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e station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8초

LAGEOS II 위성의 LASER 관측자료를 이용한 정밀거리 결정 (PRECISE RANGE DETERMINATION USING LASER RANGING DATA OF LAGEOSE II)

  • 김광열;김형규;장홍술;손건호;최규홍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189-196
    • /
    • 1993
  • 상해 천문대 Sheshan 관측소의 레이저 위성거리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LAGEOS II위성에 대한 레이저 관측을 수행하여 총 1,838점을 얻었다. 관측된 거리 자료를 지상목표물 관측에 의한 관측기기 지연보정, 대기굴절 보정, 위성의 질량중심거리 보정, 일반 상대론적 보정과 지구 고형체 조석, 극 조석, 대양 조석을 포함한 조석보정을 통해 지연값을 결정하였는데 거리보정의 평균값은 19.12m이다. 결국 다항식 fitting 과 최소 자승법을 이용하여 계산한 관측값의 내부 정밀도 평균은 $\pm$7cm이다. 잡음을 제거하고 보정된 최종 관측점은 1,340점으로 관측점 총수에 대한 잡음비율은 27.1%이다.

  • PDF

소옥천 하류(추소리)에서 녹조현상 경감기술의 현장 시험 적용 및 효과 비교 (Application Testing and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Green-tide Mitigation Technique in the Lower Part (Chusori) of the So-ok Stream (Daecheong Reservoir), Korea)

  • 신재기;김영성;노준우;김종명;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9권4호
    • /
    • pp.258-270
    • /
    • 2016
  • 본 연구는 2014년 6월 27일부터 8월 24일까지 대청호의 소옥천(추소리) 하류에서 녹조현상 경감기술을 시험하기 위하여 중점 수행되었다. 그리고 그 효과는 테스트베드 구간뿐만 아니라 조류경보제 관찰 지점의 주간 모니터링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테스트베드에서 녹조현상은 상류에서부터 시작하였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수문학적 요인에 의해 하류로 이송 및 확산되었다. 녹조 제거 장치의 시험적용 동안, 조류를 제거한 총량은 33,920 kg이었고, 이것을 자연중력에 의해 탈수시킨 고형물은 8,480 kg이었다. 또한, chlorophyll-a 함량은 2.83 kg이었고, 남조류의 세포수로 환산하면 $78.6{\times}10^{14}$ cells에 해당하였다. 조류경보제 관찰지점의 결과와 비교할 때, 대발생 수역에서 사전 집중제거는 녹조현상 완화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녹조현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적 발생 정보와 실용적 장치기술의 확보가 가장 우선되어야 하겠다. 특히 하천 - 저수지 hybrid 구간에서 녹조 제거의 최적 시기는 장마 이전과 최저 수위에 도달하였을 때로 볼 수 있었다.

DDInSAR 기반의 빙하연구를 위한 동남극 테라노바 만의 조위모델 정밀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Tide Models in Terra Nova Bay, East Antarctica, for Glaciological Studies of DDInSAR Technique)

  • 한향선;이주한;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5-387
    • /
    • 2013
  • 이중차분간섭기법(Double-Differential Interferometric SAR; DDInSAR)을 이용하여 빙하의 조위반응을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극지 해양에 대한 조위모델의 정밀도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동남극 테라노바 만에서 TPXO7.1, FES2004, CATS2008a, Ross_Inv 조위모델의 정밀도를 평가하기 위해 2년 동안 획득된 16쌍의 one-day tandem COSMO-SkyMed SAR 간섭영상으로부터 생성한 120개의 DDInSAR 영상과 수압식 파고계로 11일 동안 실측한 조위를 이용하였다. 먼저, DDInSAR 영상과 조위모델로 추출된 조위의 이중차분값(${\Delta}\dot{T}$)을 비교하였으며, 실측조위와 조위모델의 조위(T), 그리고 실측조위와 조위모델 조위의 24시간 차분값($\dot{T}$)을 비교하였다. ${\Delta}\dot{T}$와 T, $\dot{T}$의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는 조위모델의 역기압 효과(inverse barometer effect; IBE) 보정 후에 감소하였고, 이로부터 조위모델의 IBE는 필수적으로 보정되어야 함이 확인되었다. $\dot{T}$${\Delta}\dot{T}$는 T보다 작은 RMSE를 보였다. 이는 SAR 간섭쌍의 시간차(24시간) 동안의 차분값인 에 조위모델과 실측조위의 평균해수면 오차와 조위모델이 사용하는 조화상수 중 $S_2$, $K_2$, $K_1$, $P_1$의 오차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IBE가 보정된 조위모델의 $\dot{T}$${\Delta}\dot{T}$가 DDInSAR 기법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기간 실측된 조위로는 최적의 조위모델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DDInSAR를 이용한 정밀도 평가에 의하면 Ross_Inv가 4.1 cm의 RMSE를 보여 테라노바 만의 DDInSAR에 가장 적합한 조위모델로 확인되었다.

GNSS 측위방법에 따른 해양조석하중 성분 검출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Ocean Tide Loading Constituent Detection Using GNSS Positioning)

  • 윤하수;최윤수;권재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99-308
    • /
    • 2016
  • 오늘날 우주측지기술은 측위정밀도를 높이고 시간과 비용적 측면에서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정밀측위를 위하여 지구의 물리적 현상을 보정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그 중 해양조석하중의 보정은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과 제주의 조위관측소 GNSS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양조석하중에 의한 수직지각변위를 산출하고 지각변위를 일으키는 각 분조의 조석성분을 검출하였다. GNSS 측위방법과 자료처리 시간에 따른 해양 조석하중 성분 검출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대측위와 정밀절대측위로 GNSS 데이터를 처리하여 주요 8개 조석성분의 진폭을 산출하고 전지구 해양조석하중 모델의 진폭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조석분조 진폭 검출에는 2시간 간격의 자료처리와 정밀절대측위 방법이 해양조석하중 분조 검출에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에는 장기간 자료를 이용하여 장주기 조석성분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팔당댐 방류량과 황해(서해) 조석영향에 따른 팔당댐 하류부 수위상승도달시간 예측 (A Study on Water Level Rising Travel Time due to Discharge of Paldang Dam and Tide of Yellow Sea in Downstream Part of Paldang Dam)

  • 이정규;이재홍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11-122
    • /
    • 2010
  • 한강의 잠수교와 둔치는 장마철에 큰 홍수가 발생하면 침수가 되기 때문에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홍수로 인한 침수 발생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FLDWAV모형을 이용하여 한강하류부의 팔당댐 방류량과 황해(서해) 조석이 한강하류부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구간은 팔당댐 하류부에서 전류지점까지이며, 조석영향을 고려하기위해 하류경계조건인 전류수위는 팔당댐방류량과 인천조위를 이용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산정된 예측 전류수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잠수교와 주요 둔치에서 수위상승도달시간을 산정하였고, 팔당댐 방류유형과 황해조석에 따른 수위상승도달시간을 팔당댐 방류량의 함수인 2차다항식으로 나타냈다.

진해만의 Gymnodinium nagasakiense 적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ymnodinium nagasakiense Red-Tide in Jinhae Bay of Korea)

  • Lee, Jin-Hwan;Kwak, Hi-Sa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9권3호
    • /
    • pp.149-160
    • /
    • 1986
  • Relationship between the causative organi는 of red-tide and environmental factors had been ecologically dealt wtih. The surveys were conducted at seven station in Jinhae Bay from July to September 1981.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had wide range, i.e. 23.3~29.3$^{\circ}C$ and 19G.78~31.29$\textperthousand$, but several chemical factors remarkably fluctuated; dissolved oxygen 102.9~210.4%, COD 2.10~8.96mg$O_2$/l, pH 8.1~9.4, $NO_3$-N trace~1, 052$\mu$g/l, $PO_4$-P 0.6~58.9$\mu$g/l and chlorophyll-a 2.18~290.5mg/$m^3$ in the observed area. The red-tide was mainly caused by two dinoflagellata taxa throughout major outbreaks occurred in July through September. Leading species of red-tide were Gymnodinium nagasakiense belong to the ajor species. During the surveyed period, cell nubers of the causative organisms of the red-tide extensively varied from 3${\times} /10^4$ cells/l to $1.5\times10^7 $cells/l with moths and stations; Prorocentrum spp. 0.3~12.5$\times\10^5$ cells/l in July; Gymnodinium nagasakiense 0.2~5.9$\times10^6 cells/l, 1.1~4.7$\times10^6$ cells/l, and 0.2~15.1$\times10^6$ cells/l in July, August, and September, respectively. Gymnodinium nagasakiense red-tide seemed to be caused by the high water temperature in summer, unusually low salinity due to heavy rains, and the concentrated nutrients for phytoplankton supplied with the municipal sewages from the urban areas and the wastewaters from the industrial complexes.

  • PDF

외나로도 주변해역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과 저서 생물상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nthic faunal facies in the sediments around the Oenaro Island, southern part of Korea)

  • 현상민;최진우;신경순;장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5-225
    • /
    • 2002
  •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nthic facies of the sediments from the Oenaro Island where red tide proliferation is first observed every year including this year, surface and short multiple core sediment samp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geochemical and benthic facies variation. The contents of organic carbon, carbonate, and sulfide gas were relatively low. The variation in C/N ratios, which indicate nature of organic carbon, suggested that the organic carbon recorded in the study area is composed of mixtures of marine and terrigenous organic matters. The concentration of minor elements found at the surface and multiple core sediment samples were also low as well as the enrichment factors(Ef) for the seven heavy metals indicated that the sediment of this area is not polluted significantly. The macrobenthic faunal community comprised 61 species, and their mean density was 708 ind./m2. Polychaete worms were major taxa of this benthic community. A crustacean amphipod, Melita sp.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accounted for 20.7% of total abundance, and the small polychaetes such as Heteromastus filiformis, Paralacydonia poradoxa, Magelona japonica and Sigambra tentaculata were the next dominant species. The macrobenthos around the Oenaro Island were more diverse and abundant than that in Gamak Bay. The benthic communities in the study area sustained somewhat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MDS ordination. The benthic community health condition at three stations seemed to be unbalanced, and slightly polluted based on the biological index such as BPI and BC.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 geochemistry characteristic and the benthic faunal facies attributed by the micro-algal blooms in this coastal area.

필리핀을 위한 조석 데이터베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Tidal Database for the Philippines)

  • 박응현;안세진;심문보;전혜연;강호윤;김대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8-168
    • /
    • 2019
  • 국립해양조사원은 '15년부터 '18년 까지 제1단계 개발도상국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기반의 '필리핀 해양수산 인프라시설 구축 및 기술연수' 연구 사업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20년부터 제2단계 필리핀 공적개발원조 연구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최근 필리핀은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및 연안 침식 등의 문제로 인하여 해양영토 관리와 대응역량 강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2단계 필리핀 공적개발원조 연구 사업을 추진함에 앞서, 우리나라 해양수직기준면 모델에 대하여 분석하고 지난 4년간의 필리핀 공적개발원조(ODA) 연구 사업을 기반으로 구축된 인프라와 해양자료를 기반으로 필리핀의 해양수직기준면 체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필리핀의 Sulu Sea 해역을 연구 구역으로 선정하여 총 22개의 조위관측소 정점에 대하여 조석 조화분해를 실시하고 개정수 분석 및 필리핀 조석격자망(모델) 구축을 위한 시범제작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조석특성이 유사한 해역을 기준으로 두 정점간의 개정수를 적용하여 예측과 실측조위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조위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제2단계 공적개발원조 연구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한-필리핀 국가 간의 우호증진 및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및 유지에 사용될 것이다.

한강 하구역에서 섬모충류 군집의 조석 및 계절에 따른 변동 (Tidal and Seasonal Variations in Ciliate Abundance and Biomass in the Han River Estuary)

  • 홍현표;송태윤;이인우;김경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77-95
    • /
    • 2009
  • Ciliate abundance and biomass were determined at three anchored stations in the Han River estuary trimonthly from May 2006 to February 2008. The total abundance of ciliates ranged from 0-13,853 cells $l^{-1}$ and biomass ranged from $0.00-73.98\;ugC\;l^{-1}$. Owing to the large seasonal temperature variation (range 0.20-$27.2^{\circ}C$), ciliate abundance displayed marked seasonal variation, being higher in summer than in other seasons. Tintinnids dominated the ciliate communities at station YC where suspended sediment was highest. Difference of ciliate biomass between ebb tide and flood tide were irregular. Seasonal variations of ciliate carbon biomass at each station were related to temperature, suspended sediment and chl.a, especially nano chl.a. Geographical variations of ciliate carbon biomass in each season were related to suspended sediment and salinity.

장기간 조위관측자료 분석과 GPS 수준측량 수준원점 성과 재정의 (Redefinition of the Original Benchmark Height using Long-term Tide Observations Analysis and GPS Levelling Methods)

  • 정태준;윤홍식;황진상;이동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3-40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인천만의 장기간 조위관측자료를 웨이블릿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평균해수변 결정을 위한 최적의 기간을 제시하고, 적정기간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직기준을 새롭게 결정하였다. 그 후 결정된 평균해수면과 연안의 지상기준점(ICGP) 간의 정밀한 높이차를 결정하기 위하여 해수면에 대한 직접적인 레이저 관측을 수행하였으며, 결정된 높이차를 전체 조위관측자료에 대해 선형보간법으로 보정하여 ICGP의 정표고를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계산된 ICGP의 정표고를 정밀 GPS 관측과 중력지오이드모델을 이용한 GPS 수준측량 방법을 통해 수준원점 (ORBM)과 연결하고, 새로운 평균해수변 기준의 수준원점 정표고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결정된 인천만의 평균해수면은 1910년대의 평균해수면에 비해 약 0.026m가 변동된 것으로분 석되었으며, 새로운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GPS 수준측량에 의해 재정의된 ORBM 성과는기존성과와 약 0.035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새로운 ORBM 성과에서 나타난 0.009m의 연결오차는 GPS 수준측량시 GPS 타원체고 결정오차와 지오이드모델링 오차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정밀한 GPS 수준측량만으로 새로운 평균해수변에 기준한 ORBM 정표고 성과를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었으며, 향후 정표고 체계로의 효율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조위관측자료를 이용한 수직기준 결정과 함께 GPS 수준측량을 통한 수준성과의 연결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