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bit Analysis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7초

자료포락분석방법을 이용한 내원환자의 지역별 벤치마킹분석 : 일개 한방병원을 중심으로 (Benchmarking the Regional Patients Using DEA : Focused on A Oriental Medicine Hospital)

  • 문경준;이광수;권혁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1-105
    • /
    • 2014
  • 본 논문의 목적은 지역을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한방병원에 내원한 환자의 지역적 특성 분석 및 성과개선규모를 파악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자료는 대전광역시에서 운영 중인 일개 한방병원을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환자의 위치 정보는 행정구역의 가장 작은 단위인 '동'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 병원의 의무기록 자료에서 환자 주소를 기준으로 수집하였다. 각 행정동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은 통계청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행정동에서 내원한 환자의 규모를 비교 평가하였고, 그리고 Tobit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효율성 점수와 지역 특성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DEA 분석결과 효율적인 동은 6개였으며, Tobit 회귀분석에서는 각 동별 기초생활수급자수와 총인구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단위를 행정구역의 최소단위인 행정동 별로 세분화하여 자료포락분석방법이 가지는 벤치마킹의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병원의 성과 개선을 위해 필요로 하는 각 지역별 환자수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패널 토빗모형을 이용한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s of the youth employment rate using panel tobit model)

  • 박성익;류장수;김종한;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4호
    • /
    • pp.853-86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의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고용현황 조사, 국회의 공공기관 고용현황 조사, 알리오 (www.alio.go.kr) 및 클린아이 (www.cleaneye.go.kr) 등 4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채용비율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기관별 청년채용 비율은 청년채용 여부와 청년채용비율의 크기에 대한 두 가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즉 종속변수 가 일정한 영역에서만 관찰되는 중도자료를 갖는 형태로서 통상적 최소제곱추정은 편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일치추정량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합동 토빗모형과 패널 토빗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동 토빗모형에 비해서 패널 토빗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고, 2011년에 비해서 2014년과 2015년의 청년채용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방공공기관에 비해서 공기업의 청년채용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평균 보수액이 증가할수록 청년채용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입직원의 평균보수액이 증가할수록, 정원대비 정규직비율이 증가할수록 청년채용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Determinants of the Extent of Individual Credit Rationing: A Case Study of Can Tho Military Commercial Joint Stock Bank, Vietnam

  • DANG, Quang Vang;TRAN, Viet Thanh Truc;VUONG, Quoc Duy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7호
    • /
    • pp.81-91
    • /
    • 2022
  •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extent of individual credit rationing at Can Tho Military Commercial Joint Stock Bank (MB).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50 customers according to the systematic random sampling method listed in the bank. This study employe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and Tobit regression model,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loan amount of an individual customer was 1,181.3 million VND, the average credit limit was 48.6%, and the average interest rate was 10.9% per year. Most of the individual customers borrowed money to buy properties.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also indicated that individual borrowers still faced some difficulties in accessing bank credit, such as cumbersome procedures, long waiting times, insufficient collateral assets, and loan documents. The results of the Tobit model pointed out that there were fiv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credit rationing to individual customers at the bank, including (1) Collateral, (2) Income, (3) Credit history, (4) Loan purpose, (5) Relationship between borrower and bank.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the possible solutions for the bank and individual borrowers to improve credit efficiency for individual customers at commercial banks are obtained.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효율성 측정 - 지방공사 의료원을 대상으로 - (Measuring production efficienc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 The case of public Corporation Medical Centers)

  • 박창제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1-114
    • /
    • 1996
  • In this research,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was applied to measure production efficiency of Public Corporation Medical Centers(PCMCs) operating in Korea.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triple. First, identifing convenience and usefulness of DEA to measure the relative efficiency among PCMCs. Second, assessing magnitudes of the relative efficiency for each PCMC. Third, adding insights into some factors resulting inefficiency in PCMCs. Then, in this paper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measured by DEA[introduced by Charnes, Cooper, and Rhoides(1978) and Banker, Charnes, and Cooper(1984)] were analyzed and a new separate variable was introduc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perations were conducted in regions of increasing, constant or decresing returns to scale(in multiple input and output situations). And a multi-factor Tobit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which variables are associated with PCMC's efficiency.

  • PDF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경영효율성 분석 (Efficiency Analysis of Organic Farm Management)

  • 김창길;이상건;김태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33
    • /
    • 2009
  • This paper evaluates the technical efficiency of organic farm management practices and studies its main determinants in Hongdongmyeon of Hongsung county, Chungnam province. The analysis is performed in two stages. First, the efficiency is measured via the nonparametric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echnique. The DEA models are constructed not only to assess the overall technical efficiency of organic fanning practices but also to evaluate the management efficiencies. In a second stage critical determinants of efficiency are determined using a Tobit model. In this analysis the focus is on technical and socio-economic variables.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echnically efficient farms is about 13 percent and the mean technical efficiency is found to be 0.73 indicating that many farms are not operating at an efficient scale.

  • PDF

생수 및 정수기 소비지출에 대한 이변량 토빗 연립방정식 분석 (Simultaneous Equation Bivariate Tobit Analysis of Bottled Water and Water Purifier Consumption Expenditures)

  • 유승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2권4호
    • /
    • pp.559-577
    • /
    • 2003
  • 상수원이 오염되고 수돗물 수질을 불신함에 따라 이에 대한 방어적 지출로서 생수 및 정수기에 대한 지출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지출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중요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즉, 지출에 있어서 영의 자료가 많이 관측되며, 두 가지 지출이 서로 상호종속적일 수 있고, 또 내생적으로 함께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변량 토빗 연립방정식 분석을 통해 영의 관측치, 상호종속성, 내생성의 문제를 명시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1997년 서울에서 수집된 가구서베이 자료를 이용하여 두 가지 지출함수의 모수들을 추정한다. 분석결과, 두 지출간에 상호종속성이 발견되었으며, 한 가지 지출변수는 다른 지출함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용된 이변량 토빗 연립방정식 모형은 생수 및 정수기 소비지출 자료의 분석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지출의 소득 탄력성 및 가구크기 탄력성 추정치도 제시한다.

  • PDF

Using Tobit Regression Analysis to Further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Youth Alcohol Problems with Depression and Parental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 Females

  • Delva, Jorge;Grogan-Kaylor, Andrew;Steinhoff, Emily;Shin, Dong-Eok;Siefert, Kristin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45-149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extent to which youth depressive symptoms, parental alcohol problems, and parental drinking account for differences in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a large sample of adolescent females. Methods : The stratified sample consists of 2077 adolescent females from twelve female-only high schools located in a large metropolitan city in the Republic of Korea.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alcohol use and alcohol problems, their parents' alcohol problems, and a number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Data were analyzed using tobit regression analyses to better characterize the associations among variables. Results : Almost two-thirds of students who consume alcohol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to two alcohol-related problems in their lives and 54.6% reported at least one current symptom of depression, with nearly one-third reporting two depressive symptoms. Two-thirds of the students indicated that at least one parent had an alcohol-related problem, and that approximately 29% had experienced several problems. Results of tobit regression analyses indicate that youth alcohol-related problem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p<0.01) and parent drinking problems (p<0.05). Parental drinking is no longer significant when the variable parental attention is added to the model. Decomposition of the tobit parameters shows that for every unit of in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and in parent drinking problems, the probability of a youth experiencing alcohol problems increases by 6% and 1%, respectively. For every unit of increase in parental attention, the probability of youth experiencing drinking problems decreases by 5%. Conclusions : This study presents evidence that alcohol-related problems and depressive symptoms are highly prevalent among adolescent females. Although a comprehensive public health approach is needed to address drinking and mental health problems, different interventions are needed to target factors associated with initiation of alcohol problems and those associated with increased alcohol problems among those who already began experiencing such problems.

자료포락분석(DEA)를 이용한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효율성과 결정요인 분석 (A Study on the Efficiency and Its Determinants in Korea's Service Sectors Using DEA)

  • 배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339-34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우리나라 10개의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자료포락분석 (DEA)을 이용하여 생산효율성을 측정하고 단절토빗회귀모형과 중도절단토빗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추정된 서비스산업의 효율성은 대체적으로 매우 낮았고 양극화되어 있었으며,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의 경우 기술적 비효율성이 규모의 비효율성에 기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투자와 연구개발비는 기술효율성에 정(+)의 관계에 있고, 해외직접투자와 접대비는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규모가 큰 산업일수록 효율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미래의 산업인 서비스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부의 경제정책은 투자와 연구개발활동을 통한 거시정책과 해외직접투자와 인적자본의 융합 등 미시적인 부문이 동시에 고려되는 보다 융합적 정책이 필요하다.

혁신형제약기업의 기술혁신활동에 대한 경영효율성 분석 (Management Efficiency Analysis of Innovative Pharmaceutical Companie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 임혜련;민현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61-37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형제약기업 인증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활동에 대한 효율성과 생산성을 분석하여 경쟁력을 진단하고 강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8개 혁신형제약기업에 대한 2017~2019년 동안의 투입(연구개발비, 종업원 수) 및 산출(매출, 영업이익, 특허) 데이터를 수집하여, DEA, Tobit 및 MP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혁신형제약기업의 DEA 결과는 규모의 효율성을 보여주는 CCR 모형 값과 내부 운영 효율성을 나타내는 BCC 모형 값 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효율성은 기업의 특성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셋째, Tobit 모형은 보유특허수가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 MPI는 0.89로, 이는 TECI가 3%p 감소하고 TCI가 4%p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효율의 원인을 규명하고 목표값을 제시하여 효율성 향상을 위한 대응전략을 위한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Drinking Demand and Expenditure of College Students

  • Lee, Seung-g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215-22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drinking needs and spending. An analysis model to estimate the determinants affecting drinking needs was applied with a truncated Poisson model and a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 Tests to select more appropriate models of the two types were made using the comparison of log-likelihood function and the over-dispersion test. The analysis result was interpreted by applying the truncated negative binomial model as the truncated Poisson model showed over-dispersion. We also applied the Tobit model to analyze the determinantsthat affect college students' expenditure on drink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gender, grade, allowance and parental occupation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statistics, and gender, type of household income, and student religion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expendi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