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Prediction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초

조선시대(1392-1910) 해일 발생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urges and Tsunamis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1392 to 1910)

  • 김다해;홍성찬;최광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7-49
    • /
    • 2021
  • Analysis and prediction of storm surge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 global warming has raised sea levels and increased the frequency of massive typhoons, accelerating damage of coastal flooding. However, the data for storm surge prediction is lacking due to the short history of observation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surges and tsunamis based on the historical documents publ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we tried to evaluate the damage and spatial extent of such disasters, using the expressions about surge records including heights and number of administrative divisions. As a result, a total of 175 records of surges and tsunamis were compiled from 1392 to 1910: 145 eve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ncient documents, and 30 events were from the previous research. Most of the strorm surges occurred along the west coast during summer season. More than half of the total surges were concentrated for 120 years from the mid 1600s to the mid 1700s, which was estimated to be highly relevant to the climate conditions in East Asia during the Little Ice Age. Hazardous areas by storm and tidal surges were also extracted, including Asan, Ganghwa, and Siheung during the Joseon Dyanisity period.

해양정보기반 방제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 구축에 관한 연구 (Prototype Development of Marine Information based Supporting System for Oil Spill Response)

  • 김혜진;이문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2-192
    • /
    • 2008
  • 효율적인 방제전략 수립 지원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환경민감정보 기반의 유출유 확산예측 시스템과 피해위험도 예측시스템을 연계하여 인천-대산해역을 대상으로 해양오염 방제지원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유출유 확산예측시스템에서는 실시간 바람과 실시간 해수유동을 기반으로 유출유의 이동을 계산하고, 유출유 특성에 따라 해상 유출유의 풍화작용을 모델링하여 유출유의 잔류량 및 확산분포를 계산하였다. 유출유 확산예측의 실시간 바람은 국립환경과학원의 실시간 기상모델 결과를 ftp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연계하여 활용하며, 실시간 해수유동으로서 조류는 수치모델결과와 검조소 관측결과의 결합을 통해 실시간 조석을 예측하는 CHARRY(Current by Harmonic Response to the Reference Yardstick)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실시간 취송류는 바람과 취송류간의 상관관계와 반응함수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실시간 해수유동을 따라 이동하면서 풍화되는 유출유의 풍화작용은 유출유 특성에 따라 결정된 감소율을 적용하여 모델링하였다. 본 시스템은 GIS 기술을 이용하여 해양 정보를 ESI(Environmental Sensitivity Index) 및 방제자원 정보와 통합하고 종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방제전략 수립을 지원할 수 있다.

  • PDF

새만금 간척지구 담수호 건설에 따른 담수배출의 영향범위 예측 (Prediction of Influence of Polluted Water Discharged from Saemankeum Lake)

  • 김대근;서일원;백경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649-659
    • /
    • 1997
  • The influence of pollu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aemankeum Lake is predicted by using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influence of the Polluted water to the northern part of the Kckunsan Islands is small during flood time. The reason is because lock gates are located in the south of the Kokunsan Islands so that tidal current directing north is blocked by these Islands. However, during the ebb time, the influence of the polluted water is extended to the whole southern part of the Kokunsan Islands. When the amount of ten percent of the total volume of pollut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Saemankeum Lake, equi-concentration contour line of one tenth of initial discharge concentration includes the inner area surrounded by Sinsi Island, Munyeo Island, Bian Island, and Daehang-Li. In general, peak concentration near the lock gates is found out to be higher during the spring tide than the neap tide.

  • PDF

Inplementation of flooding simulation in coastal area based on 3D satellite images and Web GIS

  • Jo, Myung-Hee;Park, Hyeon-Cheol;Kim, Hyoung-Sub;Choi, Yong-K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166-169
    • /
    • 2006
  • Our country's coast is vulnerable area to natural disaster which the repetitive damages occur every year including a loss of lives, the damage of facilities and erosion mostly except for the east coast because of a typhoon, tidal waves, sea water overflowing by topographic structure of low-lying gentle slope and shallow sea. However, as for prevention of natural disaster occurring every year, the situation is that it's centered on the restorationcentered measures and the general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to minimize damages at the time of disaster occurrence is insufficient. This study intendedlop t to devehe techniques possible for real time sampling of damage prediction areas on Web in order to support decision making for damage prevention and establishment of disaster prevention policy. For this, the thematic map was produced related to disaster based on high-resolution satellite picture, and the environmental DB similar to real world was constructed through topographic construction of three-dimension integrating the parts of land and the sea. In addition, the system was developed possible for the expression of damageable regions by real time grasp of dangerous regions at the time of disaster occurrence through over flowing simulation of three-dimension, and it's intended to prepare a basis to minimize damages to disaster situations through it.

  • PDF

All Sky Camera and Fabry-Perot Interferometer Observations in the Northern Polar Cap

  • Wu Qian;Killeen Timothy L.;Solomon Stanley C.;McEwen Donald J.;Guo, Weiji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237-247
    • /
    • 2002
  • We report all sky camera and Fabry-Perot interferometer (FPI) observations of mesospheric gravity waves and a 12-hour wave at Resolute $(75^{\circ}N)$ and a joint observation of 10-hour wave with Eureka $(80^{\circ}N)$. All sky camera observations showed a low occurrence of mesosphere gravity waves during equinoxes, which is similar to the mid-latitude region. A slightly higher occurrence near solstice appears to indicate that gravity waves are not filtered out by the neutral wind in the winter. The FPI observation of a 12-hour wave showed amplitude variations from day to day. The phase of the wave is mostly stable and consistent with the GSWM prediction in the winter. The phase shifts with season as predicted by the GSWM. Four events of the 12-hour wave were found in spring with amplitudes larger than the GSW predictions. The FPls at Resolute and Eureka also observed a wave with period close to 10 hours. The 10-hour wave maybe the result of the non-linear interaction between the semi-diurnal tide and the quasi-two day wave. Further studies are under way. Overall, the combined Resolute and Eureka observation have revealed some new fractures about the mesospheric gravity wave, tidal wave, and other oscillations.

Grounding Line Change of Ronne Ice Shelf, West Antarctica, from 1996 to 2015 Observed by using DDInSAR

  • Han, Soojeong;Han, Hyangsun;Lee, Hoonyo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24
    • /
    • 2018
  • Grounding line of a glacier or ice shelf where ice bottom meets the ocean is sensitive to changes in the polar environment. Recent rapid changes of grounding lines have been observed especially in southwestern Antarctica due to global warming. In this study, ERS-1/2 and Sentinel-1A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 were interferometrically acquired in 1996 and 2015, respectively, to monitor the movement of the grounding line in the western part of Ronne Ice Shelf near the Antarctic peninsula. Double-Differential Interferometric SAR (DDInSAR) technique was applied to remove gravitational flow signal to detect grounding line from the interferometric phase due to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tide. The result showed that ERS-1/2 grounding lines are almost consistent with those from Rignot et al. (2011) which used the similar dataset, confirming the credibility of the data processing. The comparison of ERS-1/2 and Sentinle-1A DDInSAR images showed a grounding line retreat of $1.0{\pm}0.1km$ from 1996 to 2015. It is also proved that the grounding lines based on the 2004 MODIS Mosaic of Antarctica (MOA) images and digital elevation model searching for ice plain near coastal area (Scambos et al., 2017), is not accurate enough especially where there is a ice plain with no tidal motion.

Eulerian-Lagrangian Analysis(ELA) 모형을 이용한 오염물질이동 예측 (Prediction of Pollutant Transport using by Eulerian-lagrangian)

  • 최병옥;권순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8-140
    • /
    • 1994
  • Coastal areas, especially embayments are apt to be polluted easily and many embayments in Korea are already suffering from pollution problems. To manage such pollution, it is strongly needed to develop technique to trace movements of pollution. Such technique cove- ring the embayment affected by the tidal influence, should take account both of the convection and the diffusion motions which cause lots of problems in numerical calculation. In this study, a Eulerian-Lagrangian Analysis(ELA) model was applied to Young Il bay and tested for its applicablity, which was developed by using the Eulerian-Lagrangian Method that reduce the numerical disperison and oscillation by way of solving convection and diffusion terrns separately. Concentration of Chemical Oxygen Demand(COD) and Suspend Solid(SS) of the embay- ment area were estimated by the model and compared with the observed values and the sound results were obtained. At the same time the diffsion coefficient and decay coefficient for Chemical Oxygen Demand in the Young II Bay were found as Dx = Dy = 20m$^2$/sec, kd=2.5 ${\times}$ 10-5/sec respectively, and for Suspend Solid, Dx =Dy = 30m$^2$/sec, kd=5.0${\times}$ 10-5/sec

  • PDF

다중빔음향측심 자료를 이용한 침몰선박 정밀영상 분석 연구 (Sunken Ship Precision Image Analysis Using Multi-Beam Echo Sounding Data)

  • 이승현;서영교;서재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63-868
    • /
    • 2016
  • 본 연구는 다중빔 음향측심 자료를 바탕으로 침몰선박의 정확한 형상 및 해저지형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영상 자료처리를 통해 현재 침몰선박의 상태를 분석하였다. 해당 자료와 과거 조사 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침몰선박 상태 변화 및 주변지형의 변화를 해석하였다. 분석대상 선박 중 퍼시픽프랜드호의 경우 조류에 의한 침 퇴적으로 인해 선수-선미의 지형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7해성호의 경우 2011년 국립해양조사원 영상자료에서는 선수 일부가 유지된 상태였으나, 2015년 조사 영상에서는 선수 일부가 붕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오랜 기간 선박이 해저에 방치되면서 조류 및 화물의 하중 등과 지속적인 부식으로 선체가 붕괴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잔존연료 유출 및 주변 해양오염이 발생할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침몰선박의 영상분석을 통해 침몰선박이 수심과 조류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은 지역일 경우 지질학적 특성과 퇴적물의 침 퇴적 양상에 따라 침몰선박의 구조 안전성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며, 부식으로 인한 선체의 변화는 계속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한 잔존연료 유출 및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하여 침몰선박의 변화에 따라 예측 대응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천안호 침몰해역의 해상조건 분석 (Analysis of the Sea Condition on the Patrol Ship Cheonan Sinking Waters)

  • 김강민;이중우;김규광;권소현;이형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49-354
    • /
    • 2010
  • 2010년 3월 26일 21시 45분경, 백령도 서남쪽 1.6km(1마일)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 천안함이 원인 미상의 사고로 침몰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에 연안공학자의 입장에서는 수색 및 구조에 필요한 기초자료인 해상조건들을 제공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보다 자세한 예측 및 유추가능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것은 뜻깊은 일임에 틀림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백령도-대청도 부근해역의 기상, 파랑, 조석 및 조류, 저질, 부유사 상태 등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해역특성을 분석하였다. 사건당시의 유속상황은 소조기-중조기 사이에 해당하며 사고발생일인 3월 26일이 지나고 4월 3~4일까지는 유속이 가장 강한 대조기가 진행되는 시점으로 수색 및 구조작업에 애로사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21:00-22:00 경은 낙조가 진행 중에 있기 때문에 물질이동은 남동쪽이 우세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불규칙한 해저지형으로 인하여 급격한 와류 등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어 입자추적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입자는 유속상황에 따라서, 초기에는 남동쪽으로 이동하지만 장기 예측결과, 외해쪽으로 흘러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추후, 수색작업의 범위를 외해쪽으로 확대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낙동강 하구 장기조석관측 자료를 이용한 조위의 정밀예측 연구 (A study on the precise prediction of tides using long-term tidal observation data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 박병우;강태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9-269
    • /
    • 2022
  • 최근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 복원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하굿둑 외해측의 보다 높은 정도를 가지는 조석예보치 산정과 이를 통해 하굿둑 방류량과 해수 유입량을 추정하여 주변 환경 등을 예측할 수 있다. 기수생태 복원이 본격으로 논의가 진행 전인 2016년까지는 하구에서 수km 떨어진 기존 조위관측소(부산 및 가덕도)를 활용하여 하류수위를 예측하여 왔지만 조위 높이와 위상 차이로 인하여 활용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낙동강 하굿둑 인접 외해역에서 조석 영향을 받는 수위관측치를 이용하여 조석조화분해를 통해 조위 예측을 보다 정밀하게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방법으로는 낙동강 하굿둑 외해역에서 관측된 2016년, 2017년 각각 1년간 10분간격으로 관측자료의 저장상태 및 이상자료 유무를 확인하고, 조석조화분해 프로그램인 TASK2000(Tidal Analysis Software Kit) Package를 이용하여 2016년, 2017년 낙동강 하굿둑 인접 외해역에서 관측된 조위자료를 각각 조석조화분해한 결과로 관측조위와 예측조위 비교하였고, 관측조위와 예측조위를 뺀 성분인 조석잔차성분을 구했다. 조화분해결과, 낙동강 하굿둑 외해역은 일반적인 연안역의 조석과는 달리 하천수의 유출, 배수갑문의 조작, 연안사주지형에 의한 조석변형 등 매우 복잡하고 불규칙적인 특성인 기상성분(기압, 바람 등)에 의한 교란을 고려한다면 예측정확도가 상당부분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주기 성분과 비선형 조석성분의 크기를 비교해 볼 때 거의 편차가 없이 나타나 조석조화상수를 이용한 예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위검증은 2016년의 1년치의 조석자료를 이용하여 조화분해된 조화상수 63개를 이용하여 2017년의 조석 예보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2017년의 낙동강 하굿둑 외해역의 조석관측치와 조석예측치를 1대 1 비교하는 방식으로 검증하였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두 성분에 대하여 Regression Analysis를 수행하여 예측조위와 관측조위 사이에는 Pre=0.9535×Obs+0.396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두 성분간의 상관도는 0.9535로 높게 나타났다. 조위예측 프로그램인 TASK2000 Package 중 MARIE를 이용한 조위예측 프로그램의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해당년도 조위예측 시에는 가능하면 직전년도의 1년 조석관측자료를 조화분해하고 얻어진 조화상수를 이용하여 조위예측을 실시하면 보다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