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lMS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연구(TIMSS-R) 과학 성취도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 Achievement of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TIMSS-R))

  • 홍미영;박정;김성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28-341
    • /
    • 2001
  • 본 연구는 제3차 국제 수학 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의 국제 결과에 대한 일차적 연구로서 첫째, 우리 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의 국제적 수준을 알아보고, 둘째, 지난 4년 동안 세계 각국의 과학 성취도 변화를 파악하며, 셋째, 과학의 각 영역별 성취도의 국제적 수준을 비교 분석하며, 넷째, 남 여학생의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 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의 과학 성취도는 평균 접수는 549 점으로서, 국제 평균 점수인 488점보다 유의미하게 높으며, 국제 5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1995년도 TIMSS 4학년 학생들의 성취도와 비교하여 보면 다소 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여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1995년도에 비하여 많이 높아졌으나 여전히 성차가 국재 평균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TIMSS와 TIMSS-R 두 결과 사이의 평균 정답율은 거의 비슷하였다.

  • PDF

문항 유형에 따른 과학 능력 추정의 효율성 비교 (A Relative Effectiveness of Item Types for Estimating Science Ability in TIMSS-R)

  • 박정;홍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2-131
    • /
    • 2002
  • 본 연구는 수행 평가 방식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실지로 수행형 평가 문항이 전통적인 선다형 평가문항에 비해 어떤 학생들에게 어떻게 유용한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제 3차 수학 과학 성취도 국제비교 반복 연구에 사용된 선다형과 수행형 평가문항들을 내용영역별로 분석하여, 수행형의 평가문항과 선다형의 평가문항의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수행형의 문항이 선다형의 문항에 비하여 학생들의 능력을 더 정확하게 추정함으로써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이나 과학의 본성 영역에 비하여 지구과학, 생물, 물리와 화학 영역에서 수행형의 문항이 선다형의 문항에 비하여 학생들의 능력을 더 정확하게 추정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선다형의 문항에 비하여 적은 수의 문항으로 학생들의 능력을 추정함에도 불구하고 추정오차가 적어, 적은 수의 수행형 문항으로도 학생들의 능력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Is Mathematics Teaching in East Asia Conducive to Creativity Development? - Results from the TIMSS 1999 Video Study and the Learners' Perspective Study

  • Leung Frederick K. S.;Park Kyungm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203-231
    • /
    • 2005
  • Students in East Asia have consistently out-performed their counterparts in the West in recent international studies of mathematics achievement. But some studies also show that East Asian students are more rigid in thought, and lack originality and creativity. While different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o account for these student performances, relatively few research studies have been done on classroom practices, potentially a major variable for explaining student performances. This paper will report on the results of two classroom studies: the TIMSS 1999 Video Study and the Learners' Perspective Study (LPS). Result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TlMSS 1999 Video Study data show that the East Asian classrooms were dominated by teacher talk, and the mathematics content learned was abstract and unrelated to the real life.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practices in Hong Kong as judged by an expert panel are that student learned relatively advanced mathematics content; the components of the lessons were more coherent, and the presentation of the lessons was more fully developed. Hong Kong students seemed to be more engaged in the mathematics lessons, and the. overall quality of the lessons was judged to be high.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LPS data also show that the classrooms in the East Asian city of Seoul were in general teacher dominated, but students were usually actively engaged in the mathematics learning. Emphasis on exploration of mathematics and practicing exercises with variation was common. It is argued that the quality teaching in the East Asian classrooms laid a firm foundation in mathematics for students, and that constitute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reativity. In order to fully develop the creativity of East Asian students, they need to be given the right environment and encourag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