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道) government office build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일제강점기 도청사.부청사의 설계주체와 설계과정 (Planning Organizations and Planning Process of To(道) and Pu(府) Government Office Building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 김명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02-109
    • /
    • 2011
  •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re were two kinds of architectural government organizations inside the Chosun(朝鮮) Governor-General which designed To(道) and Pu(府) government office buildings; one was the organization inside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and the other inside the local government offices(To and Pu). By the administrative approval procedure of the Chosun Governor-General, the local architectural organization planned site and floors of the building in the schematic design stage, and in the detail design stage not only the central but sometimes the local planned the building design. The design accomplished by the local in schematic stage was believed as a kind of guideline in detail design and the local organization was able to insist their own needs to the central and to change the central's planning. Even though the central had the authority of the design, the local took part in the planning of To and Pu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t least in the schematic design stage.

일제강점기 기존 건물을 전용한 군청사의 개축 및 증축 양상 (Remodeling and Extension of reused Goon(郡) Office Building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992-499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건물을 전용하는 군청사는 어느 정도 차지하는지, 전용한 군청사의 건축적 특성은 무엇인지, 군청사 기능에 맞게 증개축하는 경우 그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군청사 관련 디지털 도면자료, 해제와 더불어 조선총독부와 각 도 사이에 오고간 문서와 신문 잡지의 기사 도면 사진 등을 발굴 분석하는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한다. 군청사로 전용된 건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지방관립시설, 대한제국기 군청사, 용도를 알 수 없는 건물로 나뉜다. 전용 건물을 군청사의 위상과 기능에 적합하게 개축할 때는 방을 구획하는 벽을 털어내 큰 방을 만들고 접수대를 놓아 직원의 업무공간과 민원인의 대기공간으로 구분했고, 증축은 전면 중앙에 작은 돌출현관을 내달고 간단한 양식 목조의 부속가를 본가의 뒤나 옆에 신축하고 외부연결복도로 이었다. 전용 군청사가 전체 군의 약 30%로 많고 전국에 걸쳐 있었는데, 그 57%가 나중에 신축되는데 절반은 1930년대 전반기 신축되고 이후 급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