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Fluctuation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1초

서울지역 지하수시스템의 수문지질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 (GIS Application to Urban Hydrogeological Analysis of Groundwater System in Seoul Area)

  • 김윤영;이강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103-117
    • /
    • 1999
  • 도시지역에서 지하수 산출특성, 흐름 및 오염현상은 인위적인 양수, 지하구조물, 다양한 오염원 지면 포장으로 인한 지하수 함양의 국지적 변동 등의 영향을 받는 매우 복잡한 특성을 가진다. 서울지역 지하수시스템을 분석하기 위해 지리정보시스템 환경에서 수문지질학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지하수 수위변화의 주요인은 한강수계, 지하철 지형, 강우 등이고 이들을 이용하여 지하수시스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자료와 분석결과를 ARC/INFO에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하고 실세계의 현상과 비구 분석하였다. 구축된 내용은 지하수 오염원의 분포, 대수층의 수리상수, 한강수위 변화에 대한 지하수 영향간 지하철 역사의 대규모 양수로 인한 지하수시스템의 변화 둥이다. 자료의 특성에 맞는 자료 형태로 저장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조위 변화가 지하수 해수침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idal Fluctuation on Seawater Intrusion in Groundwater)

  • 남병희;박남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9-139
    • /
    • 2017
  • 우리나라 수자원의 잠재적 문제점중 하나는 단일 하천 혹은 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한반도의 지형, 기상, 경제성 등의 요인에 의해 야기된 결과이기도 하지만, 지하수 수자원의 불확실성과 적정 관리의 어려움에서 기인하였다. 지하수는 유속이 매우 느리며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지하수 과잉개발 및 오염 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지하수자원을 활용하지 않고 무작정 보존하기 보다는 많은 연구개발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수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해안에 위치한 지하수개발관정의 경우 바닷물이 대수층을 통해 침투하여 지하수관정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해안지하수의 주된 오염 원인은 과잉양수로 해수침투를 야기한 결과이다. 이러한 경우 수질을 회복하기까지 수년이 걸리게 되며, 그동안 취수원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해수면상승에 따른 해수침투길이가 길어져 기존의 해안지역 지하수의 오염위험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에서 해안지하수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해안지하수 수치해석연구에서는 해안경계에 평균해수면(MSL)이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위변화가 지하수위 및 해수침투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조위변동(潮位變動)으로 인한 호안제내(護岸堤內)의 침투(浸透) (Seepage in to a Dike due to Tidal Fluctuation)

  • 김상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71-84
    • /
    • 1985
  • 포화(飽和) 및 비포화(非飽和) 흐름을 함께 적용할 수 있는 transient flow 방정식(方程式)을 사용하여 조위(潮位)의 상계(上界) 하강(下降)에 따른 호안제(護岸堤) 내(內) 수두(水頭의) 시간적(時間的) 변화(變化)를 구하였다. 계산(計算)은 FEM 기법(技法)을 써서 흙 속의 흐름 문제를 해석하도록 개발(開發)된 전산(電算)프로그램 FLUMP로 행 하였는데, 본(本) 연구(硏究)에서 조위상승시(潮位上昇時)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이것을 일부분(一部分) 보완(補完)하였다. 호안제(護岸堤)는 두 가지 재료(材料)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10m의 일정(一定)한 조차(潮差)로 인한 제체(제체) 내(內) 수두(水頭)의 시간적(時間j的) 변화(變化)를 최대 96 시간까지 계산하였다. 제체(堤體) 배면(背面)의 지하수위(地下水位)는 최저(最低) 조위(潮位)로부터 0 m, 5 m, 및 10 m의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고 제체(堤體) 내(內) 수두(水頭)가 지하수위(地下水位)의 위치에 따라 어떻게 평형되어가는가 알아보았다. 해석결과(解析結果)에 의하여 조위(潮位) 상계(上界) 하강(下降)에 대응(對應)하여 제체(堤體) 내(內) 수두(水頭)도 변화(變化)하나 수두(水頭)의 변화진폭(變化振幅)은 위치마다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卽), 제체(堤體)의 상류면(上流面) 지단(趾端)에서 수두(水頭)의 진폭(振幅)이 가장 크고 상류면(上流面)에서 제체(堤體) 내(內)로 멀어질수록 진폭(振幅)은 차츰 줄어들며, 어느 위치를 넘어서면 수두(水頭)는 조위변동(潮位變動)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제체(堤體) 배면(背面)의 지하수위(地下水位)에 상응(相應)하는 어떤 평형된 수두(水頭)를 향(向)하여 안정(安定)되어간다. 제체(堤體)가 일시(一時)에 축조되었다고 가정하면 96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제체(堤體) 내(內) 수두(水頭)는 안정(安定)된 위치로 대락(大略) 접근(接近)하였다.

  • PDF

한강의 홍수규모에 따른 인도교수위의 조석영향분석

  • 이종태;한건연;서병하
    • 물과 미래
    • /
    • 제26권2호
    • /
    • pp.67-77
    • /
    • 1993
  • 한강하구 조위가 인도교 지점의 홍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NETWORK 모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90년의 세 홍수와 2,000~20,000CMS 간 8개의 규모별 가상홍수에 대하여 조석영향성분을 계산하였으며, 홍수량이 커질수록 조석영향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홍수량이 2,000CMS 이하일 경우에는 조석의 영향으로 약 50Cm 이상의 수위상승을 보여주었으나, 홍수예경보 기준홍수위 4.5m (7,000CMS)에서는 약 9cm에 불과하였으며 이 이상의 홍수규모에서 조석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계산되었다.

  • PDF

감조하천 홍수위 계산의 불확실성과 저감 대안 - 임진강 하류를 대상으로 (Uncertainty of Evaluating Design Flood and Mitigation Plan at Downstream of Imjin River)

  • 백경오;권혁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2-137
    • /
    • 2018
  • Compared with general rivers, fluctuations of the water level and the river bed are severe in the tidal river. In hydro-dynamic aspect, such fluctuation gives different river-bed data to us according to observing period. The time-dependent river-bed data and pre-estimation of the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which is the key factor of numerical modelling induces uncertainty of evaluating the design flood level. Thu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calculate the flood level at tidal rivers than at general rivers. In this study, downstream of the Imjin River where is affected by tide of the West Sea selected as a study site. From the numerical modelling, it was shown that the unsteady simulation gave considerable mitigation of the water level from the starting point to 15 km upstream compared to the steady simulation. Either making a detention pond or optional dredging was not effective to mitigate the flood level at Gugok - Majung region where is located in the downstream of the Imjin River. Therefore, a more sophisticated approach is required to evaluate the design flood level estimation before constructive measures adopted in general rivers when establishing the flood control plan in a tidal river.

도수 롤러의 거동 분석을 위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Oscillatory Behavior of Hydraulic Jump Roller)

  • 박문형;김형석;최서혜;류용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319-325
    • /
    • 2018
  • 본 연구는 도수(hydraulic jump)의 롤러(roller)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영상기법을 이용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석단파(tidal bore)의 거동 특성의 이해에 적용하기 위해 하류심 상승에 따른 도수 전면부의 파형과 변동성을 검토하였다. 도수의 변동성을 고려한 앙상블평균 기법을 적용하여 얻은 파형을 제시하여 시간평균 결과와 비교하였다. 앙상블평균의 기준이 된 도수시작점의 시간적 변화로부터 도수 전면부의 변동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하류심 상승에 따라 전면 파형은 완만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작점 변동성은 감소하였다.

천수만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Spatiotemporal Fluctu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Cheonsu Bay, Yellow Sea)

  • 추효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90-100
    • /
    • 2021
  • In the north and northeast of Cheonsu Bay, short-term fluctuations of surface water temperature are large owing to shallow water depth, weak current, and freshwater runoff. However, in the south of the bay,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s are small owing to the inflow of offshore water by tidal currents.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north of the bay is higher in spring and summer than in the south of the bay, but lower in autumn and winter. During spring season, the fluctuation in the northern surface water temperature is the highest. The temperature fluctuations owing to tides are in phase with the tide in autumn and winter, and in the reverse phase with the tide in spring and summer. The dominant periods of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s are half a day, daily, 15 days, and 1 month owing to the tide and 7 to 10 days, which are estimated based on atmospheric factors. Half a day and daily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s are also highly correlated with air temperature and wind fluctuations. The sea area where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s are highly correlated is divided into the north and south of the bay. The fluctuation phase is faster in the north of the bay than in the south or in the center.

Issues i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for fixed-type offshore structures under harsh tidal environments

  • Jung, Byung-Jin;Park, Jong-Woong;Sim, Sung-Han;Yi, Jin-Hak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5권2호
    • /
    • pp.335-353
    • /
    • 2015
  • Previous long-term measurements of the Uldolmok tidal current power plant showed that the structure's natural frequencies fluctuate with a constant cycle-i.e., twice a day with changes in tidal height and tidal current velocity. This study aims to improv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techniques for offshore structures under a harsh tidal environment like the Uldolmok Strait. In this study, lab-scale experiments on a simplified offshore structure as a lab-scale test structure were conducted in a circulating water channel to thoroughly investigate the causes of fluctuation of the natural frequencies and to validate the displacement estimation method using multimetric data fusion. To this end, the numerical study was additionally carried out on the simplified offshore structure with damage scenarios, and the corresponding change in the natural frequency was analyzed to support the experimental results. In conclusion, (1) the damage that occurred at the foundation resulted in a more significant change in natural frequencies compared with the effect of added mass; moreover, the structural system became nonlinear when the damage was severe; (2) the proposed damage index was able to indicate an approximate level of damage and the nonlinearity of the lab-scale test structure; (3) displacement estimation using data fusion was vali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displacement using the vision-based method.

울돌목 수로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Udolmok Waterway, Korea)

  • 유정규;정정호;남은정;명철수
    • 환경생물
    • /
    • 제24권2호
    • /
    • pp.201-211
    • /
    • 2006
  • 울돌목 수로에서 요각류 35개 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55개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연안종은 계절적인 종천이를 보였으며, 난류 외양성 종은 전 조사 시기에서 출현하였다. 분류군 수는 창조 시 저조에서 고조로 갈수록 증가하며 낙조 시 고조에서 저조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따라서 울돌목 해역은 연중 외해수 영향에 따른 외양종의 유입으로 동물플랑크톤 종조성에 영향을 받는다. 전체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은 $104\sim2,717indiv.m^{-3}$의 범위를 나타내며 2003년 8월에 가장 높고 2004년 2월에 가장 낮았다. 조석주기에 따른 현존량 변화에서 11월과 2월에 시간적 변이성이 크고 불규칙적인데 반해 8월과 4월에는 비교적 규칙적인 변화 추세를 나타냈다. 8월과 4월에는 창조 및 낙조에서 조류가 가장 강한 시간에는 낮은 출현 개체수가 나타났으며, 조류가 약해질수록 개체수가 증가하여 고조 및 저조에서 개체수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Paracalanus indicus, Cirripedia nauplii, Acartia hongi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우점종은 창조보다 낙조에서 평균 개체수가 대략 2배 정도 높았다. 그러나 창조 및 낙조 내에서도 개체수의 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조석주기에 따른 수온, 염분, 그리고 엽록소 a등 환경변화가 작았다. 따라서 울돌목 해역에서는 강한 조류와 지형적인 조류 속도 차에 의해 형성된 와류 등이 개체군 확산, 이동 그리고 손실에 영향을 미쳐 시간적으로 복잡하고 불규칙한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보인다.

염하수로 인근에서 조석 변형과 장주기 조류성분의 변동 특성 (Periodic characteristics of long period tidal current by variation of the tide deformation around the Yeomha Waterway)

  • 송용식;우승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93-400
    • /
    • 2011
  • 경기만과 같이 지형이 복잡하고 조차가 큰 해역에서는 활발한 물질순환이 나타난다. 이러한 물질순환에 영향을 주는 장주기 흐름은 다양한 외력에 의하여 형성되며 시공간적으로 독특한 특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만에 위치하는 인천항부터 잠실수중보 사이에서 동기간에 관측된 조위와 유속자료를 분석하여 장주기 조류성분의 주기적인 변화 특성과 발생 기작을 파악하였다. 염하수로와 한강하구에서는 배조나 복합조와 같은 비선형분조의 증가로 인하여 조석파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평균해면 상승이 나타난다. 경기만으로부터 한강으로 전파하는 조석파는 수로폭과 수심이 크게 감소하는 염하수로로 진입하면서 급격히 변형되어 저조위와 평균해면이 상승하며, 상류로 갈수록 조석변형이 커진다. 이러한 조석변형은 조차가 큰 대조기에 증가하고 조차가 작은 소조기에 감소하며 주기적인 변동을 나타내는데, 이는 장주기 조석성분인 $M_{sf}$ 분조로 해석될 수 있다. 조석변형의 공간적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해면 경사는 대조-소조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를 보이며 대조기에 증가한다. 해면 경사의 장주기 변동에 반응하여 조류의 장주기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장주기 조류성분은 상류에서 크게 증가하여 한강하류인 전류리 인근에서는 주요 분조인 $S_2$ 분조보다 크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