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etroleum Hydrocarbon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초

국내 유통 중인 석유제품 내 석유계 총 탄화수소화합물(TPH) 분석 (Analysis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 in Domestic Distribution Petroleum)

  • 임영관;김정민;김종렬;권민정;이경흠;류승현
    • 공업화학
    • /
    • 제27권5호
    • /
    • pp.546-550
    • /
    • 2016
  • 국내 토양오염의 60~70% 이상이 석유제품에 의한 오염이며, 석유제품에 의해 토양오염이 발생될 경우, 토양환경보전법 상 B T E X와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를 분석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석유제품에 대한 구간별 TPH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C_8{\sim}C_{40}$ 구간만을 분석하는 현행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석유제품 내 TPH를 정량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분석조건으로 분석한 결과값과 보완된 분석방법을 이용했을 시, 휘발유와 용제 1호 같은 저비점 유류의 경우, 최대 85%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토양오염 해석을 위한 석유제품 물성 및 TPH 분석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and Total Petroleum Hydrocarbon for Soil Contamination)

  • 임영관;정충섭;한관욱
    • 공업화학
    • /
    • 제23권6호
    • /
    • pp.618-623
    • /
    • 2012
  • 석유의 누출로 인해 토양과 지하수 오염이 점차 증가되면서, 토양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늘고 있다. 토양오염은 다른 환경오염에 비해 정화비용이 비싸며, 긴 정화기간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대표적 석유제품에 대한 물성분석과 함께 토양에 누유시킨 뒤, 석유계 총탄화수소화합물의 스펙트럼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유종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추후 석유에 의한 토양오염 발생 시, 어떤 석유제품에 의한 오염인지 쉽게 판단이 가능할 것이다.

Study on Individual Hydrocarbon's Composition of Gasoline Fraction of Tamsagbulag Oil, Mongolia

  • Adiya, Sainbayar;Vosmerikov, A.V.;Nordov, Erdene;Golovko, A.K.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21-27
    • /
    • 2005
  •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on oil originated in Mongolia for further application of petroleum not only as fuel but also as raw material for organic synthesis, we need to study the physical,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group hydrocarbon's compositions of main petroleum fractions. A number of studies and surveys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group hydrocarbon's composition of petroleum deposits in Zuun-Bayan, Sukhaibulag, Tsagaan Elst, Tamsagbulag have been carried out earlier through n-g-M, aniline point and dispersimetric methods successfully. Yet a detailed chromatographical and NMR spectroscopic study for the individual hydrocarbon's composition of Tamsagbulag oil main fractions has not been conducted. In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of GC analyses of gasoline fractions of wells 19-3, 19-13 and 19-10, Tamsagbulag (Eastern Mongolia) were presence. The gasoline fractions of given wells were characterized by the high concentration of paraffins and presence of trace amount of olefins. There were identified 69 paraffins, 45 naphthenes, 41 aromatics and 3 olefins in total 158 individual hydrocarbons from each samples of gasoline fraction. The first attempts to classify Tamsagbulag oil under the individual hydrocarbon's composition data were successfully conducted and the supposition of a genetic classification of given oil as "sapropelic" type was made.

The Removal of Petroleum Hydrocarbon from Fine Soil in Soil Washing Water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 Jang, Gwan-S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62-367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ozone/hydroxy radical reaction system, which applied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to remove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from the fine soil in washing water of the soil washing process. Removal efficiency was tested on 40 L of washing water in a pilot reaction tank. Fine soil contaminated with $800mg\;kg^{-1}$ TPH was prepared at 5% and 10% suspended solids. Testing conditions included ozone/hydroxy radical flow rates of 40, 80, and $120L\;min^{-1}$, and processing time of 2 to 12 hours. The removal efficiency of petroleum hydrocarbon from water waster by ozone/hydroxy radical was increased with higher flow rates and lower percentages of suspended solids. Optimal efficiency was achieved at $80L\;min^{-1}$ flow rate for 4 hours for the 5% suspended solids, and $120L\;min^{-1}$ for 6 hours for the 10% suspended solids. These results verified the efficiency of hydroxy radical in removing TPH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ozone/hydroxy radical reaction system in the field.

국내 유류오염지역에서의 석유계총탄화수소에 의한 비발암 인체위해성평가 전략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Strategy to Evaluate Non-carcinogenic Adverse Health Effect from Total Petroleum Hydrocarbon at POL-Contaminated Sites in Korea)

  • 박인선;박재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4호
    • /
    • pp.10-22
    • /
    • 2011
  •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for petroleum, oil and lubricant (POL) contaminated sites is challenging as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is not a single compound but rather a mixture of numerous substances. To address this concern, several TPH fractionation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as an effective management tool for the POL-contaminated sites in many countries. In Korea, there are also recognized needs to establish a reliable and cost-effective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strategy based on the TPH fractionation method. In order to satisfy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dem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strategy based on a newly modified TPH fractionation method with 10 fractions, the Korean Standard Test Method (KSTM)-based analytical protocol and a stepwise risk assessment framework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domestic contaminated land management system. Under the proposed strategy, POL-contaminated sites can be effectively managed in terms of human health protection, and remedial cost and time can be determined reasonably. In addition, more researches required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risks and improve the domestic management system were proposed.

포항 지역 지하수에 분포하는 탄화수소 가스의 지화학 (Geochemistry of the hydrocarbon gases in the Pohang Area)

  • 이영주;정태진;김진석;김학주;윤혜수;곽영훈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6권1_2
    • /
    • pp.37-43
    • /
    • 1998
  • 포항 지역의 지하수에 녹아있는 수용성 탄화수소 가스의 지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하수를 채취하여 지하수의 성분, 추출된 가스의 함량, 탄화수소 가스의 성분 및 탄소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하수들로부터 추출된 총 가스의 함량은 최소 27.0 ml/l, 최대 50.1 ml/l이다. 추출된 가스 중 탄화수소 성분은 메탄 $(CH_4)$이 27 ppm에서 376,420 ppm까지 나타났고 에탄 $(C_2H_6)$ 성분도 일부 시료에서 19 ppm에서 127 ppm까지 검출되었다. 지하수로부터 추출된 총 가스의 함량은 대수층 및 주변 지질에 따른 변화는 없었던 반면, 총 탄화수소의 함량은 대수층 및 주변 지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수층이 제3기층이거나 제3기 퇴적층의 두께가 두꺼운 곳에서 시추된 공의 지하수에서 탄화 수소 가스의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지하수에 녹아있는 탄화수소의 함량과 지하수의 총 고형물 (T-solids)성분이 비례하는 것으로 보아 탄화수소 성분은 제3기층의 지층수에 녹아있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지하수에서 추출된 총 탄화수소 가스 중 메탄 성분은 $99.9\%$ 이상을 차지하고, 메탄 가스의 탄소 동위원소 비 $({\delta}C^{13})$$-73.1\%_{\circ}$에서 $-43.22\%_{\circ}$ 까지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포항 지역 수용성 가스는 저온, 무산소 환경에서 메탄 생성 박테리아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된 생물기원 가스로 해석된다.

  • PDF

DAF와 펜톤 산화 공정을 이용한 유류 오염 지하수 처리 (Treatment of Oil Contaminated Groundwater Using DAF and Fenton Oxidation Process)

  • 이채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10호
    • /
    • pp.49-55
    • /
    • 2010
  • 에너지원 및 다양한 화학제품의 원료로 유류의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류의 유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유류오염 지하수 처리를 위해 용존공기부상법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용해성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하수내 주오염원인 자유상 유류와 친수성(oil-in water) 또는 친유성 에멜젼(water-in oil) 상태의 기름과 용해성 기름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용존공기부상법에 펜톤 산화 공법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유류 오염 지하수 처리를 연구하였다. 펜톤 실험 결과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 제거를 위한 최적 조건은 pH 3, $H_2O_2$ 주입농도 25mM과 $Fe^{2+}$ 주입농도 25mM으로 나타났다. DAF와 펜톤 산화 실험을 수행한 결과 7분내에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와 COD(Chemical Oxygen Demand) 농도가 각각 1.5mg/L와 40.0mg/L 이하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펜톤 산화 반응으로 인하여 슬러지 농도가 약 5배 가량 증가하여 후단에 침전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AF와 혼화응집공정을 이용한 현탁성 고형물 함유 유류 오염 지하수 처리 (Treatment of Contaminated Groundwater Containing Petroleum and Suspended Solids Using DAF and Mixed Coagulation Processes)

  • 이채영;장영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8호
    • /
    • pp.25-32
    • /
    • 2010
  • 석유계 탄화수소 화합물로 인한 토양과 지하수 오염은 환경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원인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흡착포, 활성탄 또는 중력 방식의 유수분리 장치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자유상 유류(free product)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효과적이나 에멀젼 상태의 유류는 제거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굴착시 예상되는 지하수의 고농도 현탁성 고형물로 인한 지하수 처리시 문제점과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고분자 폴리머를 사용하여 혼화 응집 실험을 수행한 결과 5분 이내에 SS(Suspended Solids)와 COD(Chemical Oxygen Demand) 농도가 지하수 수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나타났으나, TPH 농도는 방류수 수질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AF(Dissolved Air Flotation) 실험 결과 단일 DAF 공정으로는 방류수 수질 기준을 만족하지는 못하였다. 단일 DAF 반응조를 이용하여 DAF와 혼화 응집 반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20분에 모든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토양 내 석유제품 판별을 위한 TPH 및 BTEX 분석 (Combined TPH and BTEX Analytic Method to Identify Domestic Petroleum Products in Contaminated Soil)

  • 임영관;나용규;김정민;김종렬;하종한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3권6호
    • /
    • pp.263-268
    • /
    • 2017
  • The significance of maintaining the soil environment is gradually increasing owing to soil and underground water contamination by petroleum leak accidents. However, the purification of soil is an expensive and more time-consuming process than th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water and air. Moreover, determining the source and people responsible for soil pollution gets often embroiled in legal conflicts, further delaying the cleanup process of the contaminate site. Generally, 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 pattern analysis is used to determine the petroleum species and polluter responsible for soil contamination. However, this process has limited application for petroleum products with a similar TPH pattern.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TPH pattern and specific sectional ratio (${\sim}C_{10}$, $C_{10}-C_{12}$, $C_{12}-C_{36}$, and $C_{36}{\sim}$) of various domestic petroleum products to identify the petroleum product responsible for soil contamination. Also, we perform BTEX (benzene, toluene, ethyl benzene, xylene) quantitative analysis and determine B:T:E:X ratio using GC-MS. The results show that gasoline grade 1 and 2 have a similar TPH pattern but different BTEX values and ratios. This means that BTEX analysis can be used as a new method to purify soil pollution. This complementary TPH and BTEX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identify the petroleum species and polluters present in the contaminated soil.

슬러지 식종에 따른 디젤연료에 오염된 토양내 n-alkane 및 isoprenoid의 변화

  • 이태호;박현철;최선열;박태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31-134
    • /
    • 2004
  • Several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have been used for remediation contaminated by oils. However the cost was very high and secondary pollution rose during trea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ision 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 removal from artificially contaminated soil by diesel with and without seeding anaerobic digested sludge. After 120 days of overall at 35$^{\circ}C$, removal efficiency of TPH with seeding sludge was 2-3 times higher than blank. Also, the more amount seeding sludge, TPH removal efficiency and CH$_4$ content more obtained. It was sad that seeding of anaerobic digested sludge was a good method for enhancing TPH removal efficiency without increasing operating cost. Sulfate, nitrate-reducing, methanogenic condition were evaluated for alkane, isoprenoid as target contaminated soi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