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calcificatio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5초

인치배의 상아질형성에 있어서 석회염의 조직화학적 관찰 (Histochemical Observation of Calcium Salt in Human Fetus Tooth Germ with Dentinogenesis)

  • 이영달;송완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7-219
    • /
    • 1973
  • The observation of calcium salts in dentinogenesis was performed with Von Kossa-toluidine blue method and metachromasia were observed on the portion of border that is beginning the calcification in dentin and predentin, which is positive Von Kossa reaction.

  • PDF

상악에서 발생한 석회화를 동반한 치성각화낭 (Odontogenic keratocyst with dystrophic calcifications in the maxilla)

  • 김태영;허경회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0권2호
    • /
    • pp.99-101
    • /
    • 2010
  • Odontogenic keratocyst (OKC) with secondary inflammation involving the maxillary sinus was presented. Radiological diagnosis of this case was made based on the various findings from the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es. There were calcified materials and impacted tooth within the lumen of the lesion, which is not uncommon in OKC. Histopathologic findings confirmed this lesion as OKC with secondary inflammation.

하악영구치 발육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Roentgenographic Stud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Mandibular Permanent Teeth)

  • Woo-Cheon Kee;Kwang-Woo Lee;Byung-Koo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3권1호
    • /
    • pp.53-60
    • /
    • 1988
  • The authors have studi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mandibular permanent teeth in order to the make basic data that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forensic age. The 631 subjects whose ages range from 3 years to 18 years were selected to analyze calcification degree of mandibular tee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ages, except 14-15 years and 17-18 years. 2. In each tooth, these were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ages from 3 years to 10 years, except central incisor and third molars. 3. All teeth were almost completely developed at the age of about 14 years, except second and third molars. 4. In each tooth, there were the widest significances between adjacent ages in premolars.

  • PDF

Multiple calcifying hyperplastic dental follicles: A case report

  • Aydin, Ulkem;Baykul, Timucin;Yildirim, Benay;Yildirim, Derya;Bozdemir, Esin;Karaduman, Ayse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3권4호
    • /
    • pp.303-308
    • /
    • 2013
  • This report describes a 31-year-old female patient with six impacted teeth. The crowns of the impacted teeth were surrounded with cyst-like lesions with a mixed internal structure and well-defined cortical borders.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specimen obtained from the follicle of the left mandibular third molar tooth revealed loose to moderately dense collagenous connective tissue with abundant calcified material and sparse epithelial islands. A diagnosis of multiple calcifying hyperplastic dental follicles was made.

흰쥐의 악골에 동종 이식한 태아 치아싹의 장기간 발육 (THE LONG-TERM GROWTH OF HOMOGENEOUS EMBRYO TOOTH GERM TRANSPLANTED INTO THE MAXILLA OF A RAT)

  • 고동현;정한성;김성오;이제호;최형준;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3-61
    • /
    • 2007
  • 치아우식증이나 치주질환으로 치아를 상실한 경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복 치료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임플란트와 치아 이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치아 이식에 대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 치아를 형성시키고 발육시키는 과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치아싹 이식은 생체 내와 생체 외에서 연구되고 있고, 생체 내 이식은 쥐와 생쥐, 고양이, 개 등 여러 동물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생체 내 이식은 대부분 구강 외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구강 내 이식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악골 내에 이식한 치아싹이 발육되고 석회화되는지 관찰하기 위하여 성숙한 흰쥐의 상악 제 1 구치를 발치하고 그 발치와에 임신 13.5일 된 태아쥐에서 모상기의 하악 제 1 구치의 치아싹을 이식하고 2, 6 개월 후 희생하여 방사선학적 그리고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2 개월과 6개월 동안 악골 내에 이식한 치아싹은 석회화된 치아 조직이 형성 되었고 치아 조직에서 상아질과 백악질, 치수 조직이 관찰되었으며 법랑질 공간 주변은 상피로 둘러싸여 있었다. 2. 6개월 동안 구강 상피 하방에 위치한 치아 조직은 상피로 둘러싸여 있었고 주위에 치주인대 및 결합조직이 관찰되었다. 3. 이식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치아 형성이 진전되었으나 치아 조직은 크기가 작았고 형태학적으로 완전하지 못하였다.

  • PDF

하악 소구치 부위에 발생한 석회화상피성치성종양이 혼재된 선양치성종양: 증례보고 (Combined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and Calcifying Epithelial Odontogenic Tumor in the Mandible: Case Report)

  • 노량석;조형우;최소영;김진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2호
    • /
    • pp.176-179
    • /
    • 2011
  •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s represent 3 to 7 percent of all odontogenic tumors. These tumors are more common in the maxilla than the mandible and usually include the anterior region. Clinically, the most common symptom is painless swelling and the tumor is associated with an unerupted tooth, typically a maxillary or mandibular cuspid. The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 appears radiographically as a unilocular radiolucency around the crown of an impacted tooth, resembling a dentigerous cyst. More often, it contains fine calcifications. Histopathologically, there is a thick wall cystic structure with a prominent intraluminal proliferation of the odontogenic epithelium. The most striking pattern is varying-sized solid nodules of spindle-shaped or cuboidal epithelial cells forming nests or rosette-like structures with minimal stromal connective tissues. Conspicuous within the cellular areas are structures of tubular or duct-like appearance. The duct-like spaces are lined with a single row of cuboidal or low columnar epithelial cells, of which the ovoid nuclei are polarized away from the luminal surface. Small foci of calcification may also be scattered throughout the tumor. These have been interpreted as abortive enamel formations. In some adenomatoid odontogenic tumors, the material has been interpreted as dentoid or cementum.

Nolla stage에 의한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에 대한 연구 (THE CALCIFICATION TIMING OF THE PERMANENT TEETH BY NOLLA STAGE)

  • 안상현;양규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40-548
    • /
    • 2000
  • 본 연구는 아동의 신체적 발육이 향상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Nolla stage에 따른 각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 및 순서를 재평가하여 소아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임상적 자료로 사용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전신 상태가 양호하며, 교정치료 경험이 없는 4세에서 13세까지의 아동 258명 (남자 149명, 여자 109명)을 대상으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Nolla의 분류법을 이용한 각 치아의 석회화 단계에 따라 남,녀별 상,하악별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Nolla stage에 의한 각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에 대한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그중 Nolla stage 7에 의한 평균치는 다음과 같다. 남자 상악에서 중절치는 6세 9개월, 측절치는 7세 4개월, 견치는 7세 9개월, 제1소구치는 8세 8개월, 제2소구치는 9세 4개월, 제 1대구치는 6세 3개월, 제2대구치는 10세 8개월로 나타났으며, 남자 하악에서 중절치는 5세 11개월, 측절치는 6세 4개월, 견치는 7세 5개월, 제1소구치는 8세 1개월, 제2소구치는 8세 6개월, 제1대구치는 5세 6개월, 제2대구치는 10세 3개월로 나타났다. 여자 상악에서 중절치는 6세 2개월, 측절치는 6세 7개월, 견치는 6세 11개월, 제1소구치는 8세 1개월 2소구치는 8세 5개월, 제1대구치는 5세 10개월, 제2대구치는 9세 10개월로 나타났으며, 여자 하악에서 중절치는 5세 6개월, 측절치는 5세 9개월, 견치는 6세 8개월, 제1소구치는 7세 6개월, 제2소구치는 8세 4개월, 제1대구치는 5세 3개월, 제2대구치는 9세 7개월로 나타났다. 2. 치근의 1/3이 형성되는 시기로 비교하였을때의 석회화 순서는 남,녀 상,하악 모두에서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 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으로 나타났다. 3. 치근 형성이 완료되는 시기에 있어서는 남, 녀 모두에서 상악에서는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순으로, 하악에서는 중절치, 제 1대구치, 측절치 순으로 나타났다. 4. 여자가 남자보다 영구치 석회화 시기가 빠르게 나타났다(p<0.05). 상기 자료는 소아 치과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임상적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하악(下顎) 제1대구치(第一大臼齒)의 맹출과정(萌出過程)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F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M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 황의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9-31
    • /
    • 1976
  • To study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the author took 263 cases of Oblique Cephalogram from age 3 to 6 years old children and observed the vertical and mesiodistal directional change and tooth axis chan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first permanenl molar was changed at about 60~66 months or calcification stage IX. 2. At the early stage, the path of eruption of the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directed upward and forward and after calcification stage IX it changed to the direction of upward. 3. The height of the alveolar bone of the upper part of the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was almost equal to that of the interseptal bone of the first and second deciduous molar, but the height showed gradual descent afterwards. 4. At the early stage, the distance from the distal end of the mandibular second deciduous molar to the anterior portion of the ascending ramus was 1.2~1.4 times larger than the mesio-distal diameter of the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but at the later stage it was enlarged 1.7~1.9 times larger than the mesiodistal diameter of the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 PDF

유합된 하악 영구 중절치와 측절치의 치료에 관한 증례보고 (TREATMENT OF FUSED PERMANENT MANDIBULAR LATERAL AND CENTRAL INCISORS: REPORTS OF CASES)

  • 한정재;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95-804
    • /
    • 1997
  • Developmental dental morphological anomalies are fusion, gemination, twinning, concrescence and etc. They may cause many problems in conservative, periodontal and esthetic aspects. Fusion is a condition where two separate tooth buds unite at some stage in their development to form a bifid crown. If tooth contact occurs early, at least before the start of calcification, the two teeth may be completely unites to form a single large tooth. If tooth contact occurs after the time when a portion of the tooth crown has completed its formation, there may be union of the roots only. In fusion the dentin is always confluent. Fusion teeth is more common in the deciduous than in the permanent dentition. Fused teeth are relatively rare, and are mostly mandibular anterior teeth. Fusion of normal and supernumerary teeth or between normal teeth may occurs. The exact etiology factor of fusion is unknown, but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seems to be related. A variety of complications and subsequent treatments have been suggested on this teeth. Periodontal conditions may arise due to a groove formed at the line of fusion of the two teeth. Crowding or Protrusion with potential for malocclusion or delayed eruption of adjacent teeth. Fusion teeth appear in the anterior region, they usually cause esthetic problems. Treatments vary depending on the problem, the location, and the extent of fusion. Treatment of fused teeth has been reported from endodontic, orthodontic, periodontic, surgical and multidisciplinary. This report presents the esthetic improvements by separation of two clinical crowns. Bone reduction or endodontic treatments are not required.

  • PDF

흰쥐의 발치와에 이식된 태아 치아싹의 발육 (THE GROWTH OF HOMOGENEOUS EMBRYO TOOTH BUD TRANSPLANTED INTO THE ALVEOLAR SOCKET OF A RAT)

  • 장석철;정한성;이제호;김성오;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5-42
    • /
    • 2006
  • 정상적인 치열의 형성 및 치아의 생성과정을 분석하고 실제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 치아의 발생과정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식된 태아 치아싹의 석회화가 가능하고 정상적인 구조로 발육할 수 있는지 밝히기 위해, 그리고 악골 자체가 새로운 이식 공여부로 사용가능한지 알기 위해 흰쥐의 발치와에 치아싹을 이식하여 치아의 형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숙한 흰쥐의 상악 제 1구치를 발거한 발치와에 13.5일된 태아쥐의 치아싹을 이식한 후 4, 8주 후에 희생하여 조직학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식된 치아싹에서 상아질과 백악질, 치수, 치주인대의 소견을 갖는 석회화된 조직이 형성되었다. 2. 형성된 경조직 및 연조직은 정상적인 치아형성과정에 비해 발육이 늦었으며 유착 및 골양상아질(osteodentin)과 같은 비정상적 조직이 관찰되었다. 3. 석회화된 조직은 8주내에 악궁으로 맹출하는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