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lers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3초

로우터리 경운(耕耘)의 부하특성(負荷特性) 및 소요동력(所要動力)에 관(関)한 연구(硏究) (Tilling Load Characteristics and Power Requirement for Rotary Tillers)

  • 최규홍;류관희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9권2호
    • /
    • pp.27-36
    • /
    • 198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illing depth, tilling travel speed and soil shear stress on the tilling load characteristics and power requirement for rotary tiller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and maximum PTO torque increased as the tilling depth, tilling pitch and soil shear stress increase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 to estimate the average PTO torque in terms of the above parameters was developed. 2. The ratios of maximum PTO torque to the average torque were in the range of 1.17 to 1.65 for the various tilling conditions tested. The variation in PTO torque increased greatly as the tilling pitch and soil shear stress increased, but decreased as the tilling depth increased. 3. Power requirement for the PTO shaft increased with the tilling depth, travel speed and soil shear stress, but decreased slightly as the tilling pitch increase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 to estimate power requirement for the PTO shaft in terms of the above parameters was developed. 4. The specific power requirement for the rotary tiller was in the range of $0.008-0.015ps/cm^2$ for the various tilling conditons tested. The specific tilling capacity decreased as the tilling depth and soil shear stress increased, but increased with the tilling pitch.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 to estimate the specific tilling capacity in terms of the above parameters was developed.

  • PDF

도로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배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ed Mixtures for Slope Revegetation of the Road)

  • 이재필;김남춘;홍성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3-123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appropriate rates of seed mixture of both native and foreign plants in order for stabilization of early afforestation and proper vegetation on road slop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 After seeding, 2 weeks for both Lespedeza bicolor and Lespedeza cuneata, and 4 weeks for both Arundinella hirta and Zoysia japonica were needed for vigorous germination, and 1-4 wee17s for 3 cool-season grasses were spent for gradual germination. 2. Plant height :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Lespedeza cuneata and Lespedeza bicolor in plant height by 7 treatments. As mixture rates of cool-season grasses were lowered, plant height of Arundinella hirta became longer. Descending order of co81-season grasses for plant height was Tall fescue, Perennial ryegrass and Creeping redfescue. 3. Number of tillers : The number of tillers tended to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plots where competition was low. 4 Ground cover rate : Ground cover rate was the highest in Mixture IV (96.7%) and was fluctuated from 13.3% on Sept. 13 to 45% on Nev. 3 in Mixture III. Descending order of gronud cover rates in 7 treaments was Mixture IV, Mixture III. Mixture II, Mixture Ⅶ, Mixture V, Mixture Ⅵ, Mixture I, and Mixtur III when measured on Oct. 13 5. Visual assessment: High preferences were observed on Mixture IV and Ⅶ In sun the best seed mixtures were Mixture IV and Ⅶ. It meant that (1) either mixture of 70% the native plants with 30% cool-season graaes or (2) mixture of 80% the native plants with 20% cool-season glasses was best for this study.

  • PDF

벼 수량성 증가를 위한 이상적인 소얼성 초형 (A Low Tillering Ideotype of Rice Plant for Increasing Grain Yield Potential)

  • 김제규;비 에스 벨가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4-142
    • /
    • 1991
  • 본 시험은 벼의 잠재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상형 초형을 제시할 목적으로 벼 소얼성과 다얼성 품종을 이용하여 분얼의 위치와 이삭의 크기 사이의 관계를 구명하고 수량을 증가시킬수 있는 초형으로서 알맞은 분얼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국제미작연구소 (IRRI)에서 1987년에 실시하였다. 공시품종은 소얼ㆍ수중형인 IR25588과 다얼ㆍ수수형인 IR58을 이용하였는데 이들은 분얼능력과 이삭의 크기는 현저히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특성들은 비슷하였다. 1 수당영화수와 수량을 기준으로 볼때, 소얼성인 IR25588과 다얼성인 IR58 모두 '상위6개의 분얼'은 다른 분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이삭이 무겁고 영화수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벼의 잠재수량을 현재보다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초형으로서 '분얼이 6개 또는 그 보다 적은 소얼성이고 수당영화수가 200~250개인 초형' 을 제시한다. 이러한 소얼ㆍ수중형품종은 밀식적응성이 높기 때문에 직파재배에서도 수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상위6개의 분얼'이 다른 분얼들에 비하여 높은 수량을 나타낼 것은 주로 수당영화수가 월등히 많았기 때문이며 천립중과 임실비율은 기여도가 적었다. 또한, '상위6개의 이삭'은 다른 이삭에 비하여 고밀도립(high-density grains)이 많았다. 3. '상위6개의 분얼'은 주간(M),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1차분얼(Pl, P2, 93, P4)과 두번째 1차분얼에서 나온 첫번째 2차분얼(S1P2)이었다 4. 소얼ㆍ다얼성 모두 '상위6개의 분얼'은 다른 분얼에 비하여 엽면적이 크고, 간중과 총분얼중이 무거웠는데, 이는 많은 sink(수당영화수)를 채울 수 있는 Source로서 광합성 작용과 동화물질의 축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5. '상위6개의 분얼'은 다른 분얼보다 일씩 발생되어 생육기간이 길며, 분얼 발생빈도가 100%로서 모두 유효분얼이 되었다. 또한, 벼 1포기가 모두 출수하는데 l1~12일이 소요되었으나, 소얼ㆍ다얼성 모두 '상위6개의 분얼'은 출수기가 빨랐으며, 이들은 3일 내에 모두 출수되어 짧은 기간 내에 균일한 출수와 등숙이 이루어짐으로서 미질 향상에 유리할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종자생산에 관한 연구. 제1보. 파종기와 파종량이 종자에 미치는 영향 (Seed Production Studies in Italian Ryegrass ( Lolium multiflorum Lam. Itailcum ) I. Effect of seeding time and seed rates of Italian ryegrass, cv. Tetrone on seed production)

  • 박병훈;이남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26-234
    • /
    • 1984
  • Italian ryegrass의 종자생산(種子生産)을 위한 파종적기(播種適期)와 파종적량(播種適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4배체품종인 Tetrone을 공시(供試)하여 $'83.\;8.\;20.{\sim}9.\;25.$까지 10일간격(日間隔)으로 5개(個) 파종기(播種期)와 $1{\sim}4kg/10a$의 4개(個) 수준(水準)의 파종량(播種量)으로 분할구(分割區) 배치(配置) 3 반복(反覆) 시험(試驗)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1. 월동전(越冬前)에 형성(形成)된 약자(藥子)를 동사면(凍死面)에서 볼때 완전동사(完全凍死), 기부(基部)는 생존(生存)하고 생장점(生長点) 동사(凍死),그리고 생장점(生長点)도 동사(凍死)하지 않은 것 3군(群)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다. 2. 9월(月) 9 일이전(日以前) 파종(播種)은 월동전(越冬前) 생육량(生育量)이 과다(果多)하여 추위에 약(弱)하였고 분약시원체가 엽초내에 생존(生存)해 있어도 모체의 고엽량(枯葉量)이 많아 봄에 출현(出現)이 늦고 따라서 출수(出穗)가 늦으며 간장(稈長)도 짧고 종자수량(種子收量)도 저조(低調)하였다. 3. 생육(生育)이 중용(中庸)인 것 중에서 생장점(生長点)은 동해(凍害)를 받았으나 하부(下部)가 생존(生存)해 있고 동해(凍害)를 받지 않은 것에서는 하부절(下部節)의 분약시원체가 발육(發育), 일찍 출현(出現)하여 이것들의 대부분(大部分)이 유효경이 되었다. 4. 간장(稈長)과 수장(穗長) 그리고 이삭의 숙기(熟期)는 파종기(播種期), 파종량(播種量)의 영향(影響)보다도 약자출현기(藥子出現期)의 영향(影響)이 더컸다. 5. 종자수량(種子收量) 구성요인(構成要因)중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이삭수가 수량(收量)에 제일 크게 영향(影響)을 미쳤다. 6. 월동(越冬)을 잘시켜 종자(種子) 생산년도(生産年度)에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충분(充分)한 이삭수를 확보(確保)하여 수량(收量)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원지방(水原地方)에 파종적기(播種適期)는 9월(月) 하순(下旬)이었고 파종량(播種量)은 10a당(當) 2-3 kg였다. 특(特)히 파종적기내(播種適期內)에서 일찍 파종(播種)할 때는 2kg/10a 늦게 파종(播種)할 때는 3kg/10a가 좋았다.

  • PDF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친환경 벼 생산체계에 관한 연구 -EM 등 친환경농자재 처리수준이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Environment-friendly Rice Production System by Use of Effective Microorganism)

  • 윤성탁;박상헌;김영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7-218
    • /
    • 2007
  • 웰빙시대의 도래와 함께 안전농산물에 대한 국민요구가 커져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친환경 쌀 생산체계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유효미생물제제인 Amo, 발효자재인 Amo-bokasi 등 몇 가지 친환경농자재를 이용하여 친환경 벼 생산체계를 수립코자 수행한 연구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 분얼수는 유효미생물처리 2, 3수준이 각각 48.8, 47.3개로 많았으며, 관행구가 41.0개로 가장 적었다. 2. 수잉기의 엽면적은 유효미생물처리구의 3수준이 $3228.5cm^2$로 가장 많았으며, 관행구는 $2264.7cm^2$로 가장 엽면적이 큰 처리구 3수준에 비하여 70.2% 이었다. 3. 유효분얼수는 관행구가 63.7%로 가장 높았으며, 친환경농자재가 가장 많이 처리된 처리 3수준구가 55.4%로 가장 적었다. 4. 주당수수는 처리구의 3수준구가 20.9개로 가장 많았으며, 관행구가 19.3개로 가장 적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당립수는 처리구의 2수준구가 85.2로 가장 많았으며, 관행구가 81.9개로 가장 적어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처리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5. 등숙율은 관행구가 85.0%로 가장 높았으며, 처리의 3수준구가 81.8%로 가장 낮았으며, 처리간에는 대차 없었다. 1000립중도 마찬가지로 관행구가 21.7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처리구가 전반적으로 약 1g 정도 낮은 경향을 보였다. 6. 10a당 정조중은 처리구의 2수준구에서 654.3kg으로 가장 많았고, 처리구의 3수준구에서 636.1kg으로 가장 적었으며, 이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 PDF

홍적태지(洪積台地)에 발달(發達)된 중점질(重粘質) 토양(土壤)(화동통(華東統))에 대(對)한 인산(燐酸) 규산(珪酸) 및 유기물(有機物)의 시용효과(施用效果) (Responses of phosphorus, silicate crgaric matter to rice in heavy clay textured paddy soil (Whadong Series) developed on alluvial terrace)

  • 안상배;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5-243
    • /
    • 1978
  • 담수하(湛水下)에서 환원발달(還元發達)이 극(極)히 부진(不進)한 적황색계중점질토양(화동통)((赤黃色系重粘質土壤)(華東統))의 개량방법(改良方法)으로서 인산(燐酸), 규산(珪酸) 및 유기물(有機物)의 효과를 기대(期待)하였던바 1. 인산(燐酸)의 효과는 매우 컸으며 인산(燐酸) 56kg/10a의 시용(施用)으로 약(約) 20%의 증수(增收)를 가져왔다. 2. 인산(燐酸)에 의(依)한 증수(增收)는 주(主)로 분벽수(分蘗數) 증가(增加)에 기인(起因)되었다. 인산(燐酸)에 대(對)한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에서 주당경수(株當莖數)의 최고증가(最高增加)는 통일(統一) 3.6경(莖), 진흥(振興) 1.9경(莖)이었으나 등숙률(登熟率)은 반대(反對)로 통일(統一)에서 4% 감소(減少)되었고 진흥(振興)에서는 3% 증가(增加)되었다. 3.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와 출수기(出穗期)의 식물체중(植物體中) $P_2O_5$ 함량(含量)과 수량간(收量間)에는 1% 수준(水準)에서 높은 백관관계(栢關關係)가 있었으나, 출수기(出穗期)의 $P_2O_5$ 함량(含量)과 수량간(收量間)에는 유의적상관(有意的相關)이 없었다. 최고수량(最高收量)을 얻을 수 있는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의 인산함유률(燐酸含有率)은 0.8%이었다. 4. 규산(珪酸)의 효과는 통일(統一)에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진흥(振興)에서는 컸고 퇴비(堆肥) 및 왕겨의 시용효과도 진흥(振興)에서만이 현저하였다. 5. 규산(珪酸) 및 석회(石灰)의 시용(施用)은 경엽중(莖葉中)의 질소함유률(窒素含有率)을 저하(低下)시켰으며 특(特)히 통일(統一)에서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이로 볼 때 이들 효과의 발현(發現)을 위(爲)하여는 특(特)히 통일(統一)의 경우 질소(窒素)의 증시(增施)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 PDF

논벼의 생육시기별 간단단수처리와 수확량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Relations Between Intermittent Suspension Treatments of irrigation at Different Growing Stages and yields of Paddy Rice)

  • 이기춘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795-3814
    • /
    • 1975
  • The purpoes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effect of the variation of the beginning date of the suspension of irrigation and the length of intermittent suspension period of irrigation in the paddy field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so as the provide a critical limit of saving irrigation water and an irrigation method to prevent drough damage in rice cultivation. In this experiment, the rice variety adopted was NONGRIM No.29. There were seven main test plot, each test plot having a different beginning date of the suspension of irrigation. A main test plot was susdivided into five small test plots, each having a different length of the suspension period of irriga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tillers is controlled by the treatment of the suspension of irrigation, its beginning date being early of late. The reductive effects of beginning dates of suspension upon the number of tillers. investigated on July 30, are about 84% for the treatment suspended on July 8, 87% on July 12, and 92% on July 19,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plot. However. the suspenion treatments after the foregoing dates does not affect the control of their numbers. On the other hand, the lengths of intermittent suspension periods influence highly on the number of tillers to be restrained considerably, the decrease ratio ranging from 91% to 80% Both treatments on dates and periods are so intermingled that the restraining effects of suspension periods become greater as the dates of its beginning are earlier. 2. The elongation of plant hieghts also restrained considerably by the longer periods and earlier dates of suspension treatments of irrigation. Especially, the effects of the lengths of suspension periods become more serious. 3. Heading dates are delayed by two to five days through the suspension treatments of irrigation. However, the heading stage ends almost on the same day without relation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rrigation suspension treatments. In the test plot where the suspension date of irrigation comes after the young panicle forming stage, the heading stage ends one or two days later than in the standard test plot. 4. Both culm lengths and panicle length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values, i.e., their lengths are shorter, as the begining dates of irrigation suspension are earlier and the suspension periods are longer. 5. The earlier the beginning date and the longer the period of irrigation suspension, the less is the number of panicles per hill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plot. 6. The earlier the beginning date and the longer the period of irrigation suspension, the higher i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kernels per panicle in comparison with that in the standard test plot, i.e., the less is the number of kernels per panicle. 7. The earlier the beginning date and the longer the period of irrigation suspension, the lighter are the weights of rough rice and straws per hill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standard plot.

  • PDF

Recent Development in Rice Seedling Raising in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ursling Seedlings"

  • Kiyochika, Hoshikaw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8-208
    • /
    • 1992
  • Recently, a nursery mat made from rock wool has realized transplanting of the younger seedlings with the ordinary transplanting machines for Chibyo and Chubyo(3 and 4~5 leaved seedling, respectively). The seedlings defined as the 'Nyubyo' or 'Nursling seedlings' became possible to achieve economic profits from the reduction in both working time and costs. It being widely noticed as a strategy to solve the difficulties in current rice cultivation. The nursling seedlings are 1.4 to 2.5 leaves and height at 4.5 to 7cm, grown 4 to 7 days after seeding. They maintain still up to 50 to 80% of their nutrients in the endosperm, and can grow by using only their own nutrien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ransplanting. Nursling seedlings take 2 days in the nursery chamber at 32$^{\circ}C$ after seeding, and 2 days in the greening house at $25^{\circ}C$. This is only 4 days, all together, to make the nursling seedlings of 1.5 leaves which are ready for transplanting. Watering is only needed once at the sowing time. It only takes 1 or 2 waterings even to raise a seedlings for a period of 7 days. The number of nursery boxes can be reduced because it is possible to sow more densely(220 to 240g per box), thus it only needs seedlings of 15 to 16 boxes per 10 a which leads to a reduction in facilities and space needed. Temperature during the nursery period can be artificially adjusted more precisely which may lead to the prevention of temperature stress. The nursling seedlings can root rapid by because the crown roots from the coleoptile node begin to emerge immediately after transplanting. They show strong resistance to low temperature (12$^{\circ}C$) and deep-planting. There is no danger in the rooting of the seedlings even if half of their height is buried into the soil. Moreover, it can root at a rate of up to 65 to 80% even if the full height of the seedlings is buried. They show also strong resistance to submergence (10~15cm). The nursling seedlings tend to grow by producing tillers from lower node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ontrol to keep the proper numbers of tillers per unit area. They have no fear in the delay of heading and their yield components can be so well balanced that the same level of yield was achieved with the nursling seedlings compared to that with Chibyo. It was further suggested that if the surplus tillers can be avoided by such cultivation practices, the number of grain per panicle can be kept greater and higher yield can be realized. Practical experiments with the nursling seedlings conducted in 1989 and 1990 by farmers in various areas showed exciting results. The nursling seedlings will become widely spread, or at least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Japanese and also in Korean rice cultivation techniques.tivation techniques.

  • PDF

보리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분얼의 양상과 수량 (Effective Tillering Pattern and Grain Yield on Different Sowing Method in Barley)

  • 신만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48-555
    • /
    • 1995
  • 보리의 재배양식을 협폭파, 드릴파, 휴립광산파의 3양식으로 하여 이들 재배양식별 유효분얼의 생태반응과 수량성에 대하여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아율은 드릴파 > 협폭파 > 휴립광산파의 순위였으나 m$^2$당 입모본수는 휴립광산파가 334본/m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협폭파, 드릴파의 순이었다. 2. 유효개화한 분얼은 3재배양식 모두 주간, 1차분얼의 1, 2 이고 2차분얼의 11은 휴립광산파에서만 유효경화하였다. 얼자별 유효경율은 주간은 3처리 모두 100%이나 1차분얼의 1과 2는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으로 많았다. 3. 평균1수 영화수는 드릴파가 39.5립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휴립광산파, 협폭파의 순이었고 얼자별로는 주간 > 1 > 2 > 11이었다. 1수 임실율은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으로 높았다. 4. 평균1수임실립수는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이었고 평균 1수 완성립수도 같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천립중은 재배양식 또는 분얼경간에 크게 차이가 없었다. 5. 1수당 자실량은 드릴파가 가장 무거웠고 다음으로 휴립광산파, 협폭파의 순이었으며 분얼시험의 m 당 자실량은 협폭파 679.8g에 비하여 드릴파 874.7g, 휴립광산파 794.3g로 각각 29%와 17%가 증수되었다. 6. 실제평예조사시험의 유효경율은 46.2~54.1%로, 드릴파재배구가 가장 높았고 협폭파재배구에서 가장 낮았다. 7. 평예조사자실중은 협폭파 567.6kg에 비하여 드릴파 31%, 휴립광산파 15%가 각각 증수하였다.

  • PDF

기온변리에 따른 다수성 품종 '다산벼'의 생육특성 분석 (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Air Temperature Variation in Dasanbyeo, a Indica/Japonica High Yielding Rice Cultivar)

  • 김덕수;신진철;류점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1-46
    • /
    • 2000
  • 본 시험은 다산벼를 공시하여 작물시험장 수도재배 포장에서 1998~1999년에 단위면적당 수수화보를 위하여 5월10일부터 10일 간격으로 6월 19일까지 5회 이앙을 하여 생육환경 변화에 따른 경수증가와 재식본수를 1, 3, 5본 및 7본으로 하였을 때 출수기의 변화를 구명하고 재배 기술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하여 몇 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한다. 1. 다산벼는 초기 생육기온이 높을수록 분얼에 유리하여 이앙 후 30일 경수가 5월 10일 이앙 9.7개 보다 6월 19일 이앙이 18.3개로 8.6개가 많았다. 2. 재식묘수에 따른 경수는 7묘까지 많을수록 많았으며, 수수는 분얼 경수가 많을수록 많은 경향이었다. 3. 출수기는 이앙기가 늦어질수록 6월 9일 까지는 출수일수가 단축되었으나 6월 19일 이앙은 늦어졌다. 주당묘수에 따른 변화는 y = 2.65$x^2$-31.36x+1957.5 ($R^2$=0.9795)관계로 변화하였다. 4. 경당 건물중은 평균기온의 변화에 따라 y = -0.1285$x^2$+6.6717x-83.423($R^2$=0.9223$^{**}$ ) 관계가 있고, 경당 건물중이 가장 높은 최적 기온은 26$^{\circ}C$이었다. 5. 수수와 수량과의 관계는 수수가 증가하면 수량은 증가하였고, 그 관계는 y=1.6292x+11.701($R^2$=0.6342$^{**}$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