성탄 사용시 적정농도는 $1\~2\%$였다. 탈염시험은 중화처리한 가수분해물을 고농도로 농축시켜 석출하는 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39^{\circ}$ Brix이상으로 농축하면 염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Nitrogen metabolism and mammary gland amino acid utilization in lactating dairy cows with different residual feed intake

  • Xie, Yunyi;Miao, Chao;Lu, Yi;Sun, Huizeng;Liu, Jianxi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0호
    • /
    • pp.1600-1606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nitrogen (N) metabolism and mammary amino acid (AA) utilization in lactating cows with divergent phenotypes of residual feed intake (RFI). Methods: Fifty-three multiparous mid-lactation Holstein dairy cows were selected for RFI measurements over a 50-d experimental period. The 26 cows with the most extreme RFI values were classified into the high RFI (n = 13) and low RFI (n = 13) groups, respectively, for analysis of N metabolism and AA utilization. Results: Compared with the high RFI cows, the low RFI animals had lower dry matter intake (p<0.01) with no difference observed in milk yield between the two groups (p>0.10). However, higher ratios of milk yield to dry matter intake (p<0.01) were found in the low RFI cows than in the high RFI cows. The low RFI cows had significant greater ratios of milk protein to metabolizable protein (p = 0.02) and milk protein to crude protein intake than the high RFI cows (p = 0.01). The arterial concentration and mammary uptake of essential AA (p<0.10), branched-chain AA (p<0.10), and total AA (p<0.10) tended to be lower in the low RFI cows. Additionally, the low RFI cows tended to have a lower ratio of AA uptake to milk output for essential AA (p = 0.08), branched-chain AA (p = 0.07) and total AA (p = 0.09) than the high RFI cows. Conclusion: In summary, both utilization of metabolizable protein for milk protein and mammary AA utilization are more efficient in cows with lower RFI than in the high RFI cows. Our results provide new insight into the protein metabolic processes (related to N and AA) involved in feed efficiency.

멸치액젓의 맛성분조성(成分組成) 및 품질표준화(品質標準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Anchovy Sauce and their Quality Standardization)

  • 박춘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1-477
    • /
    • 1995
  • 멸치액젓의 맛성분 조성 구명 및 품질개선을 위한 품질지표설정을 목적으로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멸치액젓 6종 및 실험실에서 시제한 시제품 1종에 대하여 맛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엑스분 질소와 맛의 중요한 구성성분인 함질소 엑스성분들을 상세히 분석하여 그 조성을 밝히고, 엑스분질소와 각 함질소 엑스성분들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품질지표를 설정하였다. 시판 멸치액젓의 엑스분질소 함량은 $447{\sim}1,497$(평균 859)mg(100g중 mg, 이하같음) 범위였고, 시제품에는 1,643mg으로서 시판제품은 시제품의 52.3% 수준이었다.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시판제품이 $2,687{\sim}7,369$(평균 4,295)mg, 시제품은 7,833mg으로서 시판제품은 시제품의 54.8% 수준이었다. 함량이 많고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으로는 시판제품에서 glutamic acid, alanine, lysine, leucine, glycine의 순서였고, 시제품에서는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lysine, aspartic acid 등의 순이었다. Oligopeptide류는 시판제품에서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spartic acid, alanine 등이 많았고, 시제품은 glutamic acid, lysine, glycine, proline, aspartic acid 등의 순서였다. 핵산관련물질로는 시판제품과 시제품에서 hypoxanthine, inosine, IMP가 검출 되었으나 미량이었고, Betaine류로는 멸치 원료에서 glycinebetaine 15mg, ${\gamma}-butyrobetaine$ 17 mg 검출 되었으나 시판제품 및 시제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시판제품은 시제품보다 TMAO 함량은 높은 반면 TMA, creatine 및 creatinine 함량은 낮았다. 엑스분중의 질소분포는 유리아미노산질소가 시판제품에서 $59.5{\sim}75.8%$, 시제품은 67.8%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oligopeptide류, TMAO와 TMA, creatine과 creatinine, 핵산관련물질의 순서였다. 질소의 회수율은 시판제품에서 $82.1{\sim}96.9%$, 그리고 시제품에서는 거의 100%였다. 이상에서 분석된 멸치액젓의 엑스분질소와 함질소엑스성분들을 상관분석한 결과 엑스분질소, 핵산관련물질 총량 및 유리아미노산 총량이 품질지표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유리아미노산 중 methionine, isoleucine, valine, taurine, tyrosine, histidine, leucine 등이 특히 유의수준이 높으므로 이들이 보다 타당한 품질지표가 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재래식 조선간장과 시판양조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

  • 김영아;김현숙;정명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3-278
    • /
    • 1996
  • To investigate the main component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for its typical taste, we compa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each compon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 The significant characters for discrimin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 were salt content, ammonia nitrogen content and total acidity (R$^2$=0.99). The component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divided into 3 clusters, and each group is characterized as formol nitrogen, salt and total nitrogen content by cluster analysis. Main amino acid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were alanine, glutamic acid, leucine and valine.

  • PDF

저장온도에 따른 고추장의 품질변화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Kochujang(Red Pepper Soybean Paste))

  • 신동빈;박우문;이옥숙;구민선;정건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0-304
    • /
    • 1994
  • 고추장의 유통기간 중 품질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숙성 완료된 고추장을 $13^{\circ}C$, $27^{\circ}C$ and $37^{\circ}C$ 에 저장하면서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캡사이신함량은 저장 중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나, 아미노태질소, 표면색도,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암모니아태질소, 산도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감현상은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더욱 뚜렷하여 저장 온도가 고추장의 품질변화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균수는 저장온도 및 기간의 증가에 따라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며, 진균류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관능검사와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아미노태질소의 변화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아미노태 질소값의 변화율은 1차 반응식으로 해석되었음, 반응상수로부터 계산된 $Q_{10}$값은 2.98이었다. 또한, Arrhenius equation을 이용하여 활성화에너지를 구한 결과 15.84 Kcal/mole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시마 추출액의 특성에 미치는 추출온도의 영향 (Effect of Extraction Temperature on Some Quality of Sea Tangle Extract)

  • 이정근;최희숙;윤석근;김우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71-776
    • /
    • 1993
  • Aqueous extraction of sea tangle at the temperature range of 60~10$0^{\circ}C$ was studied for temperature effects on soluble solids and protein yields, amino nitrogen, turbidity and viscosity of extracts. The solids and protein yield wer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most of solids and protein were extracted during 1 hour. The supernatant ratio after centrifugation showed significantly low for the extraction at 6$0^{\circ}C$. More temperature effects were found on turbidity and viscosity than yields. A significantly higher total amino nitrogen contents was obtained from higher temperature at initial stage of extraction and then the differences of them became to be narrow as the extraction prolonged further. The low values of 24.1% solids and 13.5% protein yields after 2 hours of extraction at 10$0^{\circ}C$ indicated that most of solids in sea tangle are insouble.

  • PDF

굴 가공 부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II) -통조림 원료 굴의 탈각 자숙조건과 자즙중의 질소화합물의 함량분포- (Cooking condition for shelling process of raw oyster and contents of nitrogenous compounds in the cooked-released fluid of oyster)

  • 김정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1-106
    • /
    • 1975
  • 굴 탈각을 위한 자숙조건을 검토하고, 각 자숙조건별로 유출한 자중에 대하여 질소 화합물의 함량 분포에 관하여 실험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굴의 탈각을 위한 자숙조건은 탈각 능율과 육질부의 상태에 비추어 $110^{\circ}C$, 15분간이 적합하였다. 2. 자숙조건에 따라 측정한, 총 질소, 단백태 질소, 비단백태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의 각 함량은 각 은도별로 가열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110^{\circ}C$의 가열조건일 때는 이 경향이 더욱 분명한 결과이었다. 3. $110^{\circ}C$, 15분간의 자숙조건에서의 총 질소 함량은 $225.6mg\%$, 단백태 질소의 함량은 $54.4mg\%$,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89.2mg\%$이었다. 이 때의 유리 아미노산적 함량 조성은 arginine이 $26.00mg\%$, histidine이 $12.10mg\%$ 그리고 tyrosine $2.70mg\%$, leucine $2.15mg\%$, lysine $1.90mg\%$ 순이었다. glutamic acid, isoleucine, serine, threonine, glycine 등은 미량이 함유되어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중, 질소 화합물외 분석을 도와 준 부산 수산대학 대학원 정 보영 군과 유리 아미노산의 분석을 위하며 도와 준 부관 수산대학 대학원 성 낙주 군에게 감사를 표한다.

  • PDF

Effects of amino acid composition in pig diet on odorous compounds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wine excreta

  • Recharla, Neeraja;Kim, Kihyun;Park, Juncheol;Jeong, Jinyoung;Jeong, Yongdae;Lee, Hyunjeong;Hwang, Okhwa;Ryu, Jaehyoung;Baek, Youlchang;Oh, Youngkyun;Park, Sungkw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12호
    • /
    • pp.28.1-28.8
    • /
    • 2017
  • Background: Major amino acids in pig diets are Lys, Met, Thr, and Trp,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requirements for the other essential amino acids, especially on odorous compounds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in feces of growing-finishing pigs. To this end, different levels of amino acid composition added to die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mino acid composition on 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odorous compounds concentration. Methods: A total eight (n = 8) barrows (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with an average bodyweight of $89.38{\pm}3.3kg$ were individually fed diets formulated by Korean Feeding Standards 2007 (old version) or 2012 (updated with ideal protein concept) in metabolism crates with two replication. After 15-day adaptation period, fresh faecal samples were collected directly from pigs every week for 4 weeks and analysed for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phenols and indoles by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nitrogen was determined by Kjeldahl method. Bacterial communities were detected by using a 454 FLX titanium pyrosequencing system. Results: Level of VFA tended to be greater in 2012 than 2007 group. Among VFAs, 2012 group had greater (p < 0.05) level of short chain fatty acids (SCFA) than control.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in feces was also affected by amino acid composition in pig diet. Levels of ammonium and indoles tended to be higher in 2012 group when compared with 2007 group.Concentration of phenols, p-cresol, biochemical oxygen demand, and total Kjeldahl nitrogen, however, were lower (P < 0.05) in 2012 treatment group compare to 2007. The proportion of Firmicute phylum were decreased, while the Bacteriodetes phylum proportion increased and bacterial genera includingCoprococcus, Bacillus, and Bacteroides increased (p < 0.05) in 2012 compare to 2007 group. Conclusion: Results from our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well balanced amino acid composition reduces odor by modulating the gut microbial community. Administration of pig diet formulated with the ideal protein concept may help improve gut fermentation as well as reduce the odor causing compounds in pig man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