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Channels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7초

How Much Power can be Obtained from the Tides?

  • Garrett, Chris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6년 창립20주년기념 정기학술대회 및 국제워크샵
    • /
    • pp.74-79
    • /
    • 2006
  • General formula are presented for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the tidal head in a closed basin and from the tidal currents in a channel connecting two large bodies of water. In the latter case, the available energy cannot be estimated from the kinetic energy flux in the undisturbed state, but can be obtained from knowledge of the tidal head between the ends of the channel and the maximum volume flux in the undisturbed state. The results are supported by detailed calculations for Johnstone Strait, British Columbia, using a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The model also allows an extension to the case of multiple channels. More work is needed to allow for partial tidal fences which do not occupy the whole cross-section of a channel.

  • PDF

조석에너지의 수평적 순환 (On Tidal Energy Horizontal Circulation)

  • Nekrasov, Alexey V.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68-177
    • /
    • 1992
  • 해양에서의 조석에너지의 수평적순환에 대한 양상은 반조석주기를 통한 순간플럭스의 궤적인 “에너지 플럭스 타원”의 개염을 적용하여 서술하였다. 이 타원의 특성과 여러 형태의 조석파(평면, Kelvin, Sverdrup, Poincare 및 무조점)체계에서의 에너지플럭스장의 특성이 고려되었다. 적도 또는 위도에 평행한 수노에서의 강제조석파는 여러 수노제원에서의 에너지플럭스 방향에 종속됨을 설명하였다.

  • PDF

Accelerated Seaward Growth of Tidal Sand Bar during Giant Dyke Construction off the Mangyung River Mouth, West Coast of Korea

  • Lee, Hee-Jun;Choi, Kang-Won;Eo, Dae-Su;Chu, Yong-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6권3호
    • /
    • pp.72-82
    • /
    • 2001
  • The progress of giant dyke construction off the Mangyung and Donajin rivers, has yielded enormous impact on the estuarine environment, both hydrodynamically and sedimentologically. Especially the inter-dyke gap in the northern Saemankeum area, 4 km wide between Yamido and Piungdo, has acted as an artificial tidal inlet. Due to such a changed geometry, tidal regime has been reversed from being flood- to ebb-dominated with a directional change from NE-SW to E-W. As a result, a large tongue-like tidal sand bar (named Saemankeum Bar) has conspicuously grown seaward through the artificial tidal inlet. The Saemankeum Bar composed of well-sorted very fine sands (3.0-3.5${\phi}$) has grown at a rate of 1.63 km/yr for the past three yews (1996-1998). Such a rapid growth of the sand bar is attributed to enhanced sediment supply derived from the degradation of former tidal sand bars at the mouth of the Mangyung River. Eventually the reworking of the tidal sand bars also caused the pre-existing tidal channels to be wider, deeper and more straightened. All of these phenomena well examplify the critical effect of artificial modifications on the natural estuarine environments.

  • PDF

경기만 조석 잔차류 산정 및 변동성 (Estimation of Tidal Residual Flow and Its Variability in Kyunggi Bay of Korea)

  • 김창식;임학수;김진아;김선정;박광순;정경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353-360
    • /
    • 2010
  • 경기만은 한강과 임진강 수계의 하구역을 중심으로 황해의 중부해역을 잇는 매우 중요한 해역이다. 특히 경기만 해역의 연안개발로 인한 하구습지와 연안습지의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갯벌과 해저 퇴적체의 변화에 대한 이해와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조석 잔차류의 역할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Kim et al., 2009). 하지만 경기만에서의 조석 잔차류에 대한 정량적 연구는 잘 이루어져 있지 못하며, 연간 변동성에 대한 연구도 흔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만 주수로인 석모수로와 장봉수로에서 1년간 연속 관측한 수층별 조류를 이용하여, 조석 잔차류의 특성과 조류분조의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였다. Kim et al.(2009)이 제안한 이동평균(Moving average) 기법을 이용하여 연간 월별 그리고 수층별 자료로 확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조류조화분해를 실시하여 이동평균 기법의 잔차류 특성과 비교하였으며 계절별 수층별 조류분조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비조석성분인 잔차류 산정에는 이동평균 기법과 조류조화분해법이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나 단주기 변동성 분석에는 이동평균기법이 장점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석모수로의 잔차류는 연간 낙조류 방향이며, 표층에서 20-40 cm/s, 저층에서 10 cm/s 미만으로 분석되었다. 장봉수로에서는 연간 창조류 방향의 잔차류는 표층에서 15-30 cm/s, 저층에서 20 cm/s 안팎으로써 여름철에는 강한 경압형 구조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해저면에 설치된 음파식 유속계 자료의 처리, 조석잔차류의 산정과 경기만 수로에서의 연간 잔차류 수직 구조와 변동성에 대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경기 일대의 물질이동과 퇴적체 변동성 연구에 기본적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위성원격탐사를 이용한 곰소만 간석지의 미지형과 퇴적물 입도특성 분석 (An Analysis of Micro-landform and Its Grain Size of Tidal Flat in Gomso-Bay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 조화룡;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4-56
    • /
    • 2000
  •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하여 곰소만 간석지의 미지형을 분류하고, 현지조사를 통하여 분류된 각 미지형의 퇴적물 입도 특성과 지형특성을 밝혔다. 내만 쪽의 mud flat는 갯골과 갯골 사이의 평탄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균입경이 $4{\phi}$ 이하의 세립질이고 분급은 1 S.D. 이상이며, positive skewness를 보인다. 만구쪽에 분포하는 sand flat는 갯골이 없이 평탄한 지형을 이루며 ripple mark가 발달해 있다. 분급이 좋은 모래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고 negative skewness를 보인다. mixed flat는 mud flat 와 sand flat와의 중간적 특징을 보인다.

  • PDF

가막만의 해수유동 PATTERN (The Pattern of Sea Water Circulation in Kamak Bay)

  • 이규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8권2호
    • /
    • pp.117-131
    • /
    • 1992
  • A studies on the pattern of sea water circula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drogue experiments, tidal current measurement and hydrographic data in Kamak Bay which has two channels. At the flood, the water inflowed from the northern narrow channel flows mostly to the southward then the westward because Daekyung-island located at the flow path, at the same time the water from the southern channel of bay directed strongly to the north with a spine centered at around Gunnaeri. And these waters converged at the area between eng-Island and Deakyung-Island in the bigining of the flow, and placed at less southern part than the area at the late. The water of the north west inner bay having concave bottom topography inflows to Najin inlet with a spin of anti-clockwise. At the ebb, those waters in the bay turn back to two channels respectively, but most of waters directed to the southern channel of the bay. The directions of residual current of two channels are the southward mainly, and the current of inner area are influenced by the prevailing wind. The north-west inner bay which has the weak tidal current less than 10 cm/sec shows a similar upwelling by off-shore wind in winter, and the stratification in summer, respectively.

  • PDF

항력식 조류발전 터빈의 최적 형상 설계 및 유동 수치해석을 통한 성능 평가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avonius Tidal Current Turbine)

  • 조철희;고광오;이준호;이강희
    • 신재생에너지
    • /
    • 제8권2호
    • /
    • pp.6-13
    • /
    • 2012
  • Due to global warming, the need to secure an alternative resource has become more important nationally. Having very strong current on the west coast with up to 10 m tidal range, there are many suitable site for the application of TCP (Tidal Current Power) in Korea. On the south west regions between many islands that create strong current in the narrow channels. The rotor is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which can convert tidal current energy into rotational energy to generate electricity. The design optimization of rotor is very important to maximize the power production. The performance of rotor can be determined by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number of blades, shape, sectional size, diameters and etc. This paper introduces the multi-layer vertical axis tidal current power system which can be applied to offshore jetties and piers effectively. Various cases of VAT turbine were designed. Specifically, the number of blades and turbine shape are changed in several cases. Also, performanc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CFD.

천수만 황도 갯벌의 퇴적환경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Hwangdo Tidal Flat, Cheonsu Bay)

  • 우한준;최재웅;유주형;최송화;김성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3-67
    • /
    • 2005
  • 천수만은 전형적인 반 폐쇄형만으로 수로, 사퇴, 작은 섬 그리고 갯벌 등 다양한 환경들이 있다. 1983년에서 1985년 사이에 건설된 서산 A와 B 방조제는 천수만 북부의 퇴적환경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켰을 것으로 보인다. 황도 갯벌과 주변 해역의 퇴적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3년 6월과 10월에 표층과 주상 퇴적물을 채취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5개의 퇴적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10월의 표층퇴적물은 6월과 비교하여 갯벌은 조립해 졌으나 주변 해역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3개의 주상퇴적물의 퇴적상은 황도 주변 갯벌은 파랑과 조류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높고, 조수로 근처의 갯벌은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도 갯벌의 11개월 동안 단기 퇴적률은 중앙지역은 퇴적 되었으나, 갯벌의 동쪽 측면과 서쪽 측면은 침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조제에 의하여 조류 형태와 퇴적물 순환이 변화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 PDF

Numerical Modeling of Tide and Tidal Current in the Kangjin Bay, South Sea, Korea

  • Ro, Young-Jae;Jun, Woong-Sik;Jung, Kwang-Young;Eom, Hyun-Min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3호
    • /
    • pp.153-163
    • /
    • 2007
  • This study is based on a series of numerical modeling experiments to understand the tidal circulation in the Kangjin Bay (KB). The tidal circulation in the KB is mostly controlled by the inflow from two channels, Noryang and Daebang which introduce the open ocean water into the northern part of the KB with relatively strong tidal current, whil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B, shallowest region of the entire study area, weak tidal current prevails. The model prediction of the sea level agrees with observed records at skill scores exceeding 90 % in terms of the four major tidal constituents (M2, S2, K1, O1). However, the skill scores for the tidal current show relatively lower values of 87, 99, 59, 23 for the semi-major axes of the constituents, respectively. The tidal ellipse parameters in the KB are such that the semi-major axes of the ellipse for M2 range from 1.7 to 38.5 cm/s and those for S2 range from 0.5 to 14.4 cm/s. The orientations of the major-axes show parallel with the local isobath. The eccentricity values at various grid points of ellipses for M2 and S2 are very low with 0.2 and 0.06 on the average, respectively illustrating that the tidal current in the KB is strongly rectilinear. The magnitude of the tidal residual current speed in the KB is on the order of a few cm/s and its distribution pattern is very complex. One of the most prominent features is found to be the counter-clockwise eddy recirculation cell at the mouth of the Daebang Channel.

위성영상을 이용한 줄포만 간석지의 미지형 분류와 지형적특성 (Micro-Landform Classification and Topographic Property of Tidal Flat in Julpo-Bay Using Satellite Image)

  • 조명희;조화룡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7-225
    • /
    • 1999
  •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전라북도 줄포만 간석지의 미지형을 무감독분류의 ISODATA 기법으로서 분석한 결과 mudflat, mixed flat, sandflat 의 3지형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미지형들은 퇴적물 입도와 지형에 있어서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mudflat은 내만쪽에 위치하고 snadflat은 만의 입구 그리고 mixedflat은 그 사이에 각각 분포하였다. 각 지역의 지형특성으로는 2m 내외의 갯골이 평탄면 사이에 분포하는 mudflat과 평균기복이 10cm 이하로서 아주 평탄한 지형으로 물결무늬가 발달한 sandflat 그리고 이 양자의 중간형태를 취하는 mixedflat 으로 구분되었다. 아울러 Landsat TM의 7개의 밴드중에서 밴드 5와 7이 간석지의 미지형분류, 밴드4는 육지와 간석지의 분류 그리고 밴드 3은 해면과 간석지의 분류에 각각 효율적임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