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bit Regression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2초

Random Effects Tobit 회귀모형을 이용한 교차로 교통사고 요인 분석 (An Analysis on Vehicle Accident Factors of Intersections using Random Effects Tobit Regression Model)

  • 이상혁;이정범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6-37
    • /
    • 2017
  • 본 연구는 random effects Tobit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도심지 교차로에 대한 교통사고모형을 개발하여 교통사고와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Random effects Tobit 회귀모형의 적용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fixed effect Tobit 회귀모형을 산정하였다. 산정결과, 교통량, 제한속도, 차로수, 토지이용, 우회전차로, 전방신호등이 유효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총 교통사고율에 대한 random effects 모형의 모형 적합도(결정계수: 0.418, 로그-우도함수값: -3210.103, 우도비: 0.056)와 모형 설명력(MAD: 19.533, MAPE: 75.725, RMSE: 26.886)은 fixed effects 모형의 모형 적합도 (결정계수: 0.298, 로그-우도함수값: -3276.138, 우도비: 0.037)와 모형 설명력(MAD: 20.725, MAPE: 82.473, RMSE: 27.267)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상교통사고율에 대한 교통사고모형에서도 총 교통사고율의 산정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나 두 모형에서 random effects Tobit 회귀모형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빗모형을 이용한 교차로 보행자 사고모형 개발 (Developing the Pedestrian Accident Models of Intersections using Tobit Model)

  • 이승주;임진강;박병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54-159
    • /
    • 2014
  • This study deals with the pedestrian accidents of intersections in case of Cheongju. The objective is to develop the pedestrian accident models using Tobit regression model. In pursuing the above, the pedestrian accident data from 2007 to 2011 were collected from TAAS data set of Road Traffic Authority. To analyze the accident, Poisson, negative binomial and Tobit regression model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were the number of accident by intersection. Independent variables are traffic volume, intersection geometric structure and the transportation facilit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bit model was judged to be more appropriate model than other models. Also, these models were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uch the main variables related to accidents as traffic volume, pedestrian volume, number of traffic island, crossing length and the pedestrian countdown signal systems were adopted in the above model.

토빗모형을 이용한 가로구간 보행자 사고모형 개발 (Developing the Pedestrian Accident Models Using Tobit Model)

  • 이승주;김윤환;박병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01-107
    • /
    • 2014
  • PURPOSES : This study deals with the pedestrian accidents in case of Cheongju. The goals are to develop the pedestrian accident model. METHODS : To analyze the accident, count data models, truncated count data models and Tobit regression models a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number of accident. Independent variables are traffic volume, intersection geometric structure and the transportation facility.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bit model was judged to be more appropriate model than other models. Also, these models were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uch the main variables related to accidents as traffic volume, pedestrian volume, number of Entry/exit, number of crosswalk and bus stop were adopted in the above model. CONCLUSIONS : The optimal model for pedestrian accidents is evaluated to be Tobit model.

SUR 토빗회귀모형에서 베이지안 추정과 최대가능도 추정의 비교 (A Comparison of Bayesian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s in a SUR Tobit Regression Model)

  • 이승천;최병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6호
    • /
    • pp.991-1002
    • /
    • 2014
  • Greene (2004a,b), Lee와 Choi (2014) 등의 연구에서 토빗 회귀모형의 최대가능도 추정은 표준오차를 과소추정한다는 것이 알려졌고, 그 원인의 하나는 오차항 분산의 과소 추정에 있다고 한다. 오차항 분산의 과소 추정은 회귀계수에 대한 가설 검정 및 구간추정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독립변수들의 주변효과를 추정하는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토빗 회귀모형에 대한 적절한 분석이 수행되려면 최대가능도 추정의 과소 추정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정보 사전분포에 의한 베이지안 추론 방법은 빈도학파들이 요구하는 효율성을 갖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도 무정보 사전분포에 의한 베이지안 추론을 적용하여, 베이지안 방법론이 SUR 토빗 회귀모형에서 최대가능도 추정의 과소 추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절단자료에 대한 Tobit과 Heckit 모형의 이해와 활용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Tobit and Heckit models for censored data)

  • 김정환;장민아;조형준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3호
    • /
    • pp.357-37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Tobit 모형과 Heckit 모형을 소개한다. 이러한 모형은 절단된 자료의 분석에 사용되는데, 이때 절단된 자료란 연속형 자료가 아닌 특정 지점에서 절단이 발생하게 되거나 일정한 지점에서 개체가 양의 확률로 개체의 다수가 분포, 다른 영역에서는 연속형의 형태로 분포하는 자료를 의미한다. 이때 절단된 형태의 자료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선형회귀모형을 적합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교정하고자 Tobit 및 Heckit 모형을 사용하나, 두 모형의 차이점이 명확하게 고려되지 않고 종종 혼용된 채 사용되었다. 따라서 여기서는 절단된 자료의 형태를 가정별로 세분화하여 모의자료를 통해 먼저 모형의 적합성을 비교하였으며, 이후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을 적합하였다. 그 결과 절단 여부에 영향을 주는 잠재변수가 없는 경우 Tobit 및 Heckit 모형 모두 잘 적합되나 Tobit 모형이 간소하면서도 참값에 더 근접하게 적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절단 여부에 영향을 주는 잠재변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Heckit 모형만 적합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장미농가의 생산효율성 분석: DEA와 SFA 기법 비교를 중심으로 (Productive Efficiency of the Rose Farming Business: A Comparison of DEA and SFA)

  • 김기태;김원경;정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719-8727
    • /
    • 2015
  • 본 연구는 장미농가의 생산효율성을 측정하고, 경영의 비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SFA(Stochastic Frontier Analysis) 기법과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기법을 사용하여 생산효율성을 측정하였으며,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Tobit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SFA 방법을 통한 생산효율성은 88.4%으로 측정되었으며, DEA 방법에서 불변규모수익(CRS) 모형과 변동수익규모(VRS) 모형을 통해서는 생산효율성이 각각 78.5%와 85.2%로 측정되었다. 특히 두 가지 방법의 생산효율성 측정결과는 각 경영체의 효율성 순위를 동일하게 설명하고 있어 상호보완적이다. 다음으로 Tobit 분석 결과, 투입한 6개의 변수가 모두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묘비와 제재료비는 (+) 부호를 나타냄과 동시에 회귀계수가 가장 크게 나타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경영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미농가는 종묘비와 제재료비의 투입을 증대시켜 더욱 높은 소득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경영 효율성을 증대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DEA 모형을 활용한 소매점의 효율성 및 결정요인 분석 (The Analyses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Efficiency Factors of Retail Stores Using DEA Model)

  • 고경완;김대철
    • 경영과학
    • /
    • 제31권4호
    • /
    • pp.135-150
    • /
    • 2014
  • This paper analyze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91 individual retail stores in Seoul by a two-step procedure. In the first step, a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odel is used to identify the efficiency scores. Three inputs (store size, number of items, and number of employees) and two outputs (sales and number of customers) are used for the efficiency measurement. In the second step, a Tobit regression model is used to identify the drivers of efficiency. DEA efficiency scores are used to test hypotheses on the impact of five independent variables, namely store age, number of items per store size, number of items per employee, trade area index, and number of competitors. Results of the Tobit analysis show that number of items per store size, number of items per employee, and number of competito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retail stores.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Using Tobit Regression Analysis to Further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Youth Alcohol Problems with Depression and Parental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 Females

  • Delva, Jorge;Grogan-Kaylor, Andrew;Steinhoff, Emily;Shin, Dong-Eok;Siefert, Kristin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45-149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extent to which youth depressive symptoms, parental alcohol problems, and parental drinking account for differences in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a large sample of adolescent females. Methods : The stratified sample consists of 2077 adolescent females from twelve female-only high schools located in a large metropolitan city in the Republic of Korea.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alcohol use and alcohol problems, their parents' alcohol problems, and a number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Data were analyzed using tobit regression analyses to better characterize the associations among variables. Results : Almost two-thirds of students who consume alcohol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to two alcohol-related problems in their lives and 54.6% reported at least one current symptom of depression, with nearly one-third reporting two depressive symptoms. Two-thirds of the students indicated that at least one parent had an alcohol-related problem, and that approximately 29% had experienced several problems. Results of tobit regression analyses indicate that youth alcohol-related problem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p<0.01) and parent drinking problems (p<0.05). Parental drinking is no longer significant when the variable parental attention is added to the model. Decomposition of the tobit parameters shows that for every unit of in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and in parent drinking problems, the probability of a youth experiencing alcohol problems increases by 6% and 1%, respectively. For every unit of increase in parental attention, the probability of youth experiencing drinking problems decreases by 5%. Conclusions : This study presents evidence that alcohol-related problems and depressive symptoms are highly prevalent among adolescent females. Although a comprehensive public health approach is needed to address drinking and mental health problems, different interventions are needed to target factors associated with initiation of alcohol problems and those associated with increased alcohol problems among those who already began experiencing such problems.

자료포락분석(DEA)를 이용한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효율성과 결정요인 분석 (A Study on the Efficiency and Its Determinants in Korea's Service Sectors Using DEA)

  • 배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339-34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우리나라 10개의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자료포락분석 (DEA)을 이용하여 생산효율성을 측정하고 단절토빗회귀모형과 중도절단토빗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추정된 서비스산업의 효율성은 대체적으로 매우 낮았고 양극화되어 있었으며,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의 경우 기술적 비효율성이 규모의 비효율성에 기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투자와 연구개발비는 기술효율성에 정(+)의 관계에 있고, 해외직접투자와 접대비는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규모가 큰 산업일수록 효율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미래의 산업인 서비스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부의 경제정책은 투자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거시정책과 해외직접투자와 인적자본의 융합 등 미시적인 부문이 동시에 고려되는 보다 융합적 정책이 필요하다.

국가 위암검진 수검률의 지역 간 변이 (Regional Variation in National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in Korea)

  • 박주현;최소영;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6-303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regional factors related to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provided by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 Korea. Methods: The unit of analysis was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i gun gu level. Dependent variable was regional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provided by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and regional variables were selected to represen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demographic, health behavior and status, socioeconomic, and health resource. Tobit regression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Result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was varied depending on regions from 47.8% to 69.1%. Tobit regression showed that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smoking rate,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premium per capita. And regional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ex ratio and number of gastric cancer screening center. Conclusion: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regional policies for increasing the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