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mographic Sca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3초

원발성 삼중암 수술치험 1례 보고 (Triple Primary Cancer -A Case Report-)

  • 김재학;임승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73-576
    • /
    • 1996
  •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은 두개 이상의 암이 동일 개체내에서 각각 독립해서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저자들은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는 폐암, 악성 흉선종 및 방광암이 동반된 3중암 1례를 치험 하였다. 환자는 60세 남자로 호흡 곤란,흉부 불쾌감을 호소하였으며, 3개월전에 방광암 진단하에 Bricker식 수술을 받았다. 당시 시 행한 흉부 단순 사진과 전산화 단층 촬영상 대동맥 전부, 흉골 후부에 종격동 종괴와 폐의 좌하엽 후부에 폐종괴가 보였다. 수술시 좌하엽에서 폐종괴가 촉진되었으며 주위조직으로 이미 침입한흉선종이 발견되어 폐의 좌하엽 절제술및 흉선 절제술을시행하였다. 술후 1차례의 화학요법을 받았으나 더이상의 치료를 거부하고 자의 퇴원하여 약 1년 후에 사망하였다.

  • PDF

단일 흉곽 (A Single Thorax (Buffalo Chest))

  • 김승우;유석종;염호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3호
    • /
    • pp.321-323
    • /
    • 2004
  • 전폐절제술후 주변 해부학적 구조물들에 의하여 전폐절제술후 증후군 증상이 드물게 나타난다. 전폐절제술후에는 경미한 호흡 곤란을 보이거나 전폐절제술후 증후군처럼 중증의 증상을 나타낸다. 전폐절제술쪽 흉곽으로 폐가 탈출되어 단일 흉곽소견(Buffalo chest)이 보이는 경우, 외상 또는 침습적 시술에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Endodontic management of a maxillary first molar with three roots and seven root canals with the aid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Nayak, Gurudutt;Singh, Kamal Krishan;Shekhar, Rhitu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3호
    • /
    • pp.241-248
    • /
    • 2015
  • Variation in root canal morphology, especially in maxillary first molar presents a constant challenge for a clinician in their detection and management.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successful root canal treatment of a three rooted right maxillary first molar presenting with three canals each in the mesiobuccal and distobuccal roots and one canal in the palatal root. The clinical detection of this morphologic aberration was made using a dental operating microscope, and the canal configuration was established after correlating and computing the clinical, radiographic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 findings. CBCT images confirmed the configuration of the canals in the mesiobuccal and distobuccal roots to be Al-Qudah and Awawdeh type (3-2) and type (3-2-1), respectively, whereas the palatal root had a Vertucci type I canal pattern. This report reaffirms the importance of careful examination of the floor of the pulp chamber with a dental operating microscope and the use of multiangled preoperative radiographs along with advanced diagnostic aids such as CBCT in identification and successful management of aberrant canal morphologies.

Computed tomographic anatomy of hepatic artery in normal beagle dogs

  • Kim, Soochan;Jeong, Seongmok;Lee, Heechun;Lee, Youngwon;Choi, Hoju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55-58
    • /
    • 201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visualization and anatomical variants of the hepatic artery with dual-phase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y and three-dimensional volume rendering imaging analysis in clinically normal dogs. Seven healthy beagle dogs were enrolled and underwent dual CT angiography. Arterial phase images could be obtained with multi-detector CT angiography using the fixed-scan method in these dogs. Contrast enhancement of the hepatic parenchyma was quite minimal because of the unique blood supply system of the liver. In most dogs, the main hepatic arterial branches were the right lateral branch, left branch, and right medial branch. Although hepatic arterial variation appears to be common in dogs, only one dog in this study had the caudate lobar branch as the first branch of the hepatic artery. Further study on a larger number of dogs with CT images will be needed to identify and classify the pattern of hepatic arterial variations.

Evaluation of minimally invasive surgical reduction of sacroiliac luxation in toy breed dogs: a cadaver study

  • Ahn, Seoung-Yob;Jeong, Soon-Wuk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38.1-38.13
    • /
    • 2022
  • Background: Minimally invasive surgery (MIS) technique of sacroiliac luxation in toy breed dogs using cannulated screws has not been describe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elvic canal recovery, the reproducibility of successful surgery outcomes, and the acceptable difficulty of the procedure in MIS of sacroiliac luxation in toy breed dogs. Methods: MIS using 2.3-mm cannulated screws was demonstrated in 12 toy breed dog cadavers with sacroiliac luxation artificially induced. Pre and postoperative radiographs were used to evaluate the pelvic canal diameter ratio (PCDR), hemipelvic canal width ratio (HCWR), and reduction rate. Dorsoventral angle (DVA) and craniocaudal angle (CCA) of the inserted screw were obtained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ic scan. Result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pre and postoperative PCDR was found (1.10 ± 0.12 and 1.26 ± 0.11, respectively; p = 0.002), and the mean HCWR close to 1.0 meaning symmetric pelvis also was obtained (0.97 ± 0.07). The mean DVA and CCA were 2.26° ± 1.33° and 2.60° ± 1.86°, respectively. Conclusions: MIS of sacroiliac luxation using 2.3-mm cannulated screws is applicable to toy breed dogs with acceptable difficulty.

흉부 둔상환자에서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진단과 치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Chest CT Scan on the Treatment and Diagnosis of Major Blunt Chest Trauma)

  • 박일환;오중환;이종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26-232
    • /
    • 2009
  • 배경: 흉부 둔상은 전체 흉부 손상의 90%정도를 차지하며 외상과 관련된 사망률의 20%를 유발시킨다. 흉분 둔상에 의한 손상 후 이환율과 사망률의 주요 원인은 발견되지 못한 손상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흉부전산화단층 촬영은 외상환자의 진단적 검사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흉부 컴퓨터 촬영은 가격이 비싸고, 방사선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흉부둔상 환자에서 흉부단순촬영과 비교하여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하여 얼마나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 조사해 보고 그리고 흉부 컴퓨터 촬영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74명의 자동차 관련사고 환자와 26명의 낙상 사고 환자가 있었으며 흉부엑스선과 흉부전산화단층 촬영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를 전체 응급실 환자 중에 선택하였다. 자료는 차트를 통하여 혈역학적 소견, 중재적 치료 여부, 손상의 중증도(RTS)와 종류를 조사하였으며, 초기 응급실 내원환자 중 흉부단순촬영과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발견되지 못한 병적 소견을 각각 질환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100예의 환자 중 흉부엑스선 검사상 하나 이상의 병적소견을 보인 환자가 79예였으며 21예의 환자에서는 흉부엑스선 검사상 정상 소견을 보였으며, 이 21예의 환자 중 17예에서 흉부전산화단층촬영상 이상소견이 발견되었다. 흉부엑스선 검사상 발견하지 못한 소견으로는 기흉, 혈흉, 폐좌상, 흉골 골절 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병적 소견의 진단은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흉부엑스선 검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치료에 있어서는 흉부전산화촬영 시행 후 발견된 병변으로 흉관삽입술등의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31명에 불과했고 흉관삽입술, 개흉술 등의 흉부외과적인 치료 없이 집중관찰을 위하여 입원한 환자가 42명이었으며, 흉부엑스선촬영과 환자의 이학적 소견으로 진단되어 치료를 시행한 환자가 27명이었다. 결론: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은 진단에 있어서 흉부엑스선 촬영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발견되지 못한 병변이 증가할지라도 치료의 변화와 방법의 변화가 있는 경우는 매우 소수에 불과했다. 그리하여 응급실에서의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의 오남용을 막기 위하여 선별적인 흉부전산화단층 촬영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갑상선 유두암의 일차 수술 후 경부 림프절 재발의 원인 (The Cause of Cervical Lymph Node Recurrence after the Initial Surgery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김형규;하은주;이인화;이정훈;소의영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17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has generally an indolent character with a good prognosis. However, recurrence remains a major concern for the patients during their lifetime. Despite the slowly progressing character of PTC, recurrence can occur within a short period after initial surgery.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linical findings and cause of recurrence in patients who underwent re-operative surgery due to neck node recurrence by reviewing the CT (computed tomographic) scan imaging of the recurrence of PTC retrospectively. Materials &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referred to Ajou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2 to January 2018. All patients had re-operative surgery due to neck node recurrence and CT scan results of preoperative evaluation and postoperative follow up. Over this period, 110 patients who underwent re-operation due to neck node recurrence with a CT scan were included in our cohort, resulting in a total of 220 re-operations. Results: The time from initial operation to first re-operation was examined in 110 patients. The median time to re-operation was 28 months, with a range of 4 months to 186 months. Most re-operations (82.7%) occurred within the first five years, 43.6% were in the first two years from the initial surgery. The result of the retrospective CT review showed newly developed cases (21,19.1%), missed diagnosis cases (42,38.2%), real recur cases after surgery (33,30.0%), and remnant lymph nodes (LNs) cases (14,12.7%). We further sub-analyzed 14 cases with remnant LNs. Reasons for remnant LNs included insufficient operation (N=5) and beyond general surgical extent. (N=9). Conclusion: Re-operation due to cervical lymph node recurrence is mostly a persistent disease. They included a missed diagnosis and incomplete operation. These finding may reduce the reoperation of cervical lymph node recurrence by accurate preoperative evaluation and complete surgical resection at the initial surgery.

Detection of Deep Vein Thrombosis by Follow-up Indirect Computed Tomography Venography after Pulmonary Embolism

  • Lee, Hye Jin;Cha, Seung-Ick;Shin, Kyung-Min;Lim, Jae-Kwang;Yoo, Seung-Soo;Lee, Shin-Yup;Lee, Jaehee;Kim, Chang-Ho;Park, Jae-Y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1권1호
    • /
    • pp.49-58
    • /
    • 2018
  • Background: Information regarding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deep vein thrombosis (DVT) detected by follow-up computed tomographic (CT) venography after pulmonary embolism (PE) is spar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DVT in follow-up CT images, and to elucidate their clinical significance. Methods: Patients with PE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cohorts based on the time of indirect CT venography follow-up: within 1 month, 1 to 3 months, and 3 to 9 months after the initial CT scan. Each cohort was subdivided into patients with or without DVT detected by follow-up CT. Clinical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Follow-up CT revealed DVT in 61% of patients with PE within 1 month, in 15% of patients with PE at 1 to 3 months, and in 9% of patients with PE at 3 to 9 months after the initial CT scan. Right ventricular (RV) dilation on the initial CT (odds ratio [OR], 8.30; 95% confidence interval [CI], 1.89-36.40; p=0.005) and proximal DVT at the initial presentation (OR, 6.93; 95% CI, 1.90-25.20; p=0.003) were found to independently predict DVT in follow-up CT images within 1 month, proximal DVT at the initial presentation was found to independently predict DVT in follow-up CT images at 1 to 3 months (OR, 6.69; 95% CI, 1.53-29.23; p=0.012), and central PE was found to independently predict DVT in follow-up CT images at 3 to 9 months (OR, 4.25; 95% CI, 1.22-4.83; p=0.023) after the initial CT scan. Furthermore, the detection of DVT by follow-up CT independently predicted the recurrence of venous thromboembolism (VTE) (OR, 4.67; 95% CI, 2.24-9.74; p<0.001). Conclusion: Three months after PE, DVT was not detected by follow-up CT in most patients with PE. RV dilation on the initial CT, central PE, and proximal DVT at the initial presentation were found to predict DVT on follow-up CT, which might predict VTE recurrence.

페중엽증후군에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굴곡성 기관지경검사의 의의 (Chest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and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y in the Diagnosis of Middle Lobe Syndrome)

  • 이남호;이홍렬;김세규;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3호
    • /
    • pp.236-241
    • /
    • 1992
  • 연구배경 : 최근 전산화 단층 촬영술의 발달로 인해 폐 허탈의 원인으로 기관지 폐쇄질환과 비폐쇄질환의 감별뿐만 아니라 폐쇄질환중에서도 양성질환과 악성질환의 감별이 비교적 용이하게 되었다. 과거 폐중엽중후군의 일반적 특성 및 원인질환에 관한 국내보고는 많았으나 폐중엽증후군에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굴곡성 기관지경검사의 종합적 평가에 의한 진단적 의의에 관한 보고는 찾아 보기 어려웠다. 이에 저자등은 폐중엽 증후군 16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 저자들은 1987년 1월부터 1992년 1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에 입원하여 중엽증후군으로 진단된 16명을 대상으로 임상특징,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기관지경 소견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남녀의 비는 특기할 차이가 없었으나, 50세 이상이 81.3%를 차지 하였다. 2) 임상증상은 기침이 11예(68.7%)로 가장 많았고, 객담 7예(43.8%), 흉통 7예(43.8%), 호흡곤란 5예(31.3%), 식욕 부진 4예(25.0%)의 순이었다. 3) 이학적 소견은 염발음(31.3%)이 5예로 가장 많았고, 통음 2예(12.5%) 호흡음 감소 5예(31.3%), 천명음 1예(6.2%)의 순이었다. 4)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소견은 16예중 5예에서 종괴에 의한 폐쇄소견올 보였으며 7예에서 비특이적 폐쇄소견을 보였고 3예에서는 폐쇄소견이 없었다. 5) 기관지경소견은 16예중 종괴소견이 5예, 폐쇄나 협착 소견이 7예, 삼출액을 동반한 궤양소견이 1예, 분비물로 막힌 경우가 1예, 점막충혈 소견이 2예있었다. 6) 원인질환으로는 결핵성 질환이 6예(37.6%)로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폐압 3예, 양성협착 2예(12.6%), 폐농양 1예(5.2%), 기관지 결석증 1예(12.6%), 폐렴 1예(12.6%), 기관지 연골종 1예(12.6%), 비특이성 염증 1예(12.6%)의 순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폐중엽증후군의 원인질환으로 결핵성 질환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하므로서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감별키 어려웠던 국소 질환의 관찰 및 이로부터 얻은 검체를 통하여 진단적 소견을 얻을 수 있어 폐중엽증후군의 진단과 확진에 흉부 전산화단층촬영과 기관지경 검사의 병용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발성 종격동기종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 전순호;위장섭;이철범;김혁;김영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56-59
    • /
    • 2006
  • 배경: 자발성 종격동기종(SPM)은 상대적으로 드문 양성 질환으로 어떤 유발인자나 질병 없이 젊은 성인에게서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더 불편한 진단절차의 필요여부를 판단하고 자발성 기종격의 진단과 치료의 기준을 확립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한양대학교 서울병원과 구리병원에서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회고적인 연구를 시행했다 모든 환자들은 기흉이나 외상 또는 압력손상의 증거가 없이 종격동에 공기가 있었다. 결과: 18명의 환자들 중에서 2명의 여자 환자를 제외한 대부분은 남자 환자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20.95세였으며, 표준편차는 14.3세였다. 가장 흔한 증상은 흉통, 호흡곤란, 기침이었다. 검사로는 모든 환자에게서 단순흉부 촬영이 행해졌으며, 10명에게는 흉부 단층 촬영이, 6명에게는 기관지내시경이, 3명에게는 식도 조영술이 행해졌다. 평균 재원기간은 10.9일이었다. 모든 환자들은 보전적인 방법으로 치유되었으며, 1$\∼$8년간의 추적관찰 도중 단 한차례만 재발하였다. 결론: 자발성 종격동기종(SPM)은 폐간질에서 폐포의 파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폐문이나 종격동으로 공기의 박리를 유발한다. 비록 자발성 종격 동기종(SPM)이 자기 제한적인 질병이지만 다른 이차적인 질병을 감별하기 위해 단순 흥부촬영과 흉부 단층촬영을 포함한 검사는 반드시 행해져야 한다. 보다 적극적인 검사는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