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 parameter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A study on the topographical and geotechnical effects in 2-D soil-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under ground motion

  • Duzgun, Oguz Akin;Budak, Ahmet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0권6호
    • /
    • pp.829-845
    • /
    • 2011
  • This paper evaluates the effects of topographical and geotechnical irregularities on the dynamic response of the 2-D soil-structure systems under ground motion by coupling finite and infinite elements. A numerical procedure is employed, and a parametric study is carried out for single-faced slope topographies. It is concluded that topographic conditions may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 ground motion along the slope.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the soil will also have significantly amplified effects on the whole system motion, which cannot be neglected for design purposes. So, dynamic response of a soil-structure systems are primarily affected by surface shapes and geotechnical properties of the soil. Location of the structure is another parameter affecting the whole system response.

GIS 기반 하천경사 산정 및 하천망에 따른 표출 방식 개발 (Development of GIS-based Method for Estimating and Representing Stream Slopes Along the River Network)

  • 유호준;김동수;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25-738
    • /
    • 2012
  • Recently, a variety of GIS-based tools enabling to generate topographic parameters for hydrologic and hydraulic research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most of GIS-based tools are usually insufficient to estimate and visualize river channel slopes especially along the river network, which can be possibly utilized for many hydraulic equations such as Manning's formula. Many existing GIS-based tools have simply averaged cell-based slopes for the other advanced level of hydrologic units as likely as the mean watershed slope, thus that the river channel slope from the simple approach resulted in the inaccurate channel slope particularly for the mountain region where the slope varies significantly along the downstream direction. The paper aims to provide several more advanced GIS-based methodologies to assess the river channel slopes along the given river network. The developed algorithms were integrated with a newly developed tool named RiverSlope, which adapted theoretical formulas of river hydraulics to calculate channel slopes. For the study area, Han stream in the Jeju island was selected, where the channel slopes have a tendency to rapidly change the upstream near the Halla mountain and sustain the mild slope adjacent to watershed outlet heading for the ocean. The paper compared the simple slope method from the Arc Hydro, with other more complicated methods. The results are discussed to decide better approaches based on the given conditions.

경기도(京畿道) 광릉(光陵)의 활엽수림(闊葉樹林)과 침엽수림(針葉樹林) 유역(流域)의 유출량(流出量) 산정(算定)을 위한 준분포형(準分布型) 수문모형(水文模型)(TOPMODEL)의 적용(適用) (Application of The Semi-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TOPMODEL) for Prediction of Discharge at the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 Catchments in Gwangneung,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 김경하;정용호;박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2호
    • /
    • pp.197-209
    • /
    • 2001
  • 준분포형 수문모형인 TOPMODEL은 산림유역의 유출량, 주 유출경로 및 수질을 공간적으로 예측하는데 많이 적용된다. TOPMODEL은 물리모형이 아니라 일종의 개념모형이며 주요 구성요소는 지형지수와 토양의 수평전달계수로 각각 지표면과 지표하 유출의 기여면적을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소규모 산림유역에서 TOPMODEL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지는 1979년부터 임업연구원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서울 근교 경기도 광릉시험림에 위치해 있다. 활엽수림 유역은 임령이 약 80년, 유역면적이 22.0ha이고, 침엽수림 유역은 임령이 약 22년, 유역면적이 13.6ha이다. 관측자료는 활엽수 유역의 경우 1995년 7월과 2000년 6월에 발생한 2개 강우-유출사상이고 침엽수 유역의 경우 1995년과 1999년 7월 그리고 2000년 8월의 3개 강우-유출사상을 이용하였다. 지형지수는 $10m{\times}10m$의 수치지형도를 만들어 계산하였다. 지형지수 분포는 활엽수림 유역의 경우 2.6에서 11.1, 침엽수림 유역은 2.7에서 16.0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예측 효율성을 목적함수로 최적화한 결과 모형매개변수(m)와 유역의 평균 포화수평전달계수($lnT_0$)가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매개변수의 최적값은 활엽수림 유역의 경우 m값은 0.034와 0.038 그리고 $lnT_0$값은 8.672와 9.475였으며, 침엽수 유역의 경우 m값은 0.031, 0.032, 0.033 그리고 $lnT_0$값은 5.969, 7.129, 7.575였다 이들 값을 이용하여 모의한 결과 모형의 예측 효율성은 활엽수림 0.958과 0.909 그리고 침엽수림 0.825, 0.922와 0.961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강우-유출량 관측치와 모의치를 이용하여 강우-수문곡선을 작성한 결과 두 유역 모두 유출지연시간은 잘 일치하였다. 일부 강우-유출사상의 경우 총유출량과 첨두유량의 관측치와 모의치 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TOPMODEL은 전반적으로 10% 이하의 오차범위에서 총유출량과 첨두유량을 예측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TOPMODEL은 우리나라의 미계측 산림유역에서 유출량을 산정하는데 유용한 수문모형이다.

  • PDF

규모문제를 고려한 수문응답의 해석: 2. 적용 및 분석 (Hydrologic Response Analysis Considering the Scale Problem: Part 2. Application and Analysis)

  • 성기원;선우중호
    • 물과 미래
    • /
    • 제28권5호
    • /
    • pp.117-127
    • /
    • 1995
  • 해상도를 고려하는 GIUH 모형에 대한 적용과 분석을 평창강 유역의 소유역인 이목정유역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모형의 적용과 Fractal 분석을 위해 1:25,000, 1:50,000 그리고 1:100,000 축척의 지도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축척간의 비율이 일정한 값을 갖는다. 링크의 길이는 해상도 1mm의 구장기를 이용하였고 Fractal 차원은 Richardson 방법을 사용하였다. 지도의 축척에 따라 매개변수들의 현저한 변화를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매개변수의 물리적 의미를 상실하게 한다. 그런데 Fractal 변환과 의 Melton지형법칙은 이러한 규모문제를 효과적으로 조정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법은 하도망과 유역간의 연관성을 모형에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GIUH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지수형 GIUH 모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2모수 gamma GIUH 모형이 좋은 재현성을 보였다. 따라서 Fractal 이론을 도입한 2모수 gamma GIUH 모형은 축척을 고려하는 IUH를 유도하는데 있어서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Injection of an Intermediate Fluid into a Rotating Cylindrical Container Filled with Two-layered Fluid

  • Na, Jung-Yul;Hwang, Byo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1권4호
    • /
    • pp.173-182
    • /
    • 1996
  • A median-density fluid was injected into the upper layer of a two-layered fluid in a rotating cylindrical container. Several sets of the top and bottom boundary configurations were employed and the flow pattern of each layer including the injected fluid was observe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ath of the injected intermediate fluid. The axisymmetric path of the intermediate fluid when the upper layer had a free surface, changed into the asymmetric path with bulged-shape radial spreading whenever either the upper layer or the lower layer had ${\beta}$-effect. The internal Fronds number that controls the shape of the interface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that determines the radial spreading in terms of location and strength. When the upper and lower layer had the ${\beta}$-effect, convective overturning produced anticyclonic vortices at the frontal edge of the intermediate fluid, and that could enhance the vertical mixing of different density fluids. The intermediate fluid did not produce any topographic effect on the upper-layer motion during its spreading over the interface, since its thickness was very small. However, its anticyclonic motion within the bulged-shape produced a cyclonic motion in the lower layer just beneath the bulge.

  • PDF

GIS와 PRISM을 이용한 고해상도 격자형 기온자료 추정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Gridded Temperature Using GIS and PRISM)

  • 홍기옥;서명석;나득균;장동호;김찬수;김맹기
    • 대기
    • /
    • 제17권3호
    • /
    • pp.255-268
    • /
    • 2007
  • This study generated and evaluated the high resolution (5 km) gridded data of monthly mea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from 2002 to 2005 over South Korea using a modified PRISM(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 K-PRISM) developed by Daly et al. (2003). The performance of K-PRISM was evaluated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ways using the observations and gridded data derived by 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and hypsometric methods (HYPS). For the generation of high resolution gridded data, geographic informations over South Korea, such as the digital elevation, topographic facet and coastal proximity, are derived from the 1 km digital elevation data. The spatial patterns of temperature derived by K-PRISM were more closely linked to topography and coastal proximity than those by IDW. The K-PRISM performed much better than IDW for all months and temperatures, but it was equal to or slightly better than the HYPS. And the performances of K-PRISM were better in the minimum and mean temperature (winter) than the in maximum temperature (summer).

수치 지형인자를 활용한 토양수분분포 예측 (Prediction of Soil Distribution Using Digital Terrain Indices)

  • 이학수;김경현;한지영;김상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391-401
    • /
    • 2001
  •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지표면 곡률관련인자, 지형흐름인자, 태양에너지 복사인자들을 계산하였다. GPS와 토양수분측정기를 활용한 산지유역에서의 토양수분측정은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자료의 구축을 가능하게 했다. 측정된 토양수분자료와 토양수분 추정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토양수분 추정인자와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상황에 대한 검토는 수치고도모형(DEM)의 분석을 통한 토양수분 추정능력의 가능성과 한계성을 보여주었다.

  • PDF

공간정보를 이용한 분포형 유역 수질 모의 (Analysis of Water Quality on Distributed Watershed using Topographic Data)

  • 유병로;정승권;전계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1호
    • /
    • pp.897-913
    • /
    • 2004
  •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도시하수, 공장폐수 등의 점오염원에 국한하여 수질관리를 시행하여 부분적으로 밖에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오염원에 대한 최적관리를 위해서는 유역의 토지특성 및 토양 형태에 따른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특성별로 발생하는 오염원을 산정하기 위해 분포형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상세한 유역특성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GIS 기법을 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수질관리모형으로 연속 강우 사상에 대해 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출량 및 첨두유량, 유사량, 비점오염 부하량 등을 산정할 수 있는 AnnAGNPS 모형을 적용하였고, 모형내의 부모듈을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생성 및 가공하여 적용하였다. 대상유역은 팔당호 유역권에 포함되는 복하천 유역을 선정하였으며, 1999년과 2000년 호우기의 각각 2개의 강우 사상을 적용하였다. 우선 강우시 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출량을 모의하고, 이를 복하교 지점의 실측유량자료와 비교, 보정하여 모형의 입력 매개변수를 조정하였으며, 이후 토사발생량과 오염부하량을 모의하였다 토사발생량의 경우는 실측값이 미비하여 비교분석은 못하였으나, 오염부하량의 경우 환경부에서 측정한 수질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값을 제시하였다.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Landsat ETM+ 자료 특성 (Characteristics of Landsat ETM+ Image for Gomso Bay Tidal Flat Sediments)

  • 류주형;최종국;나영호;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7-133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곰소만 조간대에서 현장 시료채취와 동시에 얻어진 Landsat ETM+ 자료를 이용하여 조간대 환경요인들이 ETM+에 의해 관측된 반사도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 밝히고, 광학위성영상을 이용한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분류의 적용 가능한 기준입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인 퇴적학적 분류 기준이 되는 4 $\Phi$ 입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입도와 영상의 반사도 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2 $\Phi$ 이상의 입자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상부조간대의 천주변에 작은 입자로 구성된 지역의 자료들을 제외하면 ETM+ 밴드 4번과 0.699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인다. 즉, 입도 2 $\Phi$ 곰소만 조간대에서의 광학위성 자료에 의한 표층퇴적물 분류를 위한 기준입도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입도와 함수율은 비교적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특히 입도 2 $\Phi$ 기준과는 -0.811로서 뚜렷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위성자료의 Factor analysis 결과는 지형요소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독일의 조간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며, 이는 곰소만의 경우는 입자가 세립하여 지형보다는 함수율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조간대 원격탐사에서는 입도뿐만 아니라 함수율과 지형 등의 환경요소가 함께 고려하여야만 한다.

Morie Topography를 이용한 피부 탄력 평가와 Cutometer 결과와의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between Cutometer and Quantitative Evaluation Using Moire Topography in Age-related Skin Elasticity)

  • 안성연;배지현;김승훈;이해광;문성준;장이섭;이옥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3-347
    • /
    • 2005
  •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에 주름이 생기고 건조해지며 탄력이 감소하게 된다. 피부 탄력은 주름과 같은 다른 변화항목처럼 노화에 따른 변화를 극명하게 눈으로 확인하기 힘들어 평가 방법에 타당성을 부여하는 과정이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령과 기기측정 결과인 Cutometer parameters 값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parameters가 노화에 의한 피부 탄력 감소를 반영해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Ur/Uf, Ur/Uf, Ur/Ue, Ua, $r=0.687{\sim}0.725)$. 또한 눈으로 보여지는 변화와 직접 피부를 만져보았을 때 느껴지는 변화를 정량평가하기 위한 평가법을 개발하였다. 50명의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얼굴 부위에서 Moire 사진을 획득하였으며 이중 피부 탄력을 설명해줄 수 있는 다섯 단계의 Moire topographic photo scale을 선정하였다. 그 다음 동일한 조건으로 $20{\sim}61$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Moire 사진을 촬영하고, 제시된 scale을 기준으로 피부 탄력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Cutometer를 이용한 기기평가$(r=-0.687{\sim}-0.725)$와 Moire topography score (r=-938)에 의한 결과는 연령과 매우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utometer 값과 Moire topography 점수간의 상관성도 비교 두 평가법 간의 상관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r=0.711). 따라서 안면부 Moire topography를 이용한 평가는 기기측정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피부 탄력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