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copherol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9초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밀의 기울과 배아에서 추출한 기름의 자동산화 안정성 및 미량성분 비교 (Comparison of Autoxidative Stability and Minor Compounds in Oils Extracted from Bran and Germ of Keumkang Wheat and Dark Northern Spring Wheat)

  • 최현기;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28-635
    • /
    • 2009
  • 금강밀 또는 Dark Northern Spring(DNS)밀의 기울과 배아로부터 추출한 유지(WBG유)를 빛을 차단하고 $50^{\circ}C$에서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값, 지방산조성 변화로 자동산화안정성을 평가하였고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엔올, 카로티노이드, 인지질 함량 변화도 함께 측정하였다. 금강밀과 DNS밀에서 추출한 WBG유는 초기 과산화물값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금강밀 WBG유는 DNS밀 WBG유에 비해 높은 유리지방산값을 보였다. 또한 금강밀 WBG유는 DNS밀 WBG유보다 리놀레산이, DNS밀 WBG유는 금강밀 WBG유보다 올레산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 인지질 함량은 DNS밀 WBG유에서 많았으며 토코페롤과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반대 경향을 보였다. 금강밀과 DNS밀에서 추출한 WBG유는 산화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과산화물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산화속도는 두 기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금강밀과 DNS밀 WBG유의 자동산화 중 카로티노이드와 인지질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분해되었고, 인지질함량이 WBG유의 자동산화정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Modulatory effects of $\alpha$- and $\gamma$-tocopherols on 4-hydroxyestradiol induced oxidative stresses in MCF-10A breast epithelial cells

  • Lee, Eun-Ju;Oh, Seung-Yeon;Kim, Mi-Kyung;Ahn, Sei-Hyun;Son, Byung-Ho;Sung, Mi-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3호
    • /
    • pp.185-191
    • /
    • 2009
  • The elevated level of circulating estradiol increases the risk of breast tumor development. To gain further insight into mechanisms involved in their actions, we investigated the molecular mechanisms of 4-hydroxyestradiol (4-$OHE_2$) to initiate and/or promote abnormal cell growth, and of $\alpha$- or $\gamma$-tocopherol to inhibit this process. MCF-10A, human breast epithelial cells were incubated with $0.1{\mu}M$ 4-$OHE_2$, either with or without $30{\mu}M$ tocopherols for 96 h. 4-$OHE_2$ caused the accumulation of intracellular ROS, while cellular GSH/GSSG ratio and MnSOD protein levels were decreased, indicating that there was an oxidative burden. 4-$OHE_2$ treatment also changed the levels of DNA repair proteins, BRCA1 and PARP-1. $\gamma$-Tocopherol suppressed the 4-$OHE_2$-induced increases in ROS, GSH/GSSG ratio, and MnSOD protein expression, while $\alpha$-tocopherol up-regulated BRCA1 and PARP-1 protein expression. In conclusion, 4-$OHE_2$ increases oxidative stress reducing the level of proteins related to DNA repair. Tocopherols suppressed oxidative stress by scavenging ROS or up-regulating DNA repair elements.

Effects of Incremental Levels of α-Tocopherol Acetate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Quality of Commercial Broilers

  • Chae, B.J.;Lohakare, J.D.;Choi, J.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203-208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icacy of ${\alpha}$-tocopherol acetate (AT), a commercial supplement containing tocopherols, in commercial broilers. Three hundred and thirty Ross broiler chicks (4-d old) were randomly distributed and allotted to five dietary treatments for six weeks. Each treatment comprised 3 pens as replicates containing 22 chicks per pen. The five dietary treatments were: 0 mg/kg AT (negative control); 10 mg/kg AT; 50 mg/kg AT; 100 mg/kg AT; and 200 mg/kg AT; respectively, supplied totally by the supplement under study. Supplementation of AT improved weight gain significantly (p<0.05), with higher values in the 100 and 200 mg/kg AT fed group than the control during all phases of study, but feed intake remained unaffected. The nutrient digestibility studies conducted after 15 and 35 days of experimental feedi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igestibility of CP, ether extract and gross energy, in these two groups over the control diet. Carcass traits like dressing percentage and the color of the breast mea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ue to treatments, but significantly (p = 0.0152) lower abdominal fat percent was noted in the 200 mg/kg fed group. Higher (p = 0.0003) tibia bone strength was noticed in groups fed diets above 50 mg/kg AT because of higher bone mineral content. The serum levels of tocopherols were not influenced but the muscle tocopherols content showed a positive linear trend with the dietary levels supplemented.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level in meat also suggested that supplemental AT has a protective role in rancidity. Overall, it could be concluded that AT supplementation at higher levels was found beneficial for growth and increased chicken meat quality.

한국산 두류 종실중 토코페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 (Tocopherols and fatty acids in plant seeds from Korea)

  • 이인복;최강주;유광근;장기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1-5
    • /
    • 1992
  • 한국에서 다양한 용도의 식품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13개 두류의 종실에 대한 토코페롤과 지방산조성을 HPLC와 GC로 각각 분석하였다. 총 토코페롤 함량은 $4.74{\sim}44.05\;mg/100g$으로 두류에 따라 함량차이가 현저하였으며, 동족체별 토코페롤 함량은 ${\gamma}->{\delta}->{\alpha}-$토코페롤 순이었으나, 적소두 및 갈소두에서는 ${\delta}->{\gamma}->{\alpha}-$토코페롤 순이었다. 지방질 함량도 $0.53{\sim}20.96%$로 함량차가 현저하였으며, 특히 지방질 함량이 $15.78{\sim}20.96%$인 두류는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86.5{\sim}88.2%$로 높았고 그 중 linoleic acid가 $56.0{\sim}56.8%$로 현저하게 높았으며, 총 토코페롤 함량도 $23.2{\sim}44.05\;mg/100g$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과 ${\gamma}$-토코페롤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가열에 의한 들깨의 지방질 산화와 산화방지제의 변화 (Lipid Oxidation and Antioxidant Changes in Perilla Seeds during Heating)

  • 왕선영;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11-718
    • /
    • 2011
  • 들깨의 가압가열 처리 중 들깨지방질의 산화정도와 토코페롤 및 폴리페놀 화합물의 분해는 들깨의 볶음 여부와 가열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가압가열 처리 중 볶은 들깨보다 생 들깨에서 지방질 산화 안정성은 높았으나, 산화방지제의 안정성은 낮았다. 또한 토코페롤보다는 폴리페놀 화합물이 들깨의 가압가열 중 지방질산화에 기여한 정도가 더 높았다. 그러므로 들깨를 들깨죽 제조에 적용할 때 폴리페놀 화합물의 농도와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보다 높은 품질의 들깨 적용 식품을 생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들깨 및 들기름의 자외선 조사 중 지방질 산화와 산화방지제의 변화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 Changes in Perilla Seeds and Perilla Oil Affected by UV Irradiation)

  • 왕선영;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13
    • /
    • 2012
  • 자외선 조사는 들깨와 들기름에서 지방질 산화를 유발하였으며 들기름에 비해 들깨의 산화안정성이, 볶은 들깨에 비해 생 들깨의 유지 산화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자외선 조사 중 들깨와 들기름에 존재하는 토코페롤과 폴리페놀 화합물은 분해되었으며 분해 속도는 들기름보다 들깨에서, 볶은 들깨보다 생 들깨에서 높았다. 또한 자외선 조사 중 들깨에 비해 들기름이 산화방지제 농도에 더욱 민감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토코페롤에 비해 폴리페놀 화합물이 들깨 및 들기름의 산화방지에 높은 기여도를 보였다.

Metabolic profiling reveals an increase in stress-related metabolites in Arabidopsis thaliana exposed to honeybees

  • Baek, Seung-A;Kim, Kil Won;Kim, Ja Ock;Kim, Tae Jin;Ahn, Soon Kil;Choi, Jaehyuk;Kim, Jinho;Ahn, Jaegyoon;Kim, Jae Kwa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2호
    • /
    • pp.141-151
    • /
    • 2021
  • Insects affect crop harvest yield and quality, making plant response mechanisms to insect herbivores a heavily studied topic. However, analysis of plant responses to honeybees is rare. In this study, comprehensive metabolic profiling of Arabidopsis thaliana exposed to honeybee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ich metabolites were changed by the insect. A total of 85 metabolites-including chlorophylls, carotenoids, glucosinolates, policosanols, tocopherols, phytosterols, β-amyrin, amino acids, organic acids, sugars, and starch-were identifi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gas chromatography-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The metabolite profiling analysis of Arabidopsis exposed to honeybees showed higher levels of stress-related metabolites. The levels of glucosinolates (glucoraphanin, 4-methoxyglucobrassicin), policosanols (eicosanol, docosanol, tricosanol, tetracosanol), tocopherols (β-tocopherol, γ-tocopherol), putrescine, lysine, and sugars (arabinose, fructose, glucose, mannitol, mannose, raffinose) in Arabidopsis exposed to honeybees were higher than those in unexposed Arabidopsis. Glucosinolates act as defensive compounds against herbivores; policosanols are components of plant waxes; tocopherols act as an antioxidant; and putrescine, lysine, and sugars contribute to stress regul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Arabidopsis perceives honeybees as a stress and changes its metabolites to overcome the stress. This is the first step to determining how Arabidopsis reacts to exposure to honeybees.

미국산 전통품종과 유전자 재조합 땅콩품종의 지방산과 토코페롤의 상관관계 (Relationships between Fatty Acids and Tocopherols of Conventional and Genetically Modified Peanut Cultivars Grown in the United States)

  • 신의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18-1628
    • /
    • 2013
  • 미국산 땅콩의 지용성 성분의 연구를 위해 일반 품종과 hioleic 품종이 가지는 지방산과 지용성 vitamin 중 하나인 tocopherol의 구성과 그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두 가지 품종에서 확연한 지방산 조성의 차이를 대표적 지방산인 palmitic acid, oleic acid, 그리고 linoleic acid를 중심으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포화지방산과 ${\beta}$-T 반비례 관계를 통계적 접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orrelation을 통해서 ${\gamma}$-T와 ${\delta}$-T가 높은 비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변량 분석을 위한 통계기법 중 대표적인 PCA를 통해서 땅콩의 지용성 성분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변수로 분류한 지방산과 tocopherol과의 관계를 loading plot을 통해서 확인하였고, score plot을 통해 개별 땅콩 품종들이 보이는 그룹간의 유의성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통계적 접근을 통해서 일반적인 분석 데이터에서 보여주는 정보 이외의 숨은 결과를 수학적 계산을 근거로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PCA를 이용한 통계적 접근법은 앞으로 여타의 땅콩품종이 가진 지용성 및 수용성 성분의 상관관계 및 품종간 그룹별 분류에 좀 더 체계적인 수단으로써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우수한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을 가진 땅콩이 육종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개량된 high-oleic 품종은 더욱 우수한 영양성분 및 식품으로서의 가공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식품소재로서의 high-oleic 품종은 전통 품종보다 더욱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에서 발견한 fatty acid와 tocopherol 함량의 유의적인(P<0.05) 상호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향후 땅콩을 포함한 식품소재의 성분 분석에 대한 연구 과정에서 잠재적으로 발생 가능한 영양 및 기능성 성분에 대한 상호관계를 탐색 연구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대두유 및 미강유의 찌꺼기유로부터 토코페롤의 농축을 위한 메타세시스 반응효과 (The Effects of Metathesis for Concentrating the Tocopherols from Soybean and Rice-bran Scum Oils)

  • 안호근;문일식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449-454
    • /
    • 1995
  • 대두유 및 미강유의 찌꺼기유내에 존재하는 고부가가치의 토코페롤을 농축하기 위하여, 찌꺼기유중의 불포화 유라지방산의 제거에 에타서l시스반응을 적용하고 그에 따른 농축효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함유된 스테롤은 흔합용매법에 의해 제거하였고, 메타세시스반응은 헬륨분위기의 회분삭반응기를 사용하였다. 대두유 및 미강유의 찌꺼기유에 함유되어 있는 토코페롤은 헥산용매중에서 또는 공기존재하에서 가열하면 쉽게 소실되었다. 스테롤을 제거한 여액의 에타세시스반응에 있어서, 사용한 $Re_2O_7/Al2O_3$ 촉매는 12.8% (w/w)의 담지율이 가장 좋았는데, 이는 고담지율에서의 [$Re_2O_7$]과 테트라에틸주석이 반응하여 메타세시스에 유효한 활생종을 생성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촉매량은 원액 109당 O.5g의 경우가 최적이었으며, 반응온도는 $25^{\circ}C$가 가장 좋았다. 이 사살들로부터 찌꺼기유중의 토코페롤을 새로운 메타세시스반응에 의해 고농도로 항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정 유무에 따른 제주산 보리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pearled and wholegrain barley harvested in Jeju)

  • 강유리;김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2-25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 쌀보리인 일반보리, 청보리, 흑보리를 이용하여 도정 유무에 따른 항산화 성분과 활성을 비교하였다. 제주산 쌀보리의 항산화 성분인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에서 139.99-149.90 ㎍ GAE/g, 도정한 쌀보리는 91.14-125.45 ㎍ GAE/g 범위로 나타나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에서 보다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0.89-1.01 ㎍ QE/g)가 도정한 쌀보리(0.50-0.54 ㎍ QE/g)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HPLC로 분석한 제주산 쌀보리의 페놀성 화합물로 gallic, protocatechuic, vanillic, p-coumaric 및 ferulic acid가 주로 검출되었으며, 도정하지 않은 흑보리와 도정한 일반보리에서는 p-coumar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Tocopherols 및 tocotrienols 분석 결과에서는 8가지 이성체 중 α-T3 함량이 높았고,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의 α-T3는 20.68-33.09 ㎍/g으로 도정한 쌀보리 8.93-14.98 ㎍/g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제주산 쌀보리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결과에서 금속 이온 제거능을 제외하고 도정하지 않은 쌀보리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항산화 활성 중 SOD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내었다. In vitro 항산화 활성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비해 총 tocopherols 및 tocotrienols 함량에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도정하지 않은 제주산 쌀보리에서 높은 항산화 성분 및 활성이 나타나 이를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