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l Fracture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36초

탄소공구량에 대한 세라믹공구의 초기파손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rly Fracture Characteristics of Ceramic Tool for Carbon Tool Steel)

  • 김광래;유봉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2-119
    • /
    • 1995
  • Early fracture and cutting force of ceramic tool for hardened STC3 steel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arly fracture of ceramic tool was mostly occurred before normal wear was progressed beyond a critical cutting speed and normal wear was performed under the critical cutting speed.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cutting speed, which was a cause of early fracture, suggested cutting cross section, that is, maximum thickness of cut and width of cut, and cutting force were exam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Critical cutting speed showed a high value in the case of small maximum thickness of cut and large nose radius, but was not influenced by width of cut, (2)Principal, feed and radial force, respectively, showed the proportional value to constant cutting area, width of cut and maximum thickness of cut orderly, (3)Occurrence of early fracture was dependent upon radial force.

  • PDF

End Mill 가공시 공구 파손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tting Tool Fracture Monitoring in End Milling)

  • 채명병;맹민재;정준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1
    • /
    • 1994
  • The analysis of acoustic emission signals generated during machining has been proposed as a technique for studying both the fundamentals of the cutting process and process and as a methodology for detecting tool fracture on line. In this study, AE signals detected during End Milling were applied as the experimental test to sensing tool fracture on the CNC vertical milling machine. Because automatic monitoring of the cutting cond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es in machining, the in-process detection of cutting tool life including fracture has been investigated by performing experimental test.

  • PDF

밀링가공에서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다인공구의 파손검출기법 개발(ㅣ)

  • 사승윤;최영규;김영일;홍윤석;유봉환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2-96
    • /
    • 1993
  • Modern NC machine tools require a more and more exact monitoring and control of cutting process. A very important parameter is tool wear used to optimize cutting data and to change tools at the right time. In this study, a real-time multi-tool fracture method is proposed for measuring crater from fringe patterns generated by uni-shadow-moire. An optical technique using laser for non-contact measurement of tool fracture is presented. The technology in which the tool is illuminated by a beam of He-Ne laser and then the image of tool fracture CCD camera.

골절의 절대위험도 평가방법에서 GE Prodigy와 FRAX Tool의 비교분석에 관한 고찰 (Studie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E Prodigy and $FRAX^{TM}$ Tool in Absolute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 이화진;이효영;윤종준;이무석;송현석;박세윤;정지욱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137-142
    • /
    • 2009
  • 목적: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골밀도뿐만 아니라 대규모 역학연구에서 정리된 골절의 위험인자 분석을 통하여 10년 내 골절위험도(10-year fracture probability)를 실제적으로 임상에 적용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FRAX Tool (fracture risk assessment)이 2008년에 공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GE Prodigy사의 골절위험도평가와 $FRAX^{TM}$를 이용한 골절위험도평가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검사방법: 본원에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201명($55{\pm}3.5$세)의 여자를 대상으로 GE Prodigy를 이용하여 Femur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Femoral Neck의 BMD (bone mineral density)를 구하여 GE Prodigy의 T-값과 골절위험인자를 고려하지 않은 $FRAX^{TM}$의 T-값를 사용하여 10년 내 대퇴골 골절위험도와 주요한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도를 계산하여 SPSS통계프로그램으로 GE Prodigy의 골절위험도 평가와 $FRAX^{TM}$의 골절위험도 평가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GE Prodigy의 T-값($-0.52{\pm}0.97$)과 $FRAX^{TM}$의 T-값 ($-1.45{\pm}0.8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0), GE Prodigy의 주요한 골다공증성 골절위험도($9.15{\pm}3.71$)와 $FRAX^{TM}$의 주요한 골다공증성 골절위험도($4.87{\pm}1.51$)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그리고 GE Prodigy의 10년내 대퇴골 골절위험도($1.56{\pm}1.48$)와 $FRAX^{TM}$의 10년 내 대퇴골골절위험도($0.53{\pm}0.6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결론: GE Prodigy와 $FRAX^{TM}$에서 측정한 골절의 절대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GE Prodigy의 T-값, 주요한 골다공증성 골절위험도, 10년 내 대퇴골 골절위험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향후 $FRAX^{TM}$에 대한 평가 및 적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절삭 공구용 세라믹의 소결조직에 따른 파괴인성과 경도의 평가 (Effect of Microstructure on Evaluation of Fracture Toughness and Hardness of Cutting Tool Ceramics)

  • 안동길;윤명진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70-177
    • /
    • 2000
  • Dense $Al_2$O$_3$-30%TiC and Si$_3$N$_4$ ceramic tool materials with various grain size were produced by sintering-HIP treatment and by gas-pressure sintering. The fracture toughness was measured by indentation fracture and indentation strength method for both ceramics with various grain size. The effect of the grain size on the fracture toughness was evalua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fracture tough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Young\`s modulus and flexural strength of these ceramic were also investigated. The highest fracture toughness of around 6.7 MPa.m(sup)1/2 was obtained in Si$_3$N$_4$ ceramics with grain size of 1.58${\mu}{\textrm}{m}$. With a larger grain size of $Al_2$O$_3$-30%TiC and Si$_3$N$_4$ ceramics, the fracture toughness was generally increased. The increased fracture toughness of these ceramic also improved the flexural strength although the hardness decreased considerably.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grain size and mechanical properties on both $Al_2$O$_3$-30%TiC and Si$_3$N$_4$ ceramic tool materials.

  • PDF

선반가공에서 모터 전류를 이용한 공구 파손 감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nitoring of Tool Fracture using Motor Current in Turning)

  • 윤재웅;김홍석;김승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3-5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선반가공에서 모터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공구 파손을 감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한 모터 전류 신호의 특성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신뢰성을 갖고 있는 절삭력과 모터전류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 공구파손시의 모터 전류 신호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양한 가공 실험을 통하여 절삭조건 변화에 따른 절삭력 신호와 주축 모터전류 신호의 정적 성분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절삭력과 모터전류 사이에 비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모터 전류 신호만으로도 공구 파손을 감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다양한 공구 파손 실험을 통해 절삭력과 모터전류 신호 사이에도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공구파손 신호와 일반적인 선반가공의 가공신호를 분류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방식의 감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분류 방법에 대해 여러 차례에 걸친 검증을 통해 공구파손 감지를 위한 모터 전류신호의 감지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이중신호에 의한 공구파손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ction of Cutting Tool Fracture by Dual Signal Measurements)

  • 윤재웅;양민양;박화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07-722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공구의 큰 파손에서 부터 공구의 기하학적 형태가 크게 변하지 않는 작은 파손등 파손의 크기와 파손부위에 따른 신호의 형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서 가공재료로서는 SM45C강(steel)과 열처리한 SM45C강을 이용하였다. 공구파손에 따른 AE신호와 절삭력신호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AE신호의 경우는 RMS값을 택하고 그 진폭의 갑작스런 변화와 평균 레벨의 변화를 이용하여 파손의 순간 을 감지하였고, 절삭력의 경우에는 절삭력의 주분력, 이송분력 그리고 배분력의 변화 형태를 이용하여 공구의 이상상태를 알 수 있었으며, 이 두 신호의 변화를 동시에 관 찰함으로써 임의의 가공조건에서 공구의 파손을 감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의 기준 을 마련할 수 있었다.

컴퓨터 비젼 및 패턴인식기법을 이용한 공구상태 판정시스템 개발 (Tool Condition Monitoring Technique Using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 권오달;양민양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27-37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공구의 파손 및 마멸량을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CCD(charge coupled device)카메라를 통해 공구형상의 영상을 얻고 이를 PC 로 분석하는 영상처리 기법과, 여기서 계산된 정보를 이용하여 패턴인식 기법으로 공 구의 상태를 판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엔드밀 가공시 절삭력과 절삭유를 통해 전파된 음향방출을 이용한 공구파손 검출 (Tool fracture detection in end milling using cutting force and acoustic emission propagated through cutting fluid)

  • 맹민재;조성산;정준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4권11호
    • /
    • pp.163-170
    • /
    • 1997
  • End milling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acoustic emission (AE) and cutting force singals due to tool fracture. The AE signals are obtained with a sensor attached to cutting fluid discharge nozzle. Tool states are identifi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optical microscopy. It is demonstrated that the AE signals provide reliable informations about the cutting processes and tool states. Morever, tool fracture can be detected successfully using both the AE count rat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principal cutting force.

  • PDF

경화강에 대한 세라믹공구의 손상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ilure Characteristics of Ceramic Tool for Hardened Steels)

  • 김광래;유봉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0-37
    • /
    • 1997
  •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ol failure occuring at the beginning of cutting in finish machining of hardened steels such as carbon tool steel and alloy tool steel by a ceramic tool (Al$_{2}$O$_{3}$+TiC) with nose radius. In the machining of hardened carbon steel STC3, the wear mechanism on the flank face of the ceramic tool is abrasion wear. The mode of tool failure is developed into catastropic fracture with flaking. It is thought that the fracture caused by FeO and TiO$_{2}$ results from the oxidation of Fe in the workpice and TiC in the ceramic tool and the deposit of F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tool. In the machining of hardened alloy steel STD11, the wear mechanism on the flank face of the ceramic tool is that abrasion and adhesion wear exist simultaneously. The mode of tool failure at the beginning of cutting features is DOC notch wear. It is thought that the DOC notch wear caused by FeO and TiO$_{2}$results from the oxidation of Fe and TiC in the workpiece and ceramic tool,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