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oth extraction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26초

충남 서산군 삼화의료보험조합을 통해본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의료사고 발생율 및 진료수혜 실태 조사 (A Study on the Medical Accident Attack Rate in a Korean rural Area through the Sam Wha Medicare Insurance Union)

  • 안문영;이정자;남택승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6권1호
    • /
    • pp.33-41
    • /
    • 1981
  •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medical accident attack rate and medicare utilization during last 27months from 1st Oct., 1977 to 31st Dec. 1979 in the area under Sam Wha Medicare Insurance Un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nalyzing the medicare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enrolled. "The medical accident" in this study was used as the meaning of the state that the people who have been treated morbid condition with insurance money. For the study, 2 doctors and one nurse were mobili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the Medicare Insurance Union members among the 37,044 total population of the study area, (Hea-mi, Unsan, Eumam Myun) were 57, 35 composed of 3,000 males (52.3%) and 27, 35 females (47.7%) in 1977, 3,383 composed of 2,006 males (59.3%) 1,377 females (40.7%) in 1978, 2,573 composed of 1,437 males and 1,336 females (44.2%) in 1979. 2) Total number of medical accident attack cases were 6,774 case (partially overlapped the number of the 1977 with that of the 1978) and average annual medical accident attack rate per 1,000 population was 700.9. 3) Five major disease group in the past three years were disease of the respiratory system (177.7), disease of the digestive system (165.8), disease of the skin and subcutaneous(64.9), symptoms, signs and ill-defined conditions (64.6), any injury and poisoning (51.9). Mental disorders (32.6) was the 6th order disease group. 4) The order of the medical accident attack rate of age group per 1,000 population per year was the year group of 0~4(877.8), 45~64(832.6), 25~44(810.3), 5~14(495.1) 15~24(494.7) 65 and over (460.7). 5) Medical accident attack rate of age group per 1,000 population in the 5 major disease groups were the year group of 45~64 (100.0) in the mental disorders 0~4(525.1) in the disease of the respiratory system 45~64 (328.5) in the disease of the digestive system 0~4 (202.8) in the disease of the skin and subcutanous tissue, 25~44 (98.3) in the accidents and poisoning. 6) Monthly medical accidents attack rate were 87.0 in the winter (Dsc., Jan., Feb.) and 86.2 in the summer (Jun., July, Aug.). So the trend of the medical accidents attack rate during the year was bimount figure. 7) Monthly medical accidents attack rate in the major disease group were highest in Jan., Apr., (31.1) in the disease of the respiratory system, in Jan., Feb., Mar. (24.9) in the disease of the digestive system, in Jan., Jun., Aug. (9.8) in the injury and poisoning. 8) Duration of the treatment of the 93.1% of the total cases were within 5 days. 9) 299 cases (4.5%) of the total number of cases, 6,587 cases were referred to secondary and tertiary medicare facilities. 10) The order of the major 10 kinds of diagnosis of the disease, 6,587 cases during 27 months, were URI and chillness (1,063 cases, 16.1%), gastritis(830 cases, 12. 6%) dermatitis(360 cases, 5.5%), bronchitis(291 cases, 4.4%), neurosis (284 cases, 4.3%), contusion (165 cases, 2.5%), tooth extraction (157 cases, 2.4%), tonsillitis (109 cases, 0.7%), laceration (107 cases, 1.6%), neuralgia (105 cases, 1.6%), arthritis (104 cases, 1.6%), otitis media and mastoiditis (103 cases, 1.6%), so total case were 3,678 cases (55.9%).

  • PDF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MP-2, MMP-8의 발현 양상 비교 (MMP-2, MMP-8 Expression in gingival tissue of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to Type 2 Diabetes Mellitus)

  • 강민구;차현정;송선희;박진우;서조영;이재목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661-674
    • /
    • 2005
  • 치주질환은 치주지지 조직의 상실로 특징 지워지는 감염성 질환으로, 지주조직의 세포외 기질(특히 교원질)이 주요 degradation target이 된다. 현재로서는 MMP family가 주역을 담당하고 있음이 밝혀졌는데, 구강 조직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이 MMP-2, MMP-8 이다. 치주조직에서 MMP-2는 주로 결합조직내 섬유아세포와 육아조직에서, 발현되며 , basement membrane의 integrity와 접합상피 부착에 영향을 줄 수 있고, MMP-8은 neutrophils에서 발현되어 다양한 염증세포와 염증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주질환에서 MMP-2, MMP-9의 발현 증가는 이미 치은 열구액을 분석한 여러 연구에서 보고 되어 그 발현 수준이 치주질환 진단의 좋은 indicator가 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치주질환에서 MMP-2, MMP-8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은 주로 P. gingivalis, IL-1과 연계되어 그 기전이 추정되어 왔는데, 이는 2형 당뇨병이 치주 질환의 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과 많은 부분을 공유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자에서 만성 치주염 부위의 치은, 건강한 치은에서 염증 매개체 중 하나인 MMP-2, MMP-8의 발현에 대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염증, 혈당이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2형 당뇨환자의 만성치주염 치은조직에서 치주조직 파괴의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경북대 병원 치주과 내원 환자중 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환자요소, 임상 치주 상태를 기록하고,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n=8, group 1), 비당뇨 환자의 건강한 부위(n=8, group 2), 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n=8, group 3)에서 각각 변연 치은을 채득하고, 액화 질소에 급속 동결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각 조직 내 MMP-2, MMP-8의 발현을 관찰,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상대적 발현을 정량, 각 조직의 ${\beta}-actin$을 이용하여 표준화하여여 실험군들과 대조군들의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에 비해 치주 환자군에서 채득된 시편에서 MMP-2, MMP-8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염증군의 당뇨군과 비당뇨군 사이에서는 2형 당뇨병을 동반한 치주 환자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치주 환자군의 치은 조직에서 정상군과 비당뇨 치주 환자군보다 MMP-2, MMP-8의 발현이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Sequential traction of a labio-palatal horizontally impacted maxillary canine with a custom three-directional force device in the space of a missing ipsilateral first premolar

  • Yang, Shuliang;Yang, Xiao;Jin, Anting;Ha, Nayong;Dai, Qinggang;Zhou, Siru;Yang, Yiling;Gong, Xinyi;Hong, Yueyang;Ding, Qinfeng;Jiang, Lingyo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4-136
    • /
    • 2019
  • Orthodontic treatment is more complicated when both soft and hard tissues must be considered because an impacted maxillary canine has important effects on function and esthetics. Compared with extrac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exposure followed by orthodontic traction can improve esthetics and better protect the patient's teeth and alveolar bone.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desirable tooth movement with minimal unexpected complications, a precise diagnosis is indispensable to establish an effective and efficient force system. In this report, we describe the case of a 31-year-old patient who had a labio-palatal horizontally impacted maxillary left canine with a severe occlusal alveolar bone defect and a missing maxillary left first premolar. Herein, with the aid of three-dimensional imaging, sequential traction was performed with a three-directional force device that finally achieved acceptable occlusion by bringing the horizontally impacted maxillary left canine into alignment. The maxillary left canine had normal gingival contours and was surrounded by a substantial amount of regenerated alveolar bone. The 1-year follow-up stability assessment demonstrated that the esthetic and functional outcomes were successful.

치과임상영역에서 발생된 의료분쟁의 판례분석 (The Jurisdictional Precedent Analysis of Medical Dispute in Dental Field)

  • 권병기;안형준;강진규;김종열;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283-296
    • /
    • 2006
  •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보건의료분야는 괄목할 성장을 가져왔고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의료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 권리의식의 신장, 의료행위의 본질에 대한 이해부족, 의료기술에 대한 지나친 기대, 상업화된 의료공급체계, 의사의 윤리의식 저하 및 의료법리에 대한 무지 그리고 사회적 불신풍조의 만연, 분쟁해결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결여 등이 요인으로 작용하여 의료사고 및 분쟁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치과관련 단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소송과 관련된 자료 및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서 신체감정을 시행한 재판기록을 중심으로 하여 판결전문을 확보할 수 있는 치과 의료사고 판례 중 1994년부터 2004년까지의 민사소송 30례의 판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송의 연도별 분포에서 2000년 이후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소송의 유형별 분포에서 발치와 관련된 소송이 전체의 36.7% 이었다. 3. 소송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불편감, 치료불만족과 관련된 것이 전체의 36.7%, 사망 및 영구손상이 각각 16.7% 이었다. 4. 원고의 소송결과 승소 및 강제조정, 화해권고결정이 60.0% 이었다. 5. 소송에 관련된 병원유형은 치과의원이 6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소송의 심급별 구성비율에서 2,3심 이상 진행된 경우가 전체의 30.0% 이었다. 7. 손해배상 청구금액은 5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이 36.7%, 1억원 이상이 13.3% 이었고 손해배상 판결금액은 1천만원 이상 3천만원 미만이 40.0%, 1억원 이상이 6.7% 이었다. 8. 소송과 관련된 치과의사수는 2명 이상이 26.7%이었다. 9. 판결까지의 소요기간은 11개월에서 20개월이 46.7%, 21개월에서 30개월이 36.7% 이었다. 10. 의료과실 유무에서는 과실을 판정한 경우가 46.7% 이었고 소송과정에서 신체감정이나 사실조회가 이루어진 경우는 70.0% 이었다. 11. 의사패소 판례(18건)에서 판결의 주안점은 주의의무위반이 72.2% 이었고, 설명의무위반이 16.7% 이었다. 치과 의료분쟁의 경우 치료의 긴급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의사의 설명의무 중요성이 폭넓게 요구되며, 주관적인 치료 만족도가 중요시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결국 분쟁을 줄이는 방법으로 기술적인 과실도 줄여야 하지만 치과의사와 환자와의 신뢰 관계를 개선하는 것과 의사집단의 자율성(autonomy)의 회복이 중요하다. 그리고 불합리하게 시행되고 있는 의료배상책임보험의 보완과 함께 치과의사단체와 학계가 주도하는 교육 및 의료분쟁시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체계의 확립으로 의료분쟁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