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n of $CO_2$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25초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의 경제적인 가치를 고려한 Cogeneration System의 경제성 분석 (Economic Analysis of Co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Economical Value of $CO_2$ Reduction Effect)

  • 강율호;구본철;한영철;이재근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17-1121
    • /
    • 2008
  • Recently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issue are important problem on international society.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economic analysis considering economical value of $CO_2$ reduction effect. We analyze annual energy cost and annual $CO_2$ emission of the cogeneration system and gas boiler system in hotel. The first results shows that annual energy cost of cogeneration system (751,740,126 won) is more profitable than gas boiler system (801,128,408 won) by 6.2% (49,388,281 won). The second results shows that annual $CO_2$ emission of cogeneration system (3,297 ton) is less than gas boiler system (3,536 ton) by 6.8% (239 ton). The Economical value of $CO_2$ reduction effect is 4,773,898 won. The cost effect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CO_2$ is corresponding to 9.7% of reduction cost for total energy cost. The result of this study means that $CO_2$ reduction effect is essential item in introduction and change of facility for economic analysis.

  • PDF

수원시 대기오염발생량 조사에 관한 연구 -자동차에 의한 발생 중심으로- (A Study of Emission Volume of Air Pollutants in Suwon City)

  • 조기철;황경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3-32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missions of the air pollutants from the automobile in Suwon city. To estimate emissions due to by automobile the data of express highway and the national road used an observation traffic volume, and the other roads used a method by Vehicle kilometer traveled(VKT). In the emissions due to by automobile from Suwon city, CO was highest 36,290.4 ton/year, NOx at 19,392.1 tons, HC 5,095.4 tons and PM 2,788.7 tons was highly order. SOx emissions in the whole Suwon city by fuel types was investigated with 178ton/year from the Diesel motorcar, 26.9 ton/year and 6.2 ton/year from the gasolines and LPG automobiles, respectively. VOC emissions from the automobile was investigated with 366.4 ton/year (29.22%) from Gwonseon-gu, 329.2 ton/year (26.25%) Yeongtong-gu, 319.9 ton/year (25.51%) Jangan-gu, 238.6 ton/year (19.03%) Paldal-gu.

쓰레기매립장에서의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황화합물을 대상으로- (The Estimation of Harmful Air Pollutant Emission from Landfill Site - A Subject of Sulfide Compounds -)

  • 노기환;전의찬
    • 환경위생공학
    • /
    • 제16권1호
    • /
    • pp.47-52
    • /
    • 2001
  •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ypically problematic sulfide compounds Gas samples were captured at Unjung-ding landfill site in Metropolitan Kwangju with flux chamber and floating chamber, and analyzed for the amount of hydrogen sulfide($H_2S$), dimethyl sulfide $((CH_3)_2S)$ and dimethyl disulfide$((CH_3)_2S_2)$. From the gas pipe, landfill surface and leachate treatment plant, estimated total amount of $H_2S$ emission are 12.6ton/yr, 0.01ton/yr and 1.04ton/yr; estimated total amount of $((CH_3)_2S)$ 30.7ton/yr, 0.08ton/yr and 1.72ton/yr; and estimated total amount of ($((CH_3)_2S_2)$ 2.2tom/yr, 0.02ton/yr and 1.03ton/yr, respectively. Further in-depth study on co-relation between age, packing characteristics, temperature and humidity of landfill site and gas emission characteristics is needed.

  • PDF

타정 압력에 의한 세균포자의 파괴현상 (The Destruction of Bacterial Spores Upon Compressional Pressure)

  • 이철호;김영만;이정치;정필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2-277
    • /
    • 1980
  • 본 연구는 유용 세균의 포자를 정제화(tabletting)하는 과정에서 포자의 내구성 특히 타정 압력에 대한 세균 포자의 파괴율을 규명하려 하였다.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및 Clostridium butyricum의 세가지 포자 형성균의 포자와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세균인 Streptococcus faecalis의 영양세포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정제제조 과정에서 포자의 파괴는 주로 타정과정에서 일어나며 세균의 포자는 타정압력에 대하여 대수적 파괴율을 나타내었다. 세균포자의 압력에 의한 파괴율은 세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이것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Decimal Reduction Pressure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P-value라 칭하고 각 세균 포자의 P-value를 구하였든 바 B. subtilis의 포자는 $2.9\;ton/cm^2$, B. coagulans의 포자는 $2.6\;ton/cm^2$, Cl. butyricum의 포자는 $2.1\;ton/cm^2$의 값을 각각 나타내었다. 반면, Str. faecalis의 영양세포는 $1.7\;ton/cm^2$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세균포자의 파괴율은 사용하는 부형제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동일한 B. coagulans의 포자라도 lactose filler에서는 그 P-value가 $2.8\;ton/cm^2$이었으며 starch filler에서는 $2.0\;ton/cm^2$이었다. 동일한 부형제를 사용하였을 때 생존 포자수는 정제의 경도와 밀도에 역비례하였다. 그러나 경도와 밀도가 낮은 starch filler에서는 lactose filler에 비교하여 더 높은 포자 파괴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부형제의 종류는 정제 형성뿐만 아니라 세균 포자의 생존에도 중요한 요인이며, 물리적 성질이 서로 다른 부형제를 알맞게 혼합함으로서 타정시 유용세균포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Using Oyster Shell Recycling for Paper Filler

  • Park, Seung-Chel;Seo, Ran-Sug;Kim, Sung-H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29
    • /
    • 2016
  • This study has conducted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test as using Oyster-shells originated PCC paper filler compare to non-Oyster shells used PCC. This examination was estimated and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both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and Worl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BSCD). The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estimation result indicates that, when oyster shells are recycled and used as paper filler, it reduces $27.97tCO_2\;per\;100\;ton$ of oyster shells. It is greenhouse gas emission $44.27tCO_2$ from PCC production changed to carbon emission reduction when replaced with oyster shell. LNG greenhouse gas emission $16.3tCO_2$ in relation to the pre-treatment with oyster shell per 100 ton is also reflected. As a result, it is assumed that roughly $0.2797tCO_2/oyster\;shell{\cdot}ton$.

폐기물자원회수시설의 이산화탄소 배출계수 개발 (Development of Carbon Dioxide Emission Factor from Resource Recovery Facility)

  • 김승진;임기교;이지영;이시형;사재환;전의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61
    • /
    • 2013
  • 우리나라는 폐기물의 에너지화를 통해 기후변화와 에너지 부족 문제를 극복하려고 하고 있으며, 폐기물을 에너지화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에 따라 폐기물 소각처리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른 폐기물 소각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점차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 회수를 통해 열과 전력을 생산하는 생활폐기물 소각장을 대상시설로 선정하였다. 대상시설로 선정된 폐기물 소각발전시설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온실가스 배출량 및 배출계수를 산정하였다. 대상시설에서의 $CO_2$ 배출농도는 평균 6.99%로 나타났으며, 이를 온실가스 배출량으로 산정한 결과, 총 배출량은 $254.60ton\;CO_2/day$로 나타났다. 바이오매스 소각에 의해 배출된 온실가스를 제외한 순 배출량은 $110.59ton\;CO_2/day$로 나타났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소각시설에서 생산된 열과 전력으로 구분하여 배출량을 산정한 후, 각각의 생산단위 당 온실가스 배출량으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열 배출계수는 $0.047ton\;CO_2/GJ$, 전력 배출계수는 $0.652ton\;CO_2/MWh$로 나타났다. 산정된 전력 배출계수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의 전력배출계수인 $0.783ton\;CO_2/MWh$보다 약 17%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온실가스 배출량 및 배출계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폐기물 성상과 화석탄소함량으로 평가된다.

순산소 가스화 반응장에서 CO2 전환 메커니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O2 Reaction Mechanism in Oxy Gasification Reaction Field)

  • 노선아;윤진한;길상인;이정규;민태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3권4호
    • /
    • pp.285-290
    • /
    • 2015
  • 저급 에너지인 폐기물로부터 고부가 합성가스를 생산하고 온실가스 저감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하여 $1000-1400^{\circ}C$의 고온에서 순산소 가스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폐기물 시료로는 RPF (Refused Plastic Fuel)를 이용하였으며 실험 장치로는 열중량 분석기와 0.5 ton/day의 pilot plant 가스화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열중량 분석기에서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RPF 촤(char)의 가스화 실험을 수행하여 온도에 따른 중량 변화를 고찰하고 Boudouard reaction에 의해 일산화탄소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0.5 ton/day pilot plant system에서 RPF의 순산소 가스화를 통하여 고농도의 수소를 함유한 합성가스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합성가스는 수송용 연료 생산과 화학제품 생산에 가능한 수소와 일산화 탄소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도시공원 식재유형별 탄소저장량, 연간 탄소흡수량 및 토양호흡량 비교 - 천안시 두정공원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Carbon Storages, Annual Carbon Uptake and Soil Respiration to Planting Types in Urban Park - The Case Study of Dujeong Park in Cheonan City -)

  • 한미경;김경진;양금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2-14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안시 두정공원을 대상으로 도시공원의 식재유형별 수목의 탄소저장량, 연간 탄소흡수량, 연간 토양호흡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두정공원에서 소나무식재림, 상수리나무군락,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을 선정하여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각 식재림을 분석하였다. 탄소저장량과 연간 탄소흡수량은 수목의 흉고직경을 이용한 상대생장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고 토양호흡량은 Li-64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소나무식재림, 상수리나무군락,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에서의 탄소저장량은 각각 17.36, 88.63, 115.38, $49.88tonCha^{-1}$였고, 연간 탄소흡수량은 각각 1.04, 2.12, 6.47, $3.67tonCha^{-1}yr^{-1}$로 산정되었다. 개체목당 평균 연간 탄소흡수량은 소나무, 상수리나무, 아까시나무에서 각각 1.81, 17.86, $9.14kgC{\cdot}treeyr^{-1}$로 상수리나무가 가장 높았다. 평균 토양호흡량은 각 식재유형별로 2.20, 1.90, 2.47, $2.51{\mu}mo{\ell}CO_2m^{-2}s^{-1}$로 측정되었고 연간 토양호흡량은 각각 6.66, 5.33, 7.20, $7.25tonCha^{-1}yr^{-1}$로 추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식재유형 중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식재림이 탄소저장량과 연간 탄소흡수량이 가장 많아 공원의 탄소흡수원 역할에 크게 기여했고, 소나무식재림은 가장 적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이산화탄소 흡수원의 역할을 하는 도시공원 수목의 식재와 관리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시멘트 산업부문 온실가스(CO2) 배출계수 산정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mission Factors for Greenhouse Gas (CO2) in Cement Industry)

  • 송형도;홍지형;엄윤성;이수빈;김대곤;김정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8-168
    • /
    • 2007
  • The cement industry is one of the energy intensive industries such as petrochemical and steel industry. The energy efficiency of cement industry is high comparing to oversea's cement industries due to the enforcement of energy conservation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stimate emission factors for greenhouse gas ($CO_{2}$) in cement industry. The results of field study, quicklime contained quantity of five factories were $0.64{\sim}0.65$. Measurement emission (15,382 ton/day) is 40% higher than process emission (8,929 ton/day) on the IPCC Guidelines (1996). Add to combustion emission on the lines of IPCC Guidelines (1996) is similar to the emission of this study. The emission factor of greenhouse gas ($CO_{2}$) were as follows the emission factor between $9.01E-01{\sim}2.15E-01\;ton/ton$ for $CO_{2}$. The result of this study is higher than emission factor of IPCC (0.51) but it is similar to U.S. EPA's (0.952).

고형연료제품 사용시설에서의 SNCR의 운전조건에 따른 NOx 배출특성 (NOx Emission Characteristics with Operating Conditions of SNCR in SRF Usage Facilities)

  • 서제우;김영희
    • 청정기술
    • /
    • 제27권4호
    • /
    • pp.350-358
    • /
    • 2021
  • 본 연구결과에서 연소로 내 온도가 848.27 ~ 1,026.80 ℃ 범위로써 평균 976.61 ℃으로 나타났으며, 온도증가에 따라 NOx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요소 사용량은 291.00 ~ 693.00 kg d-1로 평균 542.34 kg d-1로 나타났으며, 요소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NOx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체류시간이 3.38 ~ 9.17 s로 평균 약 5.22 s로써 설계시 고려한 2 s이내 보다 약 2.61 배 크게 나타났다. 이는 SRF 투입량 허가조건인 1,950 kg h-1 대비 평균 SRF 투입량이 약 55.71%인 1,086 kg h-1로써 연소실 면적은 일정하나 SRF 연소량의 감소에 따라 배가스량 감소에 따른 체류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O2/CO 비는 847.05 ~ 14,877.34로 평균 3,111.30으로 나타났고, O2/CO 비 증가에 따라 NOx 농도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온도증가와 O2/CO 비의 증가에 공기 중 질소 성분과의 연소반응이 증가하여 NOx 농도가 다소 증가하였으며, 요소 투입량 증가와 체류시간이 증가할수록 배가스의 NOx와의 반응량이 증가하여 처리 후의 NOx 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TMS 자료에 의한 굴뚝 출구에서의 NOx 농도는 7.88 ~ 34.02 ppm으로 평균 19.92 ppm으로써 배출허용기준 60 ppm 이내로 배출되었다. NOx 배출계수는 1.058 ~ 1.795 kg ton-1으로써 평균 1.450 kg ton-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NOx 배출계수는 기타 고체연료인 최대 배출계수 5.830 kg ton-1 약 24.87%로 나타났으며, 기타 합성수지류와 기타 사업장폐기물의 배출계수인 1.817 kg ton-1, 3.322 kg ton-1 대비 각각 79.80%, 43.65%로 나타났다. 기 유사 연구결과인 NIER 고시(2005-9)의 RDF 배출계수인 1.400 kg ton-1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최대로 나타난 SRF의 경우인 배출계수 13.210 kg ton-1에 비해 약 10.98%로 나타났다. 따라서 NOx의 배출계수는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