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ssue Properties

검색결과 901건 처리시간 0.022초

Optimal Localization through DSA Distortion Correction for SRS

  • Shin, Dong-Hoon;Suh, Tae-Suk;Huh, Soon-Nyung;Son, Byung-Chul;Lee, Hyung-Koo;Choe, Bo-Young;Shinn, Kyung-Sub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1권1호
    • /
    • pp.39-47
    • /
    • 2000
  • 신경 외과적 수술의 한분야인 정위적 방사선 수술은 두 개강 내의 병변의 위치 계산 후, 고선량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병변을 치료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수술을 위해서는 병변의 정확한 위치 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SA(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영상이 내재적으로 이미지 왜곡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의 보정을 통하여 더욱 정확한 target 위치를 계산하였다 이미지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grid 팬텀을 제작하였고, localization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target 팬텀을 제작하였다. Image Intensifier의 앞쪽에 grid 팬텀을 부착하고, target 팬텀을 Leksell Frame에 고정시킨 후, DSA 영상을 얻었다. 본 실험을 위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terior and Posterior, Left and Right 영상에서 bilinear transform을 적용하여 왜곡을 보정한 후, target 위치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계산된 target 위치 좌표와 target 팬텀의 절대 좌표의 비교를 통하여 localization 오차가 계산되었다. 이번 실험의 결과는 왜곡을 보정하지 않은 경우, localization 오차는 $\pm$0.41mm, 왜곡 보정을 한 경우는 $\pm$0.34mm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 정밀도가 인정되며, 환자의 치료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Poly-glycolic Acid 배양판에서 인간 조골세포의 성장 (The Growth of Human Osteoblasts in Culture Dishes Made with Poly-glycolic Acid Containing Fetal Bovine Serum)

  • 최재원;김용하;문영미;김연정;최식영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5호
    • /
    • pp.612-615
    • /
    • 2006
  • Purpose: An ideal bony construct can be divided into two broad categories: (1)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biodegradable, biomimetic scaffolds that provide correct signals to induce osteogenesis: (2) the identification of an ideal source of osteoprogenitor cells to seed onto the scaffold. We selected poly-glycolic acid as a synthetic scaffold among various scaffolds because of these properties. Meanwhile, culture medium is supplemented with fetal bovine serum(FBS): such serum contains essential elements such as proteins, hormones, growth factors and trace minerals. The composition of FBS can be ideal for various cell growth in vitro. We supposed that we could enhance bone growth at a fractured site if FBS was mixed with synthetic scaffold-PGA. Methods: We cultured human osteoblasts in five different prepared culture dishes made with FBS and PGA mixture. The mixtures contained different ratio of FBS, that is, 0, 1.5, 3, 7, and 10%. We cultured human osteoblasts for seven days and examined the growth and attachment of the cells at the 1st, 3rd, 5th, 7th days, respectively. Results: In the mixture of 0% FBS and PGA, the growth of the cells lasted for one day. In 1.5 and 3% FBS and PGA, the growth of the cells was examined at the 3rd day, then minimally declined at the 5th and 7th days. In 7% FBS and PGA, the growth of the cells lasted for 5 days, then declined at the 7th day. In 10% FBS and PGA, the growth of the cells lasted for 5 days, then declined at the 7th day. Staining status of the osteoblasts with alkaline phosphatase showed pale pink color in 0% FBS and PGA groups, but bright pink color in 1.5, 3, 7, 10% FBS and PGA groups, especially in 3%, 7%. Conclusion: In consequence, the growth of human osteoblast was higher in the mixture of FBS and PGA groups than in pure PGA ones. It is assumed that the mixture of FBS and PGA affects the proliferation of human osteoblasts.

Oxomemazine의 Muscarinic Receptor Subtypes에 대한 결합성질 (Binding Profiles of Oxomemazine to the Muscarinic Receptor Subtypes)

  • 이신웅;김정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9-57
    • /
    • 1994
  • Oxomemazine이 muscarinic receptor subtypes에 대하여 선택성을 가지는지에 관한 지견을 얻고자, 대뇌, 심실 및 회장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oxomemazine의 결합성질을 조사, 비교하였다. $[^3H]QNB$ 포화결합실험 결과 세 조직의 muscarinic receptor는 $[^3H]QNB$에 대해서는 affinity가 약 60pM인 단일 receptor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대뇌에서 pirenzepine과 oxomemazine의 $[^3H]QNB$ 결합억제에 대한 Hill coefficient는 각각 0.67 및 0.8로서 대뇌에는 이들 약물에 대하여 affinity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muscarinic receptor subtypes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irenzepine에 대한 high $affinity(M_1)$$low affinity(M_2)$ receptor 및 oxomemazine에 대한 high $affinity(O_H)$$low\;affinity (O_L)$ receptor의 분포비는 약 60:40 및 40:60이었고, $M_1$$M_2$ receptor에 대한 pirenzepine의 $K_i$치는 16nM 및 431 nM, $O_H$$O_L$, receptor에 대한 oxomemazine 의 $K_i$치는 80nM 및 1350nM이었다. 그러나 심실과 회장에서 이들 약물의 $[^3H]QNB$ 결합억제에 대한 Hill coefficient는 1에 가까웠다. 심실과 회장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pirenzepine의 $K_i$치는 850nM 및 250nM, oxomemazine의 $K_i$치는 1460nM 및 670nM로서 대피에서 이들 약물의 low affinity receptor에 대한 $K_i$치에 가까웠다. 즉,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affinity면에서 oxomemazine은 pirenzepine과 같이 대뇌에서 가장 높았으며, 회장에 대해서는 중등도였고, 심실에서 가장 낮았다. 이로 보아 oxomemazine은 $M_1\;receptor$에 선택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질산희토비료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stnasite Nitrate Fertilizer o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 김영선;함선규;전성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9-93
    • /
    • 2011
  • 본 연구는 질산희토비료의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비료의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복합비료 만을 시비한 대조구(CF), 질산희토비료의 처리량에 따라 $0.3{\cdot}g{\cdot}m^{-2}$, 0.5 $g{\cdot}m^{-2}$, 1.0 $g{\cdot}m^{-2}$을 각각 처리한 처리구1(RE-1), 처리구2(RE-2), 처리구3(RE-3)이었고, 질산희토비료만을 처리한 처리구4(RE-4)였고, 각 처리구는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고, 엽색지수 및 엽록소지수와 같은 잔디품질, 잔디밀도, 건물중 및 잔디양분함유량을 조사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질산희토비료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질산희토비료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를 조사한 결과, 질산희토비료의 시비 에 따라 비슷하거나 약간 증가하였고, RE-2의 처리가 가장 좋은 잔디품질을 나타내었다. 잔디밀도 조사 결과, 질산희토비료의 시비에 단일시비에 의해 9%증가하였고, 관행시비에 첨가하여 시비할 경우 RE-2에서 22%증가하였으며, 잔디 건물중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잔디 성분 중 질소함량이 질산희토비료를 처리한 잔디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질산희토비료는 크리핑벤트그래스에서 질소흡수가 촉진되고, 잔디밀도를 향상되어 잔디품질을 향상시키는 가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량 SCB 저농도액비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veloped SCB Liquid Fertilizer o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 함선규;김영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0-105
    • /
    • 2011
  • 본 연구는 SCB 저농도액비애 질소, 인산, 칼리 성분을 첨가한 개량SCB액비(DSCB)의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를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대조구(CF), 100DSCB(250 $ml{\cdot}m^{-2}$ DSCB), 80DSCB (200 $ml{\cdot}m^{-2}$ DSCB) 및 화학비료+SCB(CF+SCB)로 설정하여 처리한 후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잔디밀도 및 잔디의 양분함유량을 조사하여 생육을 평가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 분석결과, 처리구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DSCB와 SCB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마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 지수를 조사한 결과, DSCB와 CF+SCB처리구는 NF보다 각각 2~3%와 14~19% 증가하였고, CF와는 비슷하였다. 잔디밀도 조사결과 DSCB처리구는 CF와 비슷하였고, CF+SCB는 CF보다 약 19% 증가하였다. CF와 비교할 때, 잔디생육량은 DSCB와 SCB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잔디에 함유된 양분은 CF+SCB에서는 질소가, 80DSCB에서는 인이 높게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를 볼때 DSCB와 SCB의 처리는 크리핑벤트그래스에서 양분흡수와 잔디밀도가 증가하여 잔디 품질을 향상시키는 가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Vermicomposting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Treatment of Food Wastes by Vermicomposting)

  • 이주삼;김만중;김남천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3호
    • /
    • pp.51-62
    • /
    • 2005
  • 본 실험은 음식물 쓰레기와 다른 유기성 자원의 혼합처리가 지렁이(Eisenia foetida)의 생육과 분변토 생산량, 분변토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지렁이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음식물 쓰레기 100%, 음식물 쓰레기와 우분, 돈분 슬러지, 톱밥발효 돈분, 인분 슬러지, 하수 슬러지를 각각 50:50으로 혼합 처리하였을 때, 음식물쓰레기 100% 처리구에서는 지렁이가 생존하지 못하여 지렁이에 의한 퇴비화가 불가능하였다. 지렁이에 의한 퇴비화 과정에서 최종산물로 생산되는 분변토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효인산 함량, 양분 보전능(CEC), 친환성 칼륨 및 마그네슘이 함량이 식물체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요구량 이상 함유되었다. 분변토 생산량은 음식물 쓰레기와 톱밥발효 돈분의 혼합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고, 분변토 비율은 음식물 쓰레기와 우분의 혼합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지렁이 체 조직으로의 유기물 전환율과 전환효율은 음식물 쓰레기와 우분, 음식물 쓰레기와 톱밥발효 돈분 처리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어, 음식물 쓰레기와 가축 분을 혼합 처리하는 것이 지렁이에 의한 퇴비화에 가장 알맞은 먹이조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Changes in the Endothelin-1-induced Contraction of Aort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Cheong, Hyun-Joo;Kim, Eun-Jin;Kim, Su-Jin;Lee, Sun-Hee;Rhim, Byung-Y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4권3호
    • /
    • pp.185-195
    • /
    • 2000
  • Vascular diseases are significant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DM), and the endothelial cells may play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vascular disease in DM. Endothelin-1 (ET-1) released from endothelium is a potent vasoconstrictor peptide and circulating level of ET-1 is increased in a variety of disease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of responsiveness to ET-1 in DM, and we experimented on the changes in the ET-1-induced contraction, levels of nitrite and lipid peroxidation, and ET-1 immunoreactivity in aorta from streptozotocin-induced DM rats. DM was induced by single injection of streptozotocin (55 mg/kg, i.p.). The immunoreactive ET-1 levels in endothelial layer of thoracic aorta were much higher in DM rats than control rats. Nitrite in tissue homogenate was decreased and plasma nitrite was increased in DM rats. Malondialdehyde (MD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M rats and cGM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DM rats. ET-1 produced concentration- dependent contractile responses that are significantly attenuated in DM rats compared to controls. In the presence of selective $ET_A$ receptor antagonist BQ610, the maximum contraction was decreased and the concentration ratios for BQ610 yielded $pA_2$ values of 7.3 (slope, 0.65) in control rats, whereas BQ610 had no antagonistic effect on ET-1-induced contraction in DM rats. However, pretreatment with BQ788, an $ET_B$ receptor antagonist, maximum response was decreased and the dose-response curves for ET-1 were shifted to the right in both groups and $pA_2$ values were 7.9 and 7.7 (slope, 1.05 in control and DM rats), respectively. IRL 1620 and sarafotoxin S6c, $ET_B$ agonists, induced relaxation in control rats but not in DM ra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ndothelial cell dysfunction and enhanced immunoreactivity of ET-1 have been found in DM rat and ET-1-induced contraction was attenuated in DM rat. These attenuated responses might be at least in part caused by the alteration of $ET_A$ receptor properties (e.g. desensitization), and partly related with an alteration in intracellular mechanism for contraction to ET-1.

  • PDF

히알루론산을 함유한 PLGA 지지체의 제조 및 특성결정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aluronic Acid Loaded PLGA Scaffold by Emulsion Freeze-Drying Method)

  • 고연경;김순희;정재수;박정수;임지예;김문석;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31권6호
    • /
    • pp.505-511
    • /
    • 2007
  • 조직의 재생을 위한 지지체재료의 개발은 조직공학 분야의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히알루론산은 조직을 수복하기 위한 체내이식용 구조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연고분자이며, 이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히알루론산을 함유한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PLGA) 다공성 지지체를 유화동결 건조법으로 제조하였다. HA-PLGA 지지체는 수은다공도계, 전자현미경 및 물흡수성을 측정하여 특성을 결정하였다. 제조된 HA-PLGA 지지체의 다공도는 약 96.5%, 전체다공면적은 $261\;m^2/g$ 이였으며, 세포가 성장하기에 적합한 환경인 다공사이의 상호 연결이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해 관찰되었다. 또한 세포의 생존율과 성장률은 MTT(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사이토카인 및 수용성 약물의 방출경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과립구-대식세포 집락자극인자(GM-CSF)를 지지체에 담지시킨 후 효소결합 면혁 흡착검사(ELISA)를 이용하여 이들의 방출경향을 확인하였다. 천연/합성 하이브리드 담체로서의 HA/PLGA 담체가 PLGA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볼 때 세포의 증식이 우수하였고, 이는 히알루론산의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수분 보유능력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부식산 액상비료 시비에 의한 크리핑 벤트그래스 지하부 생육증가와 품질향상 (Application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Humate Improving Rhizosphere Activation and Favoring Turfgrass Quality)

  • 김영선;이태순;조성현;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1호
    • /
    • pp.62-71
    • /
    • 2018
  • 본 연구는 부식산 함유 액비(LFH)의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잔디의 가시적 품질, 엽록소 함량, 예지물량, T/R ratio, 양분 함량 및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CF), LFH 1,000배 처리구(HF-1), LFH 500배 처리구(HF-2) 및 LFH 250배 처리구(HF-3)로 구분되었다. LFH 처리 전후에 토양화학성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FH처리구와 대조구를 비교하였을 때, 가시적 품질과 뿌리 생육량은 LFH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엽록소 함량, 잔디 예지물, 질소 흡수량은 HF-2처리구와 HF-3처리구에서 각각 11.2-11.8%, 15.3-30.8%, 22-42%씩 증가하였다. LFH처리량에 따라 가시적 품질, 엽록소 함량, 잔디 예지물 및 양분 흡수량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부식산 함유 액비의 시비는 잔디의 잎 조직 중 잔디지하부의 생육이 증가하여 양분 흡수를 개선함으로써 잔디품질과 생육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유산균(Lactobacillus fermentum) 함유 미생물제제의 크리핑 벤트그래스 밀도개선 효과 (Microbial Fertilizer Containing Lactobacillus fermentum Improved Creeping Bentgrass Density)

  • 조기웅;김영선;함선규;배은지;이재필;김두환;김우성;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322-332
    • /
    • 2017
  • 골프장 잔디 관리에서 미생물제제는 잔디의 생육 및 품질을 개선하고, 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유산균(Lactobacillus fermentum)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처리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구(NF), 대조구(CF), 미생물제제 처리구(MFcL: microbial fertilizer containing L. fermentum; MFL: CF+MFcL $1.0g\;m^{-2}$; 2MFL: CF+ MFcL $2.0g\;m^{-2}$) 및 미생물제제 단독 처리구(OMF; MFcL $1.0g\;m^2$)로 설정하였다. 시험 종료 후 토양 화학성은 처리구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MFcL의 처리가 토양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MFcL 처리 시 잔디의 시각적 품질, 잔디 예지물, 잔디 중 무기 성분 함량 및 흡수량은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잔디 밀도는 MFcL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약 20% 정도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처리는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밀도를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