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e level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27초

조위차 극복형 잠제의 파랑제어 (Wave Control by Tide-Adapting Submerged Breakwater)

  • 이우동;정연명;허동수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73-580
    • /
    • 2019
  • A submerged breakwater is a coastal structure built under water with excellent landscape. The depth of the crest of the breakwater should be maintained at more than a certain level in order for the submerged breakwater to control waves properly.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blocking waves deceases sharply at high tide in coastal areas with large tidal differenc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Tide-Adapting Submerged Breakwater (TA-SB) to overcome this problem, and then we conducted hydraulic model experiment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TA-SB for controlling wav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tapered wings attached to the crest of the TA-SB helped induce forced breaking waves. In particular, they were very effective in blocking waves and attenuating wave energy at high tide. In addition, the wave contro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A-SB was far superior to the Tide-Adapting Low-Crested Structure (TA-LCS) of the previous study.

Long Short-Term Memory를 이용한 부산항 조위 예측 (Tidal Level Prediction of Busan Port using Long Short-Term Memory)

  • 김해림;전용호;박재형;윤한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69-476
    • /
    • 2022
  • 본 연구는 조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부산항에서의 장기 조위 자료를 생성하는 Long Short-Term Memory (LSTM)으로 구현된 순환신경망 모델을 개발하였다. 국립해양조사원의 부산 신항과 통영에서 관측된 조위 자료를 모델 입력 자료로 사용하여 부산항의 조위를 예측하였다. 모델에 대하여 2019년 1월 한 달의 학습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2019년 2월에서 2020년 1월까지 1년에 대하여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구축된 모델은 부산 신항과 통영의 조위 시계열을 함께 입력한 경우에 상관계수 0.997 및 평균 제곱근 오차 2.69 m로 가장 성능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딥러닝 순환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임의 항만의 장기 조위 자료 예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원격탐사를 이용한 남해안의 적조영역 검출과 통계적 특징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and Statistical Feature Analysis of Red Tide Area in South Coast Using Remote Sensing)

  • 서형수;이칠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4B권2호
    • /
    • pp.65-70
    • /
    • 2007
  • 1990년대 이후 적조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의 큰 관심이 되고 있으며 선진각국들은 해상용 위성을 이용하여 조기에 적조영역을 검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해안이 굴곡이 심하고 연안에서 탁류가 많아 저해상도인 해상용 위성으로 소규모 적조 영역을 검출하기가 어렵다. 또한 기존의 적조영역 검출은 해상용 위성영상의 해색(sea color) 한 가지 특징에 의한 방법이 대부분이었다. 이처럼 해색과 같이 영상에서 소수의 특징을 가지고 적조영역을 검출한다는 것은 false negative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정밀 육상용 위성의 남해안 영상에 대해 GLCM(Gray Level Co occurrence Matrix)의 질감 정보 6가지를 이용해서 질감정보를 취득하고 이 정보로부터 주성분 분석을 통해 차원을 축소하여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한 후 2개의 주성분 누적 영상으로 변환시켰다. 실험결과 2개의 주성분 변환 누적 영상의 고유값은 94.6%였으며, 이를 해색 한 가지 만을 이용한 적조영역 영상 및 주성분을 모두 가지고 있는 영상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검출된 적조영역을 질감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탁류가 많은 연안 및 적조현상이 없는 바다와 비교하여 정량적으로 구분하였다.

키리바시와 주변국 천문조위 특성 및 해수면 변동 (Characteristics of Astronomical Tide and Sea Level Fluctuations in Kiribati and Neighboring Countries)

  • 김양오;김종규;김현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46-752
    • /
    • 2022
  • 남태평양 섬들인 키리바시와 주변국은 해수면 상승으로 섬의 면적이 점점 감소하고 있다. 해수면 상승의 원인으로 기온상승에 따라 감소하는 빙하와 해수의 열팽창정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지구온난화는 해수의 양과 부피 모두에 영향을 주어 해수면 상승이 진행되고 있다. 조석현상은 달과 태양등 천체의 인력작용으로 해면이 1일 2회 나타나지만 달은 약 18.6년을 주기로 달의 공전 궤도면이 지구의 적도와 이루는 각도가 약 10° 정도 변화하는데 지구의 적도면과 달의 공전 궤도면의 거리에 따라 조석력의 크기가 변화한다. 하와이 대학교 해수면 센터에서 Kiribati의 Tarawa, Christmas, Kanton, Fiji의 Lautoka, Suva, Tuvalu의 Funafuti, Tonga의 Nuku'alofa, Vanuatu의 Port Vila을 선정하여 자료를 취득하였다. 19년간 각 연도별 조위를 비교하였을 때 차이를 이용하여 조석에 의한 수면의 변화를 확인하고 조석의 영향인지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최고천문조위(HAT, Highest Astronomical Tide)와 최저천문조위(LAT, Lowest Astronomi cal Tide)는 각각 Trawa 297.0, 50.8 cm, Christmas 123.8, 19.9 cm, Kanton 173.7, 39.9 cm, Lautoka 240.7, 11.3 cm, Suva 213.4, 17.8 cm, Funafuti 328.6, 98.4 cm, Nukualofa 188.8, 15.5 cm, Port Vila 161.5, -0.5 cm로 파악하였다. 해수면 변동은 각각 Trawa 3.1 mm/year, Christmas -1.0 mm/year, Kanton 1.6 mm/year, Lautoka 3.1 mm/year, Suva 7.4 mm/year, Funafuti 1.4 mm/year, Nukualofa 4.2 mm/year, Port Vila -1.2 mm/year로 변화하였다.

DDInSAR 기반의 빙하연구를 위한 동남극 테라노바 만의 조위모델 정밀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Tide Models in Terra Nova Bay, East Antarctica, for Glaciological Studies of DDInSAR Technique)

  • 한향선;이주한;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5-387
    • /
    • 2013
  • 이중차분간섭기법(Double-Differential Interferometric SAR; DDInSAR)을 이용하여 빙하의 조위반응을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극지 해양에 대한 조위모델의 정밀도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동남극 테라노바 만에서 TPXO7.1, FES2004, CATS2008a, Ross_Inv 조위모델의 정밀도를 평가하기 위해 2년 동안 획득된 16쌍의 one-day tandem COSMO-SkyMed SAR 간섭영상으로부터 생성한 120개의 DDInSAR 영상과 수압식 파고계로 11일 동안 실측한 조위를 이용하였다. 먼저, DDInSAR 영상과 조위모델로 추출된 조위의 이중차분값(${\Delta}\dot{T}$)을 비교하였으며, 실측조위와 조위모델의 조위(T), 그리고 실측조위와 조위모델 조위의 24시간 차분값($\dot{T}$)을 비교하였다. ${\Delta}\dot{T}$와 T, $\dot{T}$의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는 조위모델의 역기압 효과(inverse barometer effect; IBE) 보정 후에 감소하였고, 이로부터 조위모델의 IBE는 필수적으로 보정되어야 함이 확인되었다. $\dot{T}$${\Delta}\dot{T}$는 T보다 작은 RMSE를 보였다. 이는 SAR 간섭쌍의 시간차(24시간) 동안의 차분값인 에 조위모델과 실측조위의 평균해수면 오차와 조위모델이 사용하는 조화상수 중 $S_2$, $K_2$, $K_1$, $P_1$의 오차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IBE가 보정된 조위모델의 $\dot{T}$${\Delta}\dot{T}$가 DDInSAR 기법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기간 실측된 조위로는 최적의 조위모델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DDInSAR를 이용한 정밀도 평가에 의하면 Ross_Inv가 4.1 cm의 RMSE를 보여 테라노바 만의 DDInSAR에 가장 적합한 조위모델로 확인되었다.

조석에 따른 영산강 하구의 물리적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 소조기 (Tidal Influence on Physic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in Youngsan River Estuary during Neap Tide)

  • 박건우;이다혜;신용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5-334
    • /
    • 2017
  •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hysic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caused by tides, a fixed station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was monitored at 2-h intervals, on April 28, 2012 and August 12, 2012. No clear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changes and tidal levels in April. However, in August, temperature decreased during the ebb tide and increased during the flood tide, while salinity showed the opposite trend. In addition, there was no specific change in the phytoplankton biomass corresponding to tidal levels in April. In August, the total chlorophyll a and the biomass of net phytoplankton (>$20{\mu}m$) increased almost 20 times during the ebb tide and decreased during the flood tide. The biomass of nanophytoplankton (<$20{\mu}m$) showed a similar variation in response to tidal level changes. In April,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nt contributions of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and tidal levels was not clear. In August, the net phytoplankton was dominant in the early stage and nanophytoplankton was dominant in the later stage, while contribution of nanophytoplankton and net phytoplankton increased at high tide and low tide, respectively. Therefore, in April, other factors such as freshwater discharge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tide, whereas in August, when no freshwater discharge was recorded, the changes in semidiurnal tides influenced the physic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dynamics.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방조제 체절 수리 검토를 위한 단순 모형과 다중격자 모형 (Simple and Multigrid Models for Hydraulic Study on Coffering a Tide Embankment)

  • 이정렬;고진석;이태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9-318
    • /
    • 2001
  • 방조제 최종 체절시 또는 준설토 투기장 공사시 개방구간에서의 유속 및 내외측간 수위차를 예측하기 위한 영차원의 단순 모형이 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내조지에는 조간대가 크게 차지하고 있으므로 수위별 내조지 체적 변화를 수식화하여 조간대가 체절구간의 유속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였다. 그 결과를 다중격자 기법(multigrid method)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차분하는 2차원 수심적분 모형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인천 북항 준설토 투기장에 적용한 결과 두 모형이 투기장에서의 조위변화 및 개구부에서의 조류속 변화를 서로 유사하게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PDF

기후변화를 고려한 연안지역 재해예방기법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Considering Climate Change)

  • 이성현;김보람;임준혁;오국열;심우배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9-376
    • /
    • 2018
  • Korea is surrounded by the West Sea, the South Sea, and the East Sea. There are various points at which large and small rivers flow into the sea, and areas where these rivers meet the coast are vulnerable to disasters.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disaster prevention techniques based on coastal characteristics and the pattern of disaster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isk factors of disaster districts analyzed in comprehensive plans for the reduction of damage to coastal cities from storms and floods. As a result of standardization, four factors (tide level, intensive rainfall & typhoon, wave, and tsunami) were identified. Intensive rainfall & typhoon occurred along the West Sea, the South Sea, and the East Sea coast.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influence disasters are tide level for the West Sea, tsunami and tide level for the South Sea, and wave in the East Sea. In addition, disaster prevention techniques to address these factors are presented, focusing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계층적 베이지안 모델을 적용한 극치 해수위 비정상성 빈도 분석 (Hierarchical Bayesian Model Based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for Extreme Sea Level)

  • 김용탁;오랑치맥 솜야;권현한;황규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34-43
    • /
    • 2016
  • 국내의 연안은 지속적 발전으로 해수면 상승(sea level rise, SLR)으로 인한 연안재해 취약성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해수면 상승에 따른 극치조위 자료에 대한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Mann-Kendall(MK) 검정 결과 연평균조위(annual average tide)의 경우 17개 지점에서 경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극치 조위의 경우에는 7개 지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상성 빈도 해석 결과 2100년에 한반도 연안의 극치 해수면 변화는 최소 60.33 mm에서 최대 214.90 mm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천항의 조석, 조류 및 조량에 대하여 (On the Tides, Tidal Currents and Tidal Prisms at Inchon Harbor)

  • 이석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6-97
    • /
    • 1972
  • The tides, tidal currents and tidal prisms at Inchon Harbor are studied with recent data. The tides at Inchon Harbor is of semi-diurnal type having a spring range of 798cm and a phase age of 2 days. The monthly mean sea level at Inchon has a maximum at August and a minimum at January with a annual range of about 40cm. the tidal currents at Inchon Outer Harbor are of semi-diurnal type same as tides and nearly reversing type. The flood and ebb currents set north and south with a velocity of about 90-175 cm/sec and 120-225 cm/sec at spring tide and begin 0.2 hours after L.W. and 0.7 hours after H. W., respectively. Non-tidal currents flow southward with 10-20 cm/sec at west side of the stream and northward with 15-20 cm/sec at east side of the stream at Inchon Outer Harbor. The flood volume through the Inchon Outer Harbor fluctuates fortnightly from 590 10$\^$6/㎥ spring tide to 260 $10^6/m^3$ at neap tide and ebb volume changes from 470 $10^6/m^3$ at spring tide to 200 $10^6/m^3$ at neap tide, respectively. The flow area along the channel to the Estuary of Yeomha is controlled by the tidal prism as expressed by $A=1.14{\times}10^{-4}P^{0.96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