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ML

검색결과 2,506건 처리시간 0.036초

상황버섯의 균사체로부터 다당류의 추출과 정제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Polysaccharides from Phellinus linteus Mycelia)

  • 최근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430-435
    • /
    • 2008
  •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로부터 얻어지는 다당류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투석시간(8, 16, 24, 48 h)을 포함하는 추출조건과 정제조건이 다당류의 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추출온도(50, 65, 80, $95^{\circ}C$)와 건조 균사체의 무게에 대한 물의 부피의 비(10, 15, 20, 25 ml/g), 추출시간(2, 4, 6, 8 h), 에탄올의 최종 농도(70, 75, 80, 85%) 그리고 묵힘시간(1, 4, 8, 16 h)이 증가할수록 다당류의 양은 증가하였다. 투석시간이 24 h까지 증가할수록 다당류의 양은 감소하였으나 그 이상의 투석시간은 다당류의 양을 거의 변화시키지 못했다. 침전용매로는 3가지 용매(에탄올, 메탄올, 아세톤)를 사용하였는데, 다당류의 양은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최적 추출조건은 추출온도가 $95^{\circ}C$이고, 건조 균사체의 무게에 대한 물의 부피의 비가 25 ml/g이며, 추출시간은 8 h인 조건이었다.

젖소 동결수정란의 비외과적 이식시 수란우의 혈장 progesterone, estradiol-17β치 및 혈청화학치가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Levels of plasma progesterone, estradiol-17β and several serum chemical components in recipients at the time of nonsurgical transfer of frozen/thawed bovine embryos)

  • 이병천;조충호;황우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89-599
    • /
    • 1989
  • A total of 13 synchronized dairy cattle(Holstein) were used to determine pregnancy rates in relation to plasma progesterone, estradiol-$17{\beta}$ levels and serum chemical values on the day of last $PGF_{2{\alpha}}$ injection and day of frozen/thawed bovine embryo transfer. The pregnancy rate of recipients with 1.0~4.0ng/ml of progesterone levels at the day of last $PGF_{2{\alpha}}$ inje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recipients with below 1.0ng/ml or above 4.0ng/ml of progesterone levels. On the day of transfer, optimal progesterone levels were between 1.0ng/ml and 4.0ng/ml coinciding with a pregnancy rate of 88.9%. Pregnancy rate decreased when progesterone levels were below 1.0ng/ml(33.3%) or above 4.0ng/ml(0%). Corpus luteum grade did not affect pregnancy rate and this result revealed that manual palpation of corpus luteum was not valid criterion of corpus luteum function. Progesterone levels as well as pregnancy rat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whether the corpus luteum was on the right($1.62{\pm}1.33ng/ml$; 63.5%) or left ovary($1.99{\pm}0.61ng/ml$; 85.0%). Estradiol-$17{\beta}$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gnant and nonpregnant recipients, but estradiol-$17{\beta}$ levels($82.2{\pm}13.5$ VS. $72.3{\pm}10.1pg/ml$) were higher at below 1.0ng/ml of progesterone, and pregnancy rates(33.3 VS. 80%) tended to be lower than above 1.0ng/ml of progesterone. Total cholesterol levels on the day of last $PGF_{2{\alpha}}$ injection and day of transfer did not affect pregnancy rate. Calcium and inorganic phoshorus levels belonged to normal range in most of the recipients. These range did not affect pregnancy rate. In reviewing above results, plasma progesterone levels(1.0~4.0ng/ml) at the time of transfer are diagnostic value for screening recipients prior to transfer of frozen/thawed bovine embryos.

  • PDF

수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모유 중 무기질 함량 변화 (On the Chance of Mineral Content in Human Milk)

  • 전예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4-89
    • /
    • 1992
  • Concentrations of major minerals(Ca, p, Na, K, Mg) and trace elements (Fe, Zn) were measured in human milk samples collected from 19 selected, healthy lactating women at 2~5 days, and at 4, 8 and 12 weeks postpartum. Decreases in the contents of m) or minerals and trace elements were found with the increase of time postpartum. Mean Ca contents of 2~5 days, 4 week, 8 week and 12 week in human milk were 243.02$\pm$50.90ug/ml, 295.0$\pm$65.70ug/ml, 295.0$\pm$41.50ug/ml, 349.90$\pm$83.50ug/ml, respectively And mean P contents of 2~5 days, 4 week, 8 week and 12 week in human milk were 134.70$\pm$49.4ug/ml, 134.90$\pm$19.70ug/ml, 117.60$\pm$18.90ug/ml, 130.60$\pm$28.20ug/ml, respectively. Ca/P of them were 1.81, 2.19, 2.20, 2.68, respectively. Mean Mg contents of them were 22.30$\pm$5.60ug/ml, 25.70$\pm$3.70ug/ml, 25.10$\pm$3.60ug/ml, 32.10$\pm$4.50ug/ml, respectively. And mean Na contents of them were 171.20$\pm$90.50ug/ml, 158.70$\pm$47.00ug/ml, 104.50$\pm$24.70ug/ml, 115.90$\pm$12.50ug/ml, respectively. Mean K contents of them were 506.10$\pm$156.10ug/ml, 520.90$\pm$55.00ug/ml, 370.10$\pm$29.00ug/ml, 468.40$\pm$75.70ug/ml, respectively. Na/K of them were 0.34, 0.30, 0.28, 0.25, respectively. Mean Fe contents of them were 2.80$\pm$1.80ug/ml, 2.70$\pm$0.40ug/ml, 2.60$\pm$0.40ug/ml, 2.10$\pm$0.10ug/ml, respectively. And mean Zn contents of them were 3.70$\pm$1.60ug/ml, 2.78$\pm$9.70ug/ml, 2.70$\pm$0.70ug/ml, 2.30$\pm$0.20ug/ml, respectively, These determinations will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variability of major minerals and trace elements as lactation proceeds and on the composition of components between term and preterm milk.

  • PDF

식혜제조 조건이 식혜밥알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khye Manufacturing Conditions on the Rice Shape)

  • 김수권;김중만;최용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00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centration of malt extract in Sikhye manufacture on saccharification time, shapes of saccharified rice(the cooked rice) and sensory evaluation score of Sikhy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malt extract to reduce saccharification time and to keep desirable shapes of saccharified rice was 4 times (rice 24g, malt 28g and D.W. 240ml) as suitable as base composition formula(rice 6g, malt 7g and D.W. 240ml). The shapes of saccharified rice were influenced by the concentration of malt extract, the saccharification time and the shapes of steamed rice before saccharification. A good taste(softness) of Sikhye rice and the desirable shapes of saccharified rice were more suitable in the case of a small amount of unsaccharified starch than in the case of finishing saccharification. The optimum saccharification time to keep the desirable shapes of saccharified rice was 240min and also was desirable between 210 and 270min. To keep a good taste(softness) and the desirable shapes of saccharified rice,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it is desirable to in mass production of Sikhye add 3 times more water after making Sikhye in the ratio of rice 24g, malt 28g and water 240ml. In this case the whole amount will become 4 times as much as the original one.

  • PDF

치과 임상실습에서의 장갑의 미생물 오염 차단 효과 (Effectiveness of Glove for the Preven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the Dental Clinical Practice)

  • 정선주;김정인;김지연;반세희;엄지영;정문진;임도선;정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37-545
    • /
    • 2014
  • 치과 임상실습에서의 손의 수세와 장갑착용의 미생물 차단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세하지 않고 장갑을 착용하는 경우, 비누와 데톨로 수세한 후 장갑을 착용한 경우로 구분하여 손과 장갑의 일반 세균 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세하지 않고 장갑을 착용한 손과 장갑에서는 $9.938{\time}10^3CFU/ml$, 비누로 수세한 후 장갑을 착용한 손과 장갑에서는 $9.44{\time}10^3CFU/ml$, 데톨로 수세한 후 장갑을 착용한 손과 장갑에서는 $6.58{\time}10^2CFU/ml$의 일반 세균이 검출되었다. 비수세의 경우 가장 많은 수의 일반 세균이, 비누로 수세한 경우에는 비수세와 유사한 일반 세균 수가 검출되었으나 데톨로 수세한 경우의 일반 세균 수는 급격히 감소하여 비누로 수세하는 것은 병원성 미생물 차단에 효과적이지 않지만 데톨로 수세하는 것은 일반 세균 수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세하지 않고 장갑을 착용한 경우와 수세한 후 장갑을 착용한 모든 경우에서 일반 세균 수가 감소하여 장갑의 미생물 차단 효과가 명확하게 보여졌다. 비누와 데톨로 수세 후 장갑을 착용한 경우 일반 세균 수는 장갑 착용 3시간이 경과하여도 변화가 적었지만 수세하지 않고 장갑 착용한 경우 처음 장갑을 착용한 3시간 이후부터 일반 세균의 수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적어도 장갑 착용 3시간 이후부터는 같은 환자의 시술 중이라도 새로운 장갑으로 교체를 하는 것이 미생물 감염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홍삼 물 추출액의 사포닌 함량 및 맛의 증진을 위한 추출 조건 (Extracting Conditions for Promoting Ginsenoside Contents and Taste of Red Ginseng Water Extract)

  • 이상국;한진수;박용준;강선주;김정선;남기열;이기택;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7-293
    • /
    • 2009
  • 본 연구는 홍삼 추출기를 이용하여 기능별 사포닌의 함량 및 품질의 최적화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홍삼 추출액의 총 사포닌 함량은 $75^{\circ}C$에서 18시간 추출한 용액이 64.6 mg / 100 ml로 최고 함량을 나타냈고 추출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Rb_2$와 Re 함량은 $75^{\circ}C$에서는 12시간 추출한 홍삼액이 11.8 mg / 100 ml로 가장 많았고 추출시간과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하였다. Prosapogenin 함량은 $85^{\circ}C$에서 24시간 추출한 홍삼액이 34.9 mg / 100 ml로 가장 많았고, $75^{\circ}C$$85^{\circ}C$에서는 추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95^{\circ}C$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홍삼 추출액의 총 당은 $95^{\circ}C$에서 추출시간을 길게 할수록 함량이 증가하였고, 당도는 $95^{\circ}C$에서 24시간 추출한 용액이 4.0%로 가장 높았다. 탁도는 $95^{\circ}C$에서 추출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pH 및 Hue 값은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졌다. 따라서 홍삼추출액을 제조할 때 1차 추출에서는 온도를 낮게하여 사포닌의 함량을 높이고, 2차 추출에서는 온도를 높게하여 맛을 증진시켜 혼합하는 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경막외 Lidocaine의 최대사용량과 혈중농도에 대한 고찰 (The Plasma Concentrations and Systemic Toxicity of Lidocaine after Maximal or Supramaximal Recommended Doses of Epidural Administration)

  • 박한석;정찬종;진영준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2권1호
    • /
    • pp.36-42
    • /
    • 1999
  • Background: The current maximal recommended doses of lidocaine are 7 mg/kg with $5\;{\mu}g/ml$ of epinephrine. But in clinical practice, sometimes more doses of lidocaine are required to produce adequate regional anesthesia. Method: Twenty-two healthy women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pretreated with valium 5 mg p.o., morphine 5 mg i.m., and midazolam 2 mg i.v. before operation. Of these, 7 mg/kg of 2% lidocaine with $5\;{\mu}g/ml$ of epinephrine were given to 11 patients epidurally. Initial 3 ml of epinephrine mixed lidocaine was given as a test dose and remaining doses were given 5 ml/30 sec with 3 min intervals. Radial arterial blood were drawn at 5, 10, 15, 20, 30, 45, 60, 90, 120 min to measure plasma lidocaine concentrations. After confirming all of the peak plasma concentrations of 7 mg/kg lidocaine were absolutely under $5\;{\mu}g/ml$, the other 11 patients were given 10 mg/kg of 2% lidocaine with $5\;{\mu}g/ml$ of epinephrine epidurally and blood samplings were taken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of 7 mg/kg group. The peak plasma concentration ($C_{max}$), time to reach to $C_{max}$ ($T_{max}$), time to reach to $T_4$, maximal sensory block level, systemic toxicity, and vital sign changes were investigated. Result: $C_{ma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10 mg/kg group ($5.1{\pm}1.3\;{\mu}g/ml$) than 7 mg/kg group($3.3{\pm}0.5\;{\mu}g/ml$), but $T_{max}$ ($10.5{\pm}2.7$ min vs $10.9{\pm}3.1$ min) was not different. Time to reach $T_4$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10 mg/kg group ($9.5{\pm}2.7$ min) than 7 mg/kg group ($12.7{\pm}3.2$ min) but maximal sensory block level ($T_{3.7{\pm}0.7}$ vs $T_{2.7{\pm}1.0}$) was not different. In four patients of 10 mg/kg group, peak plasma concentrations exceeded $5\;{\mu}g/ml$, but no systemic toxicities appeared. No significant vital sign changes were observed. Conclusion: The current maximal recommended doses of lidocaine, merely based on body weight are not always appropriat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more precise guideline of maximal doses that include various pharmacokinetic components.

  • PDF

SyncML 서버 응용 개발을 위한 통합 개발 환경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for SyncML Server Applications)

  • 이지연;최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1호
    • /
    • pp.37-48
    • /
    • 2004
  •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SyncML은 현재 주소록, 일정 관리와 같은 다양한 응용 서비스 타입에 대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서버간 동기화를 지원한다. 비록 표준 프로토콜은 제정되었지만, SyncML 응용 서비스 개발자들은 자 응용 서비스의 구체적인 로직을 구현하기 위해서 많은 개발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yncML 서버 개발자들이 응용 서비스를 신속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SDE(Service Development Environment)라는 통합 개발 환경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SDE는 Sync Library와 SEG(Sync Engine Generator) 툴로 구성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의 실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SDE를 이용하여 SyncML 서버를 구현하였으며, 여러 가지 동기화 시험과 성능평가론 수행하였다. 본 연구가 SyncML 개발자들이 모바일 응용 서버를 개발하거나 응용 서비스를 추가하는데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완수하도록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From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Superior Customer Experience: Business Implications of Machine Learning-Driven Data Analytic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 Egor Cherenkov;Vlad Benga;Minwoo Lee;Neil Nandwani;Kenan Raguin;Marie Clementine Sueur;Guohao Sun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제4권2호
    • /
    • pp.5-14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machine learning (ML) and ML-driven data analytic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It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is emerging method, from explaining ML's origins to introducing the evolution of ML-driven data analytic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The present study emphasizes the shift embodied in ML, moving from explicit programming towards a self-learning, adaptive approach refined over time through big data. Meanwhile, social media analytics has progressed from simplistic metrics deriving nuanced qualitative insights into consumer behavior as an industry-specific example. Additionally, this study explores innovative applications of these innovative technologies in the hospitality sector, whether in demand forecasting, personalized marketing, predictive maintenance, etc. The study also emphasizes the integration of ML and social media analytics, discussing the implications like enhanced customer personalization, real-time decision-making capabilities, optimized marketing campaigns, and improved fraud detection. In conclusion, ML-driven hospitality data analytics have become indispensable in the strategic and operation machinery of contemporary hospitality businesses. It projects these technologies' continued significance in propelling data-centric advancements across the industry.

고추의 소포자 배양 시 전처리 후 배지의 교환, 배지의 첨가 및 2층배양 시 하층고체 배지의 양이 배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dium change after pretreating microspores, medium addition, and volume of under solid medium in double layer culture on the production of embryos in isolated microspore culture of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 박은준;이종숙;안동주;김문자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494-50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소포자 배양 시 전처리 후 배지의 교환 여부, 배양 후 새 배지의 첨가 및 2층배지 사용시 하층고체배지의 양이 배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온 전처리 후 배양배지를 첨가하여 배양하는 것보다 사용한 전처리 배지를 새 배양 배지로 교환하여 배양 하는 것이 배의 생산에 효과적 이었으며, 고온전처리 기간은 1일이나 2일에 비해 3일이 효과적 이었다. 배양 후 새 배지의 첨가는 약전처리 시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소포자 전처리 시에는 배의 유기와 발달 모두 크게 향상되었다. 새 배지의 첨가 시기는 배양 4일 후가, 첨가 횟수는 1회가 배의 생산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편 2층배지 사용 시 첨가하는 새 배지의 양은 1.5 ml이 효과적이었으며 이보다 많은 양을 첨가하는 경우 배의 발생과 발달 모두 저하되었다. 액체배지 사용 시에 비해 2층배지 사용 시 배의 발달이 좋았다. 또 2층배지 사용 시 하층고체배지의 양이 3 ml 일 때 보다는 5 ml이나 7 ml일 때 배의 발생은 감소하였으나 배의 질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고추에서 다수의 정상자엽배를 생산 할 수 있는 소포자 배양시스템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