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ic modeling

검색결과 810건 처리시간 0.022초

Analysis of Laughter Therapy Trend Using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LEE, Do-Young
    • 웰빙융합연구
    • /
    • 제5권4호
    • /
    • pp.33-3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rend and central concept of domestic researches on laughter therapy.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total 72 theses verified by inputting the keyword 'laughter therapy' from 2007 to 2021.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performed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zed the types of researches through topic modeling, and verified the visualized word cloud and sociogram. The keyword data that was cleaned through preprocessing, was analyzed in the method of centralit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hrough the 1-mode matrix conversion process by using the NetMiner (version 4.4) Program. Results: The keywords that most appeared for last 14 years were laughter therapy, depression, the elderly, and stress. The five topics analyzed in thesis data from 2007 to 2021 were therapy, cognitive behavior, quality of life, stress, and the elderly. Conclusions: This study understood the flow and trend of research topics of domestic laughter therapy for last 14 years, and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es on laughter therapy, which reflects the flow of time in the future.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다문화 연구의 이슈 추적 연구 (A Study on Issue Tracking on Multi-cultural Studies Using Topic Modeling)

  • 박종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73-289
    • /
    • 2019
  • 본 논문은 국내 다문화 관련 분야의 연구동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문화와 관련한 국내 학술 문헌을 수집하여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반의 토픽 모델링을 통해 토픽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다문화 관련 연구에서의 중심 연구 토픽을 시기별로 추적하여 그 변화의 양상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 핫 토픽으로는 '다문화 사회통합'과 '학교 다문화 교육'이 관찰되었으며 콜드 토픽으로는 '문화정체성과 민족주의' 관련 토픽이 관찰되었다.

태권도 뉴스기사의 연도별 주제어 비교분석: 토픽모델링 적용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eywords in Taekwondo News Articles by Year: Applying Topic Modeling Method)

  • 전민수;임효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575-583
    • /
    • 2021
  • 이 연구는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여 뉴스기사에 따른 태권도 동향을 연도별로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언론보도를 통한 태권도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언론재단의 빅카인즈를 통해 뉴스기사와 태권도 전문 언론에 대한 기사를 수집하였다. 검색기간은 2000년 이전, 2001년~2010년, 2011년~2020년 3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검색하여 총 12,124개를 연구자료로 선정하였다. 토픽분석을 위해 전처리 과정을 거쳤으며, LDA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토픽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모든분석은 python 3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도별에 따른 언론기사 주제를 분석한 결과 2000년이전 1위는 '세계'. 2위는 '남북', 3위는 '올림픽'으로 나타났으며, 2001년~2010년 1위는 '세계', 2위는 '협회', 3위는 '세계태권도연맹'으로 조사되었다. 2011년~2020년 1위는 '세계', 2위는 '시범', 3위는 '국기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0년이전 뉴스기사를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한 결과 토픽은 2가지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으로 Topic 1은 '남·북 체육교류', Topic 2는 '올림픽 시범종목 채택'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2001년~2010년 뉴스기사를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한 결과 토픽은 3가지로 선정되었다. Topic 1은 '태권도 시범공연 및 비리', Topic 2는 '무주태권도공원 조성', Topic 3은 '세계태권도축제'로 선정되었다. 넷째, 2011년~2020년 뉴스기사를 토픽모델링으로 분석한 결과 토픽은 3가지로 선정되었다. Topic 1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 Topic 2는 '남북 태권도 합동시범공연 ', Topic 3은 '2017 무주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로 선정되었다.

Too Much Information - Trying to Help or Deceive? An Analysis of Yelp Reviews

  • Hyuk Shin;Hong Joo Lee;Ruth Angelie Cruz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3권2호
    • /
    • pp.261-281
    • /
    • 2023
  • The proliferation of online customer reviews has completely changed how consumers purchase. Consumers now heavily depend on authentic experiences shared by previous customers. However, deceptive reviews that aim to manipulate customer decision-making to promote or defame a product or service pose a risk to businesses and buyers. The studies investigating consumer perception of deceptive reviews found that one of the important cues is based on review cont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information amount of review on the review truthfulness. This study adopted the Information Manipulation Theory (IMT) as an overarching theory, which asserts that the violations of one or more of the Gricean maxim are deceptive behaviors. It is regarded as a quantity violation if the required information amount is not delivered or more information is delivered; that is an attempt at deception. A topic modeling algorithm is implemented to reveal the distribution of each topic embedded in a text. This study measures information amount as topic d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opic modeling, and topic diversity shows how heterogeneous a text review is. Two datasets of restaurant reviews on Yelp.com, which have Filtered (deceptive) and Unfiltered (genuine) reviews,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Reviews that contain more diverse topics tend to be truthful. However, excessive topic diversity produces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ith truthfulness. Moreover, we fin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opic diversity and reviews' rating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mpact of topic diversity is strengthened when deceptive reviews have lower rat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on IMT by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opic diversity in a review and its truthfulness. In addition,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opic diversity is a reliable measure for gauging information amount of reviews.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주제어 분석 (Analysis on Topics in Soundscape Research based on Topic Modeling)

  • 최수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27-435
    • /
    • 2019
  •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는 소리를 통해 문화와 환경,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료이지만, 자료의 기록, 보존, 분류, 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프레임워크의 구축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은 문서에 숨겨져 있는 테마 구조를 드러내주는 알고리즘으로 연구 동향 분석과 같이 대량의 문서에 내재된 주제어를 찾아내기에 적합한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의 논문을 토픽 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여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주제어를 도출해 보고, 이를 사운드스케이프 온톨로지(Soundscape Ontology) 및 사운드 아카이브의 메타데이터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시맨틱 웹 기술인 링크드 데이터(Linked Data) 기반의 사운드스케이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의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Exploratory Study of Developing a Synchronization-Based Approach for Multi-step Discovery of Knowledge Structures

  • Yu, So 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2권2호
    • /
    • pp.16-32
    • /
    • 2014
  • As Topic Modeling has been applied in increasingly various domains, the difficulty in naming and characterizing topics also has been recognized more. This study, therefore, explores an approach of combining text mining with network analysis in a multi-step approach. The concept of synchronization was applied to re-assign the top author keywords in more than one topic category, 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topic-author keyword network, and to increase the topical cohesion in each topic. The suggested approach was applied using 16,548 articles with 2,881 unique author keywords in construction and building engineering indexed by KSCI.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combined approach could improve both the visibility of the topic-author keyword map and topical cohesion in most of the detected topic categories. There should be more cases of applying the approach in various domains for generalization and advancement of the approach. Also, more sophisticated evaluation methods should also be necessary to develop the suggested approach.

지역신문기사 자료와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해변 관련 계절별 현안분석 (Seasonal analysis of Beach-related Issues using Local Newspaper Articles and Topic Modeling)

  • 유무상;정수연;김건후;손철
    • 지역연구
    • /
    • 제34권4호
    • /
    • pp.19-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부터 2017년까지의 해변과 해수욕장을 키워드로 하는 지역신문기사를 이용하여 계절별 현안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토픽모델링과 시계열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계절별 토픽은 봄 35개, 여름 47개, 가을 36개, 겨울 35개가 도출되었다. 모든 계절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주제는 해수욕장, 축제 행사, 사건사고 및 환경문제, 관광지, 개발 분양, 행정 정책, 날씨로 나타났다. 시계열회귀분석 결과 봄에는 35개의 토픽 중 5개의 상승 토픽과 2개의 하락 토픽이 도출되었다. 여름에는 47개의 토픽 중 6개의 상승 토픽과 3개의 하락 토픽이 도출되었다. 가을에는 36개의 토픽 중 4개의 상승 토픽과 3개의 하락 토픽이 도출되었다. 겨울에는 35개의 토픽 중 3개의 상승 토픽과 3개의 하락 토픽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각 계절별로 상승 토픽과 하락 토픽에 해당하지 않는 토픽은 중립 토픽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해변과 같이 계절별로 용도가 다른 경우에 지역현안에 대한 분석을 위해 계절별 토픽모델링을 진행한다면 더욱 유용한 결과를 도출하고 이에 따른 세부적인 진단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트윗의 타임 시퀀스를 활용한 DTM 분석 : 2019 남북미정상회동 이벤트를 중심으로 (Tweets analysis using a Dynamic Topic Modeling : Focusing on the 2019 Koreas-US DMZ Summit)

  • 고은지;최선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08-313
    • /
    • 2021
  • 이 연구는 2019년 판문점 남북미 정상 회동 트윗을 타임 시퀀스와 함께 수집하여 시퀀셜 토픽모델링인 DTM으로 분석하였다. 트위터와 같은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스는 단일 이벤트에 뉴스와 오피니언이 혼재된 비정형 데이터가 대규모로 동시에 발생하고, 정보와 반응이 동일 메시지 형식으로 생산된다. 때문에 토픽 트렌드를 파악하려면 시퀀셜 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하여 패턴 분석을 해야 맥락적 의미를 알 수 있다. 토픽 일관성 점수를 구해 LDA를 평가한 후 DTM을 계산한 결과, 뉴스 보도와 오피니언 관련 토픽 30개가 도출되었고, 각 토픽과 키워드는 시간에 따라 발생 확률이 역동적으로 진화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DTM은 특정 이벤트에 대한 사회 전반에 나타난 통합적 토픽 추이를 시간에 따라 분석하는데 적합한 모델임을 밝혔다.

An Ontology-Based Labeling of Influential Topics Using Topic Network Analysis

  • Kim, Hyon Hee;Rhee, Hey 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5호
    • /
    • pp.1096-1107
    • /
    • 2019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ontology-based approach to labeling influential topics of scientific articles. First, to look for influential topics from scientific article, topic modeling is performed, and then social network analysis is applied to the selected topic models. Abstracts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data mining published over the 20 years from 1995 to 2015 a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is research. Second, to interpret and to explain selected influential topics, the UniDM ontology is constructed from Wikipedia and serves as concept hierarchies of topic model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ubjects of data management and queries are identified in the most interrelated topic among other topics, which is followed by that of recommender systems and text mining. Also, the subjects of recommender systems and context-aware systems belong to the most influential topic, and the subject of k-nearest neighbor classifier belongs to the closest topic to other topics. The proposed framework provides a general model for interpreting topics in topic model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ambiguous and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opics in topic modeling.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건설현장 추락재해 분석 (Falling Accidents Analysis in Construction Sites by Using Topic Modeling)

  • 류한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75-182
    • /
    • 2019
  • 본 연구는 기계학습 기법 중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추락재해에 대한 토픽을 분류하고 각 토픽에 따른 재해요인을 분석하였다. 잠재 디리클레 할당 기반의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기 위해 텍스트 데이터의 전처리를 하였고 Perplexity 점수로 평가하여 모형의 신뢰성을 높였다. 각 토픽에서 공통으로 도출된 추락재해의 대부분은 소규모 사업장에 속한 일용직 작업자들에게 발생하였다. 추락재해의 대부분의 원인은 안전장비 미착용, 현장 정리 정돈 미흡, 안전장비의 성능 및 착용 상태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락재해를 예방하고 절감하기 위해서는 소규모 사업장에 맞는 안전교육과 작업장의 정리 정돈과 개인 안전장비의 적절한 착용 상태 및 성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