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Flats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5초

보령 갯벌의 인위적 영향 및 생물학적 요인에 따른 대형저서동물 군집 변화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Depending on the Anthropogenic Impact and Biological Factors of Boryeong Tidal Flat, Korea)

  • 전승렬;옹기호;이지호;정윤아;구준호;오광석;박종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8권4호
    • /
    • pp.143-157
    • /
    • 2023
  • 본 연구는 바지락과 쏙의 서식 구역이 대비되는 보령 주교 갯벌의 인위적인 환경 영향에 의한 저서동물 군집 특성을 확인하였다. 조사 기간 내 대형저서동물은 총 55종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서식밀도는 338 ind./m2, 생체량은 212.2 gWWt/m2이었다. 출현 종수는 상부(27종)에서 하부(37종)로 갈수록 증가하였고, 우점종은(상부: 둥근가시사자머리참갯지렁이, 중부: 고리버들갯지렁이, 하부: 바지락) 조위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집괴분석과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상위 10종의 저서동물 군집구조는 하부의 바지락 어장과 쏙 서식공 밀도가 높은 중부 정점 중심의 두 그룹으로 나뉘며, 특정 생물 종의 영향을 반영하였다. 쏙 서식 공간의 퇴적물 입도 조성은 변동 폭이 컸으나 연간 유지되었으며, 분급은 2.1 𝜑로 낮아져 같은 입자로 구성된 비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중부는 인위적인 영향이 높음에도 고리버들갯지렁이가 우점하고, 쏙 서식공 밀도와의 연관성을 보여 이는 종간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갯벌 조간대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지역별 중금속 농축 변화 (Spatial Variations of Heavy Metal Accumulation in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Some Selected Intertidal Flats of Korea)

  • 안인영;지정연;최희선;표세홍;박현;최진우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215-224
    • /
    • 2006
  • Spatial variation of heavy metal accumulation was investigated in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collected from several tidal flats. Sediment metal levels varied highly among the sites, which was attributed primarily to differences in Fe and organic carbon contents and in part to gain siz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tal concentrations also were found in the clam tissue among the different sampling sites. However, except for a few metals (Mn, Zn, Pb), which showed some elevation, the variations in the clam tissue were not related to the variations in the sediment. This is likely because most metals in filter-feeding herbivores such as R. philippinarum accumulated as a result of feeding on suspended particles such as phytoplankton and organic detritus in the water column, not in bottom sediment. In addition, tissue weight for a specific shell size varied significantly among the sites, and increased tissue mass indicating a good nutritive condition likely caused a subsequent dilution of body metals leading to reduced weight-specific concentrations of some metals (Cd, Zn, Cu, Co).

충남 갯벌 저서환경과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변화 (Benthic Environment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at the Tidal Flats in Chung-nam, Korea)

  • 김종춘;마채우;정윤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04-115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April-June in 2008 and 2010, following the Taean Oil Spill. We measured year-to-year changes in benthos species abundances and composition in 16 intertidal zone regions of Chungcheongnam-do. In total, 154 species were found 2008 and 134 in 2010; the mean abundance per area was $403ind./m^2$ and $242ind./m^2$, respectively. In 2008, the 10 dominant species included four species of arthropods, three species of annelids, and three species of mollusks. In 2010, dominant species included five species of annelids, three species of mollusks, one species of arthropods, and one other species. We used bray-curtis similarity to group species and found two groups in 2008 and five in 2010, complementing our NMDS analysis. Finally, we tested correlations between abiotic and biotic factors, and implemented a BIO-ENV analysis, which showed that sediment type, MZ (Phi), and organic content are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benthos in the Chung-nam tidal flats.

해양매립사업 환경영향평가의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he EIA for Land Reclamation Projects in the Coastal Areas of Korea)

  • 장주형;엄기혁;권기영;홍석진;박재현;김귀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847-853
    • /
    • 2007
  • In Korean coastal areas, land reclamations are main development projects that should be based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because those human interventions can change coastlines, damage tidal flats, and pollute adjacent areas to threat seafood safety and devaluate overall ecosystem service value. Existing procedures of the EIA for land reclamation projects were diagnosed and evaluated to enhance them. Problems were identified in the designation of survey areas, the consistency in survey sites and periods, the standardization of survey methods and reports, the confidence of survey results and the verification of predictions. Lack of integration was noticeable and could be improved by synthesizing different assessments from topography geography, marine physics, marine chemistry and marine biology. We suggest that successful precautionary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requires readjusting the cost of EIA, recruiting experts in marine environment, constructing database and establishing specialized assessment system.

서해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 on the Tidal Flat of Garolim Bay, West Coast of Korea)

  • 신상호;구본주;제종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7-72
    • /
    • 2004
  • 충청남도 가로림만 갯벌에서 대형저서동물상 파악을 위하여 갯벌 49개 정점에서 채니기를 이용하여, 2002년 7월에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가로림만 갯벌에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은 총 8개 분류군에 총 147종, 5,586개체가 채집되었고, 평균 서식밀도는 1,140개체/$m^2$, 평균 생물량은 $157.2g/m^2$로 나타났다. 출현종수에서는 갯지렁이류가 64종으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출현 서식밀도에서도 갯지렁이류가 791개체/$m^2$로 전체 출현 개체수의 약 69.4%를 차지하였다. 가장 우점한 종은 버들갯지렁이류 일종인 Mediomastus californiensis였으며, 평균 서식밀도는 347개체/$m^2$(30.5%)였다. 두 번째로 많은 출현개체수를 보인 종도 버들갯지렁이류의 일종인 Heteromastus filiformis였으며, 평균 서식밀도는 224개체/$m^2$였다. 상기 두종은 조사해역 대부분의 정점에서 출현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체동물은 서해비단고둥(Umbonium thomasi), 댕가리(Batillaria cumingi),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등이 조사해역에서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평균 서식밀도가 각각 45, 42, 32개체/$m^2$이었다. 서해비단고둥은 조립질의 퇴적상인 가로림만 입구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였고, 바지락은 수로 인근 지역에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 집괴분석결과, 각 정점들은 7개의 정점군으로 구별되었는데, 각 정점군의 퇴적물에 따라 구별되었다. 가로림만 갯벌과 다른 갯벌의 종 풍부도를 비교한 결과, 가로림만 갯벌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 PDF

LOICZ 모델을 이용한 곰소만, 근소만 갯벌어장 물질수지 산정 (Mass Balance Using the LOICZ Model in Gomso and Geunso Bays)

  • 최용현;조윤식;최윤석;전승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869-877
    • /
    • 2017
  • 최근 전북 지역은 바지락 생산량이 감소하여 2015년에 전국 생산량의 17.8 %를 차지한 반면, 충남 지역은 점차 증가하여 49.1 %를 차지하였다. 갯벌은 다양한 저서생물이 서식하고 있고, 조석에 의해 물질이 유출 입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만의 특성을 고려한 물질 수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5월과 8월에 곰소만과 근소만의 바지락 어장 지역과 외해지역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3개의 해역(Sector I, Sector II, Control)으로 구분하고, LOICZ Model을 이용하여 물질수지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바지락 성장이 활발한 5월에 바지락 양식장이 밀집한 곰소만과 근소만 Sector II의 DIP는 각각 -207.2 kg/day와 77.2 kg/day로 나타났고, DIN은 -4,996.7 kg/day와 926.6 kg/day로 나타났다. 주로 양식생물의 섭식작용에 큰 원인으로 보이며, 근소만보다 곰소만에서 바지락 밀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건강한 갯벌 생태계 유지와 지속적인 바지락 생산을 위해서는 밀식을 저감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A Preliminary Study on Changes in Macrobenthic Assemblages in the Fenced Experimental Plots for Restoring Tidal Marsh, Hogok-ri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Koo, Bon-Joo;Je, Jong-Geel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63-71
    • /
    • 2002
  • This preliminary study on the changes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experimental sediment fences was conducted as a part of tidal marsh restoration project. Intertidal sediment fences were design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pping sediments on unvegetated tidal flats in order to raise sediment elevation and to allow colonization of intertidal vegetation. Although increment of soil surface level was not observed over the first three months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obtain some effects of the sediment fence. Three months later, the particle sizes of the surface sediment at experimental plots became much finer compared to unfenced areas on the natural mudflats located in the same tide level as that of the plots. The difference was much greater on the plot with drainage canals than on the plot without ones. Species diversity of the experimental plots became much higher than that of natural sites. Perinereis aibuhitensis and Glauconome chinensis which were absent from initial community appeared with high density in the plot with drainage canals. Those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bundance between the experimental plot and the natural mudflat.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were not detected in another experimental plot without drainage canals.

초고해상도 무인항공기 영상을 이용한 한국 황도 갯벌의 미세 퇴적 구조 특성 분석 (Analysis of Micro-Sedimentary Structure Characteristics Using Ultra-High Resolution UAV Imagery: Hwangdo Tidal Flat, South Korea)

  • 김민주;백원경;정회수;유주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95-305
    • /
    • 2024
  • 본 연구는 초고해상도 무인항공기 자료를 활용하여 황도 갯벌의 미세 퇴적 구조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갯벌은 육지와 바다 사이의 전이 지역으로서 조석 활동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며, 퇴적 과정과 환경 조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독특한 환경을 제공한다. 기존의 현장 관측 방법은 공간적 및 시간적 범위에 한계가 있고, 기존 위성 영상은 미세한 퇴적 구조를 연구하기에 충분한 해상도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황도 갯벌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촬영하였다. 황도 갯벌은 방조제 건설과 같은 해안 개발 프로젝트로 인해 퇴적 환경이 크게 변화한 지역이다. 2022년 5월 17일부터 18일까지 현장 관측을 통해 91개의 지점에서 퇴적물 샘플을 수집하였으며, 그중 25개의 주요 지점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약 0.9 mm의 공간 해상도를 가진 무인항공기 자료를 이용하여 미세 퇴적 구조의 파라미터(Parameter)를 식별하고 추출하였다. 건열에서는 다각형 장축의 길이를 추출하였고, 연흔에서는 파장과 연흔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대표적인 지표인 연흔 대칭 지수(Ripple Symmetry Index)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니질 함량이 80% 이상인 지역에서는 평균 37.3 cm 간격의 건열이 형성되었으며, 사질 함량이 60% 이상인 지역에서는 평균 파장이 8 cm, 연흔 대칭 지수가 2.0인 연흔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초고해상도 무인항공기 자료를 활용하여 인간의 도보에 의한 현장 관측 없이도 갯벌의 미세 퇴적 구조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는 환경 모니터링 및 해안 관리에서 중요한 도구로써 무인항공기 기술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무인항공기 자료가 퇴적 구조 연구에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정밀한 퇴적상 분류를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안의 갯벌 중에 유기주석화합물 및 새로운 방오도료제의 분석 (Analysis of Butyltin Compounds and New Antifouling Agents in the Southwestern Korean Tidal flats)

  • 이성언;유재범;박재홍;이용우;원호식;이동섭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2
    • /
    • 2008
  • 유기주석화합물의 사용금지와 새로운 방오도료제의 사용으로 한국의 연안 환경은 매우 많은 변화를 겪었다. 1998년도에 측정된 서남해안 갯벌이 있는 동일한 지역을(8지역) 기준으로 하여 유기주석화합물 및 새로운 방오도료제의 농도를 8지역에 주변까지 포함하여 총 39지점을 2006년도에 측정하였다. 2006년도의 TBT의 농도는 인천 (It1)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1998년에 비해 상당히 감소되었다. 제부도(Jt2),목포(MOt4)그리고 순천(SUt3)에서는 검출한계 이하로 검출되었다. 이것은 2003년 한국내에서 TBT화합물의 사용금지에 기인한 결과로 예측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대부분의 샘플링 지역에서 새로운 방오도료제인 Irgarol 1051, Dichlofluanid과 Chlorothalonil이 검출되었다. 이 중 특히 Irgarol 1051은 한국 연안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제부도 (Jt4)에서는 Irgarol 1051이 159.45 ng $g^{-1}$(dry wt)로 검출되어 측정지점 중 가장 높게 검출이 되었다. 이 결과로 볼 때 2003년을 기점으로 한국 연안에서의 TBT화합물은 점진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고, 새로운 방오도료제가 쉽게 검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서해안 갯벌의 춘·하계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os in Tidal Flat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in Spring and Summer)

  • 옹기호;전승렬;구준호;박종우;정희도;강정하;조윤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00-509
    • /
    • 2021
  • 본 연구는 서해안 갯벌의 퇴적물 환경 및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특성과 건강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강화도부터 전남 목포까지 2017년 4월(춘계)과 8월(하계), 2018년 4월(춘계)에 실시하였다. 충남 권역의 퇴적물 입도는 조립하였으며, 경기·인천 권역, 전북 권역, 전남 권역의 퇴적물은 세립하였다. 대형저서동물은 총 140종으로, 대형저서동물 군집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대형저서동물군집은 4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Group2는 바지락 어장 정점이 포함되었으며, 바지락(Ruditapes phillipinarum)과 남방백금갯지렁이(Nephtys polybranchia)와 짧은다리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nipponica)가 우점했다. Group4에는 퇴적상이 세립한 정점이 포함되었으며, 작은부채발갯지렁이(Eteone longa)와 유형동물(Nemertea unid.)이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서해안 갯벌의 건강도 분석 결과, ISEP, BHI지수에서 대체로 'High (가장 양호)'상태를 나타냈으며, AMBI지수는 'Good (양호)'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서해안 갯벌의 건강도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 오염지시종인 아기반투명조개(Theora lata), 등가시버들갯지렁이(Capitella capitata) 등이 출현하므로 갯벌 환경이 악화되지 않도록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