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Observation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5초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eposition in Nakdong Estuary)

  • 류승우;김종인;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4-159
    • /
    • 2001
  • Nakdong estuary is located at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 A lot of sediment from upper river was deposited at this area. It has caused many problems such as changes in topography and tidal current. In this paper, field observation data on tidal currents and sediments were investigated as well as historical topographic changes by dredging and reclamation of the foreshore. Then, the numerical model considered the settling velocity of the suspended solids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was appl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deposi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Changes of characteristics of deposition were caused by topographic changes of Nakdong estuary 2. Characteristics of deposition were influenced by river plume and tidal currents. 3. Numerical model which considers settling velocity reappeared distribution of deposition by particle-size. 4. Used model is only resonable for discussion in the quality, so,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new model development is needed including the quatitative deposition processes.

  • PDF

An Experiment of Internal Waves Observation by Synthetic Aperture Radar

  • Junmin, Meng;Jie, Zha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343-1345
    • /
    • 2003
  • An internal wave observation experiment by SAR in South China Sea is described. Two scenes of Radarsat ScanSAR images were acquired. Internal solitary waves are found in all the two images. It is concluded that these internal waves are generated in Bashi channel.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wave generation and tide is studied based on analyzing of tidal data of Legaspi in Philippine. Using ocean environmental data of this sea area internal waves’ amplitude and wave speed are detected by SAR images.

  • PDF

경기만 염하수로에서의 비정규 격자 수치모델링을 통한 조간대 조수로의 고려에 따른 Mass Transport 특성 (Characteristics of Mass Transport Depending on the Feature of Tidal Creek at Han River Estuary, Gyeong-gi Bay, South Korea)

  • 김민하;우승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41-51
    • /
    • 2013
  • 경기만 한강 하구역에 대한 지속적인 연안개발에 따른 해양 환경변화의 예측 및 평가에 수치모델이 사용되어 왔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조간대의 불규칙한 지형 재현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 격자체계의 수치모델을 적용하여 강화남단 조간대에서 조수로 지형에 따른 해상도의 조절이 한강 하구역의 조석과 잔차 수송량 변화특성 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격자 구성 시 조수로의 해상도를 주변 해상도와 동일하게 재현한 실험 A와 조수로의 해상도를 주변의 해상도에 비해 높게 재현한 실험 B를 수행하였다. 각 실험 별 관측치와 모델치의 $M_2$ 분조의 진폭에 대해 평균제곱근오차와 절대상대오차를 계산해본 결과, 두 평균제곱근오차의 차이와 절대상대오차의 차이가 한강 상류와 석모수로 해역에서 약 4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격자 구성 시 조수로의 지형에 따라 해상도를 조절하는 것이 한강 하구역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잔차 수송량의 변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염하수로 입구(초지대교 인근: Line 1)와 염하수로 남단(영종대교 남단: Line 2)에서 관측한 단면유속자료로부터 계산된 잔차 수송량을 모델 별로 비교하였다. 각 실험 별로 산정된 Lagrangian 순 질량 수송량은 각 항마다 정도의 차이는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조수로의 지형에 따라 해상도를 조절하지 않은 실험 A가 해상도를 조절한 실험 B보다 약 2배 이상 과다산정 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조간대의 조수로 지형이 조간대 모의 뿐만 아니라 수치모델의 전반적인 해수 유동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넓은 조간대 및 수심경사가 큰 조수로 지형을 가진 지역에서의 잔차 수송량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치모의 시 조간대의 조수로 지형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격자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새만금 4호 방조제 연결 후 군산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 변화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on Gunsan Tidal Flat after the Closing of the Saemangeum 4th Dyke)

  • 구본주;신상호;우한준;김은수;제종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497-507
    • /
    • 2008
  • With the reduction of tidal currents by the closing of the Saemangeun 4th dyke, sedimentary environments on the Gunsan tidal flat, the nearest inner flat from the 4th dyke, has been severely changed, which might affect macrobenthic assemblages on the habitats.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on Gunsan tidal flat, field surveys were seasonally conducted at seven stations from April 2002 to November, 2005. Sedimentary facies on the study area were shifted into muddominant facies. The fine sediment has been greatly deposited on the tidal flat with accumulation of organic materials after closing the water passage of 4th dyke section. These drastic variations in environments gave rise to change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Since the closure of the 4th dyke, the number of species of macrobenthos has gradually decreased. And the filter feeders and sand-favored species such as Urothoe convexa, Macrophthalmus dilatatus, Umbonium thomasi, and Mactra veneriformis have been replaced by the deposit feeders such as Macrophthalmus japonicus and Ilyoplax pingi. MDS ordination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from forth-root transformed species abundance data show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have passed through three succession stages from 2002 to 2005. During the third stage of 2005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Prionospio japonica, Heteromastus filiformis and Sinocorophium sinensis increased in population on the tidal flat.

새만금해역에서 밀도성층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Density Stratification in the Saemangeum Waters, Korea)

  • 김태인;이형래;장경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339-352
    • /
    • 2006
  • Seasonal and tidal variations of density stratification in the Saemangeum waters are investigated based on synoptic CTD observations between July 2003 and September 2005. CTD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ose obtained after closing the dike No. 4 and before closing the two final gaps, the Sinsi and the Garyeok, on the Saemangeum tidal harrier. A total of 19 field campaigns comprehend a wide temporal spectrum, that is, few seasons, spring and neap tides, and high and low waters. In addition, ADCPs were anchored and CTDs were cast at three stations for 25 h in July 2005. Water columns are vertically homogeneous in autumn and winter. The vertical homogeneity persists in spring but with an occasional weak stratification in i:he nor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Increased reshwater runoff tends to stabilize the water columns and strong density stratification is established in summer. The mean potential energy anomaly (PEA) in summer used as a stratification parameter is the largest $(27.7\;J\;m^{-3})$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where the Geum River discharge dominates, the smallest $(16.9\;J\;m^{-3})$ is in the inner area of the barrier, in between the two $(21.6\;J\;m^{-3})$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Whereas the stratification is generally strengthened in summer, strong winds or large tidal currents over the shallow depths frequently destratify the water column near the mouth of river runoff inside the tidal barrier. Periodic stratification, the development of stratification on the ebb and its breakdown on the flood, occurs in the mid-area inside the barrier induced by the tidal straining, which can also be found in the results of 25 h observation.

금강하구역의 수동력학적 변화 (1)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Hydrodynamic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1) - By Field Observed Data Analysis -)

  • 서승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17
    • /
    • 1998
  • 다양한 공사가 진행되는 금강하구의 수동역학 변화를 조석 및 조류 그리고 수심변화등의 관측자료를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2년여에 걸쳐 수집된 수심측정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군산외항부근의 도류제 축조구간에서는 뚜렷한 조류속도의 증가와 연평균 50 cm에 다다르는 세굴이 진행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군장산업단지조성호안공사 및 새만금4호 방조제 축조 내면 간사지에서는 가을철 2개월에 30cm의 퇴적이 관측되는 등 유속의 둔화와 함께 퇴적이 급속히 진전되는 현상으로 수동역학의 전이 현상이 나타나 공사로 인한 금강하구의 수동역학체계는 매우 급격하게 변화됨을 보인다

  • PDF

벵갈만의 조석 (Modelling of Tides in the Bay of Bengal)

  • 최병호;고진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90-297
    • /
    • 1994
  • 연근해에서의 위성고도계자료의 정확도가 향상됨에 따라 기존에 알려진 Schwiderski의 모형보다 더 정확한 조석모형으로 위성고도계자료에서의 조석성분에 대한 보정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벵갈만은 방글라데시 연안북측에서 발생하는 폭풍해온과 조석의 영향을 현저히 받는 해양특성으로 인해 해양학적 측면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 초기단계로 벵갈만 전체에 대해 1/4$^{\circ}$ 격자체계의 조석모형을 수립하여 반일주조 (M$_2$, S$_2$, $N_2$, $K_2$)와 일주조 (K$_1$, $O_1$, P$_1$)에 대한 수치모형실험이 이루어졌다. 계산결과들은 기존의 Schwiderski의 조석도 및 관측자료들과의 비교ㆍ검토가 이루어졌다.

  • PDF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1999년부터 2017년까지 최저와 최고 천문조위 계산 (Estimation of the Lowest and Highest Astronomical Tides along the west and south coast of Korea from 1999 to 2017)

  • 변도성;최병주;김효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4호
    • /
    • pp.495-508
    • /
    • 2019
  • 조석현상이 뚜렷한 연안에서 항해, 연안 구조물 설계, 해양영토 획정, 침수범람 예보 등을 위하여 여러 조위 기준면들(tidal datums)이 사용된다. 우리나라 수로학 분야와 해안공학 분야에서는 수심을 측량하는 기본 수준면(datum level)으로 약최저저조위(ALLW)를 사용하고, 해안선과 안전수직높이(vertical clearances) 기준면으로는 약최고고조위(AHHW)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미국, 호주, 영국을 포함하여 국제적으로는 최저 천문조위(LAT)와 최고 천문조위(HAT)를 기본 수준면과 안전수직높이의 기준면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해안과 남해안 9개 조위 관측소에서 19년(1999-2017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관측한 해수면 높이 자료를 '19년 벡터평균 분석', '19년 연속 분석', '1년 연속 분석' 방법으로 각각 1분 간격으로 19년간 예측한 조위로부터 LAT와 HAT를 계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19년 연속 관측자료의 조석 조화분해와 19년 연속 조석 예측에 모두 적합한 UTide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각 조위 관측소에서 '19년 벡터평균 분석'과 '19년 연속 분석' 방법으로 각각 계산한 LAT 또는 HAT 값들의 차이는 대부분 ±1 cm 미만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 두 방법은 서로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생산하였다. 반면에 각 조위 관측소에서 19년간 연속 관측한 자료를 연별로 19개로 나누어 각각 1년 자료씩 조석 조화분해한 후 각각 19년간 조위를 예측한 '1년 연속 분석' 방법은 서로 크게 다른 19개의 LAT와 HAT 값들을 산출하였으며, 그 19개들의 표준편차는 3~7 cm이었다. '1년 연속 분석' 방법으로 구한 이들 값들은 '19년 연속 분석' 방법으로 산출 값과 비교하면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LAT는 -16.4~10.7 cm의 차이를 보였으며, HAT는 -8.2~14.3 cm의 차이를 보였다. 계산된 LAT와 HAT를 ALLW와 AHHW와 정량적으로 비교했을 때,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LAT는 ALLW보다 평균적으로 46.2 cm 더 낮았으며, HAT는 AHHW보다 평균적으로 33.6 cm 더 높았다. 이러한 차이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분조는 ALLW와 AHHW 계산에 고려되지 않은 진폭이 비교적 큰 Sa와 N2 분조이었다. 또한 천해분조가 강하게 발달한 내만에서는 M4와 MS4 분조가 추가적으로 그 차이에 상당히 기여하였다. LAT와 ALLW 간 차이와 HAT와 AHHW 간 차이가 같지 않은 이유는 ALLW와 AHHW를 계산할 때는 주요 4대 분조의 진폭만을 사용하지만 LAT와 HAT를 계산할 때는 실질적으로 67개 분조의 진폭뿐만 아니라 지각도 사용하기 때문이다.

AQUACULTURE FACILITIES DETECTION FROM SAR AND OPTIC IMAGES

  • Yang, Chan-Su;Yeom, Gi-Ho;Cha, Young-Jin;Park, Dong-U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20-323
    • /
    • 2008
  •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a system extracting and monitoring cultural grounds of seaweeds (lavers, brown seaweeds and seaweed fulvescens) and abalone on the basis of both KOMPSAT-2 and Terrasar-X data. The study areas are located in the northwest and southwest coast of South Korea, famous for coastal cultural grounds. The northwest site is in a high tidal range area (on the average, 6.1 min Asan Bay) and has laver cultural grounds for the most. An semi-automatic detection system of laver facilities is described and assessed for spacebome optic images. On the other hand, the southwest cost is most famous for seaweeds. Aquaculture facilities, which cover extensive portions of this area, can be subdivided into three major groups: brown seaweeds, capsosiphon fulvescens and abalone farms. The study is based on interpretation of optic and SAR satellite data and a detailed image analysis procedure is described here. On May 25 and June 2, 2008 the TerraSAR-X radar satellite took some images of the area. SAR data are unique for mapping those farms. In case of abalone farms, the backscatters from surrounding dykes allows for recognition and separation of abalone ponds from all other water-covered surfaces. But identification of seaweeds such as laver, brown seaweeds and seaweed fulvescens depends on the dampening effect due to the presence of the facilities and is a complex task because objects that resemble seaweeds frequently occur, particularly in low wind or tidal conditions. Lastly, fusion of SAR and optic spatial images is tested to enhance the detection of aquaculture facilities by using the panchromatic image with spatial resolution 1 meter and the corresponding multi-spectral, with spatial resolution 4 meters and 4 spectrum bands, from KOMPSAT-2. The mapping accuracy achieved for farms will be estimated and discussed after field verification of preliminary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