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apia dorsal aort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틸라피아 배대동맥의 아드레날린성 반응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drenergic responses in tilapis dorsal aorta)

  • 최동림;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1-51
    • /
    • 1996
  • 경골어류의 혈관평활근에 대한 adrenaline성 조절기작을 규명의 일환으로 틸라피아의 배대동맥을 사용하여 Adrenergic agonist의 효과와 그 매개에 관여하는 수용체의 subtype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pinephrine, norepinephrine, phenylephrine, clonidine 및 methoxamine은 tilapia의 배대동맥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인 혈관수축효과만을 나타내었으며, 효력은 epinephrine, norepinephrine, phenylnephrine, clonidine, methoxamine의 순이었으며, 이들 수축반응은 혈관내피세포의 존재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Epinephrine, norepinephrine, phenylephrine 및 clonidine 의 농도의존적인 혈관수축반응곡선은 선택적인 $\alpha_2$-adrenergic 수용체 길항제인 yohimbin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오른쪽으로 평행이동 되었으며,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은 선택적인 $\alpha_1$-수용체 길항제인 prazos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오른쪽으로 평행이동되었다. 3.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의 혈관수축반응은 calcium제거 생리적 완충용액에서는 각각 약 41%, 51% 소실되었며, calcium 유입차단제인 verapamil에 의해서도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종합하면 Catecholamine류는 수축효과만을 나타내었으며 혈관내피세포 존재유무와는 무관하였다. 이러한 수축작용은 $\alpha_1$- 및 $\alpha_2$-adrenergic receptor가 모두 매개하였으며 voltage dependent $Ca^{2+}$ channel을 통하여 유입된 세포외액의 $Ca^{2+}$과 세포내 $Ca^{2+}$의해 일어난다고 사료된다.

  • PDF

틸라피아 배대동맥의 콜린성 반응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cholinergic responses in tilapia dorsal aorta)

  • 최동림;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3-63
    • /
    • 1996
  • 경골어류의 혈관평활근에 대한 choline 작동성 조절기작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틸라피아의 배대동맥(dorsal aorta)에 대한 acetylcholine 효과와 이들 효과의 매개에 관여하는 수용체의 subtype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cetylcholine은 틸라피아의 배대동맥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인 혈관수축반응만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반응은 혈관내피세포와 methylene blue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Acetylcholine에 의한 농도의존적인 혈관수축반응곡선은 비선택적인 muscarine 수용체 길항제인 atropine과 선택적인 $M_2$-수용체 길항제인 gallamine의 경우 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게 오른쪽으로 평행이동되었으나, 선택적인 $M_1$-수용체 길항제인 pirenzepine에 의해서는 고농도($1{\times}10^{-5}$M)에서만 약간 이동되었다. 3. Acetylcholine의 수축효과는 cyclooxygenase 억제제인 indomethacin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4. Acetylcholine의 혈관수축반응은 calcium제거 생리적 완충용액에서는 거의 소실되었으나, calcium 유입차단제인 verapamil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acetylcholine은 틸라피아 배대동맥에 대하여 내피세포와는 무관하게 혈관수축효과를 나타내었다. Acetylcholine에 의한 이 수축은 주로 $M_2$-subtype의 수용체를 매개하며 receptor-linked $Ca^{2+}$ channel을 통하여 유입된 세포질내의 $Ca^{2+}$에 의해 일어난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