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flat sediment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서남해안 두우리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 및 퇴적구조의 특성과 계절변화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Change of Surface Sediment and Sedimentary Strucutre on the Doowoovi Tidal Flat,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백영숙;전승수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0권1_2호
    • /
    • pp.10-17
    • /
    • 2004
  • 한국 서남해안에 위치한 두우리 조간대는 사주와 보호섬이 존재하지 않고 외해로 열려있는 전형적인 개방형 조간대이다. 이러한 개방형 조간대에서는 바람에 의한 파랑이 퇴적작용에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므로, 계절에 따른 파랑에너지의 차이가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퇴적구조의 특성에 직접적으로 반영된다. 두우리 조간대는 상부의 조수해빈 (tidal beach), 중부의 전형적인 조간대 (intertidal flat)와 최하부의 니질대 (lowermost mudflat)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은 표층퇴적물의 구성뿐만 아니라 조간대의 경사도에 의한 구분과도 일치한다. 조간대 내에서의 퇴적물은 1차 퇴적구조와 사서질 퇴적물의 함량에 따라 다시 사질 조간대, 혼합 조간대와 니질조간대로 나누어진다. 두우리 조간대의 표층퇴적상은 계절에 따라서 퇴적물의 함량과 퇴적구조에 변화를 보이며, 퇴적상의 변화양상은 계절풍의 방향과 세기, 폭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북서계절풍이 강한 겨울철과 봄철에는 사질 조간대의 퇴적상이 우세하며, 약한 남동풍이 우세한 여름철에는 니질 조간대의 퇴적상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가을철에는 혼합 조간대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표층퇴적물은 여름에는 전 조간대가 약 20 cm 두께의 니질 퇴적물로 뒤덮이고 가을이 지나 겨울로 가면서 니질 퇴적상에서 사질 퇴적상으로 바뀐다. 이러한 표층퇴적상의 변화는 바람도 세어지고 풍향도 바뀌어 조간대를 공격하는 파랑의 에너지가 강해지면서 여름철에 퇴적되었던 니질 퇴적물을 침식시키기 때문이다. 캔코아 주상시료에서 퇴적구조는 여름철에는 조간대 상부 ($0{\~}l.3 {\cal}km$)에서는 니질 퇴적물의 평행엽층리와 상승연흔 사엽층리가 하부 $(1.7{\~}2.3 {\cal}km)$에서는 괴상의 니질 퇴적층이, 겨울철에는 전체적으로 평행엽층리와 연흔사층리가 우세하게 나타나며, 부분적으로 둔덕사층리 (HCS)가 나타난다.

  • PDF

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 in Nanakita Estuarine Tidal Flat: Estimation of Sedimentary Organic Matter Origin by Stable Isotope and Fatty Acid

  • Shin, Woo-Seok;Aikawa, Yoshio;Nishimura, Osamu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77-82
    • /
    • 2012
  • The spatial variation of organic matter sources in tidal flat sediment of the Nanakita River estuary, involving Gamo lagoon on the north-east coast of Honshu Island, Japan, was examined using carbon stable isotopes and fatty acid biomarkers. The spatial variation of total organic carbon (TOC) contents and ${\delta}^{13}C$ values were highly variable in between the stations, such as sandy flat (1.3 mg/g, -21.0‰), sand-muddy flat (2.6 mg/g, -21.9‰), and muddy flat (24.9 mg/g, -25.9‰), respectively. Particularly, at the muddy flat, high TOC content and low ${\delta}^{13}C$ value of the sediments indicated that the surface sediment was composed largely of terrestrial organic matter. Whereas, at the sandy flat and sand-muddy flat, the high ratios of diatom and bacteria biomarkers indicated the high contribution of abundant microorganism along with marine organic matter in sediment composition. From these results, it considered that the amount and origin of transported sedimentary organic matter indicat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stations.

Prokaryotic Diversity in Korean Tidal Flats

  • Kim, Bong-Soo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f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 /
    • pp.166-166
    • /
    • 2008
  • The tidal flat of Korea is one of the most dynamic areas in terms of sediment erosion and deposition. Tidal flats provide important food resources, ecological niche for diverse organisms and have functional role of bioremediation by mineralizing organic matters. Generally, microbes are essential constituent for biochemical transformations, such as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s and biodegradation of pollutants. Understanding microbes in tidal flat sedimen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se processes. In order to understand role of microbes in tidal flat, this study investigated prokaryotic communities by several methods such as clone library, DGGE, and pyrosequencing. In addition, qua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and isolation biodegrading bacteria were investigated in tidal flats of Western Coast.

  • PDF

인공구조물 건설 후 안면도 가경주 간석지의 퇴적환경 및 미지형변화 분석 (Analysis of Sedimentary Environment and Micro-Landform Changes After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sin the Tidal Flat of Anmyeondo Gagyeongju, Western Coast of Korea)

  • 장동호;류주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45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s across a tidal flat in Gagyeongju of Anmyeondo Island. We performed a spatio-temporal analysis on the grain sizes composition of sediments and micro-landform changes during the winter from 2013 to 2016. The results showed that erosion was a dominant processthroughout the study flat, reducing the surface elevation even by 1 m around the upper sand flat. As a consequence, headlands have formed in the entire region of Gagyeongju village. In addition, erosion quickly progressed along the low-lying subtidal zone and tide way and, in contrast, sedimentation progressed in the mid-elevation tidal flat. We posit that a jetty, which had been constructed as a pier facility on the eastern part of the study area, interfered with the flow of tidal current, thereby enhancing these erosional processes. This is because such interference can block the supply of fine-textured sediments from the nearby Cheonsu Bay and therefore reduce surface elevation. According to the surface sediment analysis, the sediments were categorized into 7 sedimentary facies, and generally displayed a high ratio of silt and clay. The result of time-series analysis (2012-2013) showed that the sediments on the tidal flat became fine-grained, and that sorting became worse. However, the sediments on the subtidal zone, embayment and along inside of the jetty tended to be coarse-grained. In conclusion, the tidal flat microlandform change in the study area was caused by a disruption in the seawater circulation due to the jittery construction within the tidal flat, which had a direct effect on erosional and sedimentary environment processes.

순천만 갯벌의 입도조성 및 유기물 분포특성 (Characteristics of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s in the Tidal Flat Sediments of the Suncheon Bay)

  • 장성국;정정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8-20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순천만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의 일환으로, 순천만 갯벌의 입도분포 특성 및 유기물의 특성을 파악하여 오염현황을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2009년 4월과 7월에 순천만 갯벌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순천만 갯벌은 대부분이 clay와 silt의 함량이 90% 이상에 해당하는 니질상(muddy facies)을 나타내었으며, 간조시 동천으로부터 유입된 하천수가 유하하는 수로에 해당하는 갯강에서는 사질상(sandy facies)이 우세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만 갯벌의 분급도는 전체적으로 $1.9{\sim}3.8{\phi}$(평균 $2.5{\phi}$)의 분포를 보였으며, 왜도는 -1.5~3.2(평균 -0.3)를 나타내었고, 첨도는 1.5~14.1(평균 3.9)을 나타내었다. 이는 순천만의 갯벌은 세립질 퇴적물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그리고 그중 일부는 다양한 입도를 가지는 퇴적물이 혼재되어 있고, 갯 강은 하천수의 유하에 의한 침식이 일어나고, 그 이외의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퇴적이 일어나고 있다는 의미이다. 순천만 갯벌의 총유기물량(IL)은 5.75%로 타해역에 비해서 비교적 양호한 편이며, 부영양화 기준(COD; 20.0 mg/g dry, 황화물 0.2 mg S/g dry)보다 대부분지역에서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일부 지점에서는 기준을 초과하였다. 그리고 순천만 갯벌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은 대부분이 육상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순천만의 갯벌은 비교적 양호한 상태라고 판단되나 일부의 정점에서는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순천만의 보존을 위해서는 육상기인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의 저감방안이 요구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Remarkable Bacterial Diversity in the Tidal Flat Sediment as Revealed by 16S rDNA Analysis

  • Chun, Jong-Sik;Kim, Bong-Soo;Oh, Huyn-Myung;Kang, Ho-Jeong;Park, Seok-S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205-211
    • /
    • 2004
  • A 16S rDNA clone library was generated to investigate the bacterial diversity in tidal flat sediment in Ganghwa Island, Republic of Korea. A total of 103 clones were sequenced and analyzed by comprehensive phylogenetic analyses. No clones were identical to any of known 16S rRNA sequences in public databases. Sequenced clones fell into thirteen lineages of the domain Bacteria: the alpha, beta, gamma, delta, and epsilon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CFB group, Chloroflexi, Acidobacteria, Planctomycetes, Verrucomicrobia, and known uncultured candidate divisions (OP11, BRC1, KSB1, and WS1). Two clones were not associated with any known bacterial divisions. The majority of clones belonged to the gamma and delta Proteobacteria (46.7%). Clones of Actinobacteria were distantly related to known taxa. It is evident from 16S rDNA-based community analysis that the bacterial community in tidal flat sediment is remarkably diverse and unique among other marine environments examined so far.

연안해역에서 파도에 의한 해수 침투이론의 비교와 정량화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Seawater Infiltration by Wave Action in Coastal Zone)

  • 정정조;최두형;김태근;강전광정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11
    • /
    • 2001
  • 조간대와 같은 연안지역에서 해수의 토양 이동이 가지는 의미는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토양 이동 및 생물농축, 저서생물들의 생존에 필수적인 플랑크톤, 박테리아, 유기쇄설물, 산소, 영양염, 유기물의 생물공급, 수질 정화량 산정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역과 같이 파도에너지가 비교적 작은 조간대에서 파도에 의한 해수의 침투거동을 해석하고, 파도에너지와 사면 구배의 변화에 따른 해수의 침투량 변화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조간대에서의 해수 침투량을 개략적으로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모의 조간대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폐쇄성 수역과 같은 파도에너지가 작은 조간대에서는 파도에 의해서 해수가 반원형의 형태로 토양중으로 침투하는 semi-circular mechanism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침투 거동임을 알 수 있었다. 구배 또는 쇄파파고가 높아짐에 따라서 해수의 침투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수는 쇄파파고 보다는 구배의 영향을 크게 받아서 토양중으로 침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현장토양을 이용하여 해수의 침투량을 정량화 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조간대에서의 해수 침투량을 개략적으로 산정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오염물질의 토양 이동 및 생물농축, 저서생물들의 먹이공급, 수질 정화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요망한다.

  • PDF

강화도 갯벌 퇴적물의 산소요구량과 탈질소화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Sediment Oxygen Demand and Denitrification in Kanghwa Tidal Flat Sediments)

  • 안순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1호
    • /
    • pp.47-55
    • /
    • 2005
  • 2001년 12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강화도 남서부에 위치한 동막 및 여차리 갯벌에서 계절별로 퇴적물의 산소요구량과 탈질소화를 측정하여 퇴적물의 유기물 분해와 질소 영양염의 제거과정을 살펴보았다. 퇴적물 산소 요구량 (SOD;sediment oxygen demand)은 니질 함량이 높은 동막이 평균 $683\;{\mu}mole\;m^{-2}h^{-1}$이었고, 사질 함량이 높은 여차리에서 평균 $457\;{\mu}mole\;m^{-2}h^{-1}$로 동막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SOD는 여름철에 높고, 겨울철에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2002년 4월에는 산소가 퇴적물에 의해 소비되기보다는 생산되어 저서성 규조류에 의한 광합성이 활발함을 알 수 있었다. 탈질소화도 동막이 높고 여차리가 낮았는데, 그 값은 각각 5.4와 $3.4\;{\mu}mole\;m^{-2}h^{-1}$이며, 유기물로는 $9.3\;mg-C\;m^{-2}d^{-1}$$5.9\;mg-C\;m^{-2}d^{-1}$에 해당하는 양이다. 염습지를 포함한 연안 퇴적물의 탈질소화율은 $0{\sim}200{\mu}mo1e\;m^{-2}h^{-1}$의 범위에 있는데, 본 조사의 값은 낮은 편에 속했다. 탈질소화가 낮은 것은 갯벌이 유기물 농도가 높은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분해하기 쉬운 신선한 유기물은 부족하여 전반적인 유기물 분해율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평소에는 낮은 탈질소화를 보이나, 고농도의 유기물이 유입되면,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잠재적 능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산소요구량과 무기탄소 용출량을 통해 살펴본 강화갯벌의 유기물 순분해율(net remineralization rate)은 동막이 평균 $196\;mg-C\;m^{-2}d^{-1}$이고 여차리가 평균 $132\;mg-C\;m^{-2}d^{-1}$이었다.

The Monitoring of Biogeochemical Interactions Between Sediment and Water: a Mesocosm Study

  • Yang, Jae-Sam;Kim, Yeong-Tae;Choi, K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9권1호
    • /
    • pp.107-118
    • /
    • 2004
  • A series of mesocosm experiments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diment on the qualities of superficial water over the tidal flats. The experiments involved two different kinds of sediments (Silt and Fine Sand) to mimic the natural habitats.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mesocosm were kept as natural as possible. The mesocosm coincided with the annual patterns of the natural water qualities and was identical with the composition of benthic organisms of three reference sites of natural tidal flats. DIP has been leached out from sediment from June to October, but not for ammonium and DIN. The mesocosm was successfully able to simulate the environmental situations of natural tidal flat and will be a useful tool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acts by human activities.

조간대 저토 환경과 갈대의 생장 특성 (Sediment Properties and Growth of Phragmites australis in Mud Tidal Flat)

  • 민병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7-69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ragmites australis' growth and sediment properties at mud tidal flat of Donggum-ri, Gilsang-myeon, Gangwha-gun, Incheon city.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from May, 2010 to October, 2010. Water content, soil texture, electric conductivity and water table depth for sediment, density, height, dry weight and flowering for P. australis were examined at several plots from the starting point (the coastal embankment) to the end point of the two populations.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ly, the water table increased along distance from the embankment at one line (N-line) but was similar at the other line (S-line) in a P. asustralis population. Water tables were higher out of than within a P. australis population at two populations. Secondary, in N-line, the height and dry weight of P. australis decreased along the distance from embankment but, in S-line, those were similar in its population. P. australis' growth was dependent on electric conductivity at lower layer (water table level) rather than upper one (the surface). Thirdly, density of P. australis changed during growing season and was similar in a population, except for the end point of patch. In summary, the growth and distribution of P. australis were dependent on salt content of tidal flat's sediment (water table level) and this was affected by fresh water of the in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