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검색결과 3,133건 처리시간 0.028초

Tidal Front in the Main Tidal Channel of Kyunggi Bay, Eastern Yellow Sea

  • Lee, Heung-Jae;Lee, Seok;Cho, Cheol-Ho;Kim, Cheol-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7권1호
    • /
    • pp.10-19
    • /
    • 2002
  • The detailed structure of a tidal front and its ebb-to flood variation in the main tidal channel of the Kyunggi 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CTD data and drifter trajectories collected in late July 1999. A typical tidal front was formed in water about 60 m deep at the mouth of the channel. Isotherms and isohalines in the upper layer above the seasonal pycnocline in the offshore stratified zone inclined upward to the sea surface to form a surface front, while those in the lower layer declined to the bottom front. The location of the front is consistent with $100 S^3/cm^2$ of the mixing index H/U defined by Simpson and Hunter (1974), where H is the water depth and U is the amplitude of tidal current. The potential energy anomaly in the frontal zone varied at an ebb-to flood tidal cycle, showing a minimum at slack water after ebb but a maximum at slack water after flood. This ebb-to flood variation in potential energy anomaly is not accounted for by the mixing index. We conclude that on- and offshore displacement of the water column by tidal advection is responsible for the ebb-to-flood variation in the frontal zone.

목포해역 낙조류 우세현상의 수치모의 (Numerical Modeling of Ebb-Dominant Tidal Flow in the Mokpo Coastal Zone)

  • 정태성;최종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33-343
    • /
    • 2010
  • 목포해역에서 조위와 조류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낙조류 우세 조류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낙조류 우세를 발생하는 물리적 요인에 대해 검토하였다. 노출한계수심, 바닥마찰응력 산정방법, 해안 매립, 조석의 진폭, 비선형 조석, 와점성계수와 목포해역의 낙조류 우세현상의 관련성에 대해서 2차원 해수유동 모형을 적용하여 자세히 조사하였다. 다양한 조건에 대한 모의결과로부터 노출한계수심과 와점성계수는 모의결과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바닥마찰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조류의 비선형성이 증가하여 낙조류 우세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사지가 미치는 영향은 간사지가 육지로 바뀌면 낙조류 우세가 심해지고, 간사지가 바다로 바뀌면 낙조류 우세가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동안 목포해역에서 진행되어온 해안매립사업은 낙조우세현상을 심화시켜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선형 조석은 비대칭 조류를 생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조류의 비대칭성인 강한 목포해역에서 조류를 모의할 때는 개방경계 조위에 비선형조석을 포함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석수동역학 모의에서 조간대 침수-노출 고려효과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for dry-wet Treatment Effect in a Tidal Hydrodynamic Simulation)

  • 서승원;김정훈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7-107
    • /
    • 2003
  • 서해연안에 발달된 조간대의 효과가 수치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한요소 조석수동역학 모형인 ADCIRC에 침수-노출을 적용하여 금강하구와 전북해역에서 특성을 살펴보았다 전북해역에서 관측조류와 비교한 결과 RMS오차 분석으로 대조 시 1cm/sec 정도로 최대 조류속 대비 3% 이내에서 매우 잘 일치하고 있으나, 침수-노출 처리의 장점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하구에 대한 조량 평가는 조간대의 침수-노출 영향이 대체로 5%내외에서 국한되지만 인근 특정 단면에서는 20% 이상의 차이를 보인다. 조석 잔차류 비교 평가에서 조간대 고려 유무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조석수동역학 해석결과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간대의 침수-노출 고려 유무는 연구목적에 따라 달리 취해야 되겠지만, 장기간의 확산모의와 결합되는 경우 등에는 조간대의 노출을 고려하지 않아도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동부 해안대수층의 수리특성 산정과 지하수위 예측 (Estim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the Eastern Coastal Aquifer of Jeju Island)

  • 조시범;전병칠;박은규;최광준;송성호;김기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61-672
    • /
    • 2014
  • Due to tidal force, it is very difficult to estimate the hydraulic parameters of high permeable aquifer near coastal area in Jeju Island. Therefore, to eliminate the impact of tidal force from groundwater level and estimate the hydraulic properties, tidal response technique has been mainly studied. In this study we have extracted 38 tidal constituents from groundwater level and harmonic constants including frequency, amplitude, and phase of each constituent using T_TIDE subroutine which is used to estimate oceanic tidal constituents, and then we have estimated hydraulic diffusivity associated with amplitude attenuation factor(that is the ratio of groundwater level amplitude to sea level amplitude for each tidal constituent) and phase lag(that is phase difference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sea level for each constituent). Also using harmonic constants for each constituent, we made the sinusoidal wave and then we constructed the synthesized wave which linearly combined sinusoidal wave. Finally, we could get residuals(net groundwater level) which was excluded most of tidal influences by eliminating synthesized wave from raw groundwater level. As a result of comparing statistics for synthesized level and net groundwater level, we found that the statistics for net groundwater level was more insignificant than those of synthesized wave. Moreover, in case of coastal aquifer which the impact of tidal force is even more than those of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ainfall and groundwater yield, it is possible to predict groundwater level using synthesized wave and regression analysis of residuals.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천수만 간석지 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 Change of Tidal Flat in the Cheonsu Bay Using Remotely Sensed Data)

  • 장동호;지광훈;이현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11권1호
    • /
    • pp.51-6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changes of tidal flat in the Cheonsu Bay. Especially, it centers on the changes i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using remote sensing data. Multi-temporal Landsat data and topographic map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idal flat of Cheonsu Bay changes in many way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tidal current. In the neighborhood of Ganwoldo, the scale of the tidal flat has continuously been expanded due to the superiority of sedimentation after a tide embankment was built. When we analyzed the grain size of sediments and implemented in-situ field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innermost part of the bay consists of a mud flat, with the midway part mixed flat, and the nearest part to the sea sand flat. On the other hand, in the neighborhood of Seomot isle and its beach, sedimentation is superior in the eastern part whereas erosion is superior in the western part. In other words, the western coast of the beach is contacted with the open seas and under much influence of ocean wave. The eastern coast is placed at the entrance of the bay and has sand bar and tidal flat developed due to submarine deposits that are accumulated on the sea floor by the tidal current. In conclusions, remote sensing methods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geomorphological changes in tidal fla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schemes can be applied to another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such as beach, sand dune, and sand wave.

단열암반 대수층에서 조석분석법을 이용한 수리상수 추정 (Hydrogeologic Parameter Estimation by Using Tidal Method in a Fractured Rock Aquifer)

  • 심병완;정상용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3호
    • /
    • pp.27-32
    • /
    • 2004
  • 해안가에 발달된 단열암반 대수층에서 수리지질 인자를 추정하기 위하여 조석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현상을 이용하는 조석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두 관측정의 지하수위 시계열 자료는 조석에 의한 대수층내 유효응력 전달에 의해 조수위 변동과 비슷한 사인곡선 형태로 나타났다. 교차상관함수를 이용하여 조석과 두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동 사이의 개략적인 시간지연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 심도가 깊은 공의 시간지연이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조석효율과 시간지연을 계산하여 이들로부터 각각의 저류계수를 추정한 결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지역에서 실시된 순간충격 시험에 의하여 측정된 저류계수는 조석분석법에서 시간지연을 이용하여 계산한 값과 유사하게 나타나며, 심도가 깊은 공에서 보다 비슷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조석효율은 피압층에 발달된 균열로 인한 자유면대수층의 영향과 수직적인 지하수 유동에 의해 대수층의 수리상수를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조석분석법은 해안대수층의 수리지질인자를 추정하는데 지하수공의 위치나 대수층의 수리지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석한다면 경제적이고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전남 하의도 갯벌에 서식하는 칠게, Macrophthalmus japonicu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Crab Macrophthalmus japonicus from Tidal Flat of Bani Island, Jeollanamdo, Korea)

  • 권대현;최옥인;고병설;송재희;조영조;박주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1-266
    • /
    • 2008
  • The ocypodid crab, Macrophthalmus japonicus, commonly occurs in tidal flats in areas around Korea. We examined the age and growth of M. japonicus collected from the tidal flats of Haui Island in Jeollanamdo,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According to variation in the monthly fatness index, the population spawned from June to August. To estimate parameters of growth, frequencies of monthly carapace lengths were analyzed using FiSAT II. The allometry of females differed from that of males. VBGE(von Bertalanffy growth equation) and seasonal VBGE were determined using monthly average carapace lengths for males and females, and an equation for estimating seasonal growth was calculated using regression coefficients.

동해 남부해역의 조석계산 (Tidal Computations for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 정태성;이종찬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9-37
    • /
    • 1991
  • 동해남부해역에서 주요 4개 분조($M_2,;S_2,;K_1,;O_1$)의 조석운동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2차원조석수치모형을 수립하여 계산하였다. 계산결과는 조석관측치와 비교되었으며, 기존의 조석도들과도 비교 분석되었다. 계산된 조석은 관측된 조석과 비교적 일치하였으며, 계산결과로부터 주요 4개 분조의 상세한 조석도가 작성되었다. 또한,$M_2$분조와 $K_1$분조의 조류타원분포가 제시되었다. 작성된 조석도에 의하면 무조점의 위치는 반일주조의 경우 기존의 조석도와 일치하나, 일주조의 경우는 한국연안에 더 치우쳐 나타났다.

  • PDF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화도 남단갯벌의 DEM 추출 (Extraction of DEM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using Satellite Image)

  • 박성우;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13-22
    • /
    • 2003
  • 위성영상 이미지를 이용한 갯벌의 지형 고찰은 주기적인 자료 획득 등의 측면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되어 왔다. 특히, 광학 위성영상의 근적외선 영역은 해역과 육역을 구분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5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갯벌의 경계선을 추출하고, 조위 자료를 고도값으로 사용하여 갯벌의 수치표고모델을 작성하였다. 수치표고모델은 갯벌의 입체적인 지형을 고찰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며 더 나아가 갯벌 지형의 변화 탐지에도 사용될 수 있다. 강화도 남단 갯벌에 대해 90년대에 촬영된 8장의 영상을 1994년 기준으로 두 시기로 나누었고, 각각에 대해 수치표고모델을 작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 영상 촬영 시기에 해당하는 갯벌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었고, 1994년 이후 조위의 변화에 따라 갯벌의 면적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tidal turbulence near the bottom at a coastal trench in Tongyoung, Korea

  • Kim, Yonghae;Hong, Chul-Hoon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4호
    • /
    • pp.435-446
    • /
    • 2014
  • Tidal turbulence was examined using three-dimensional tidal velocity data observed at a trench offshore of Tongyoung, Korea. The kinetic energy and intensity, including the variation period of the flow velocity and direction,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idal turbulence and fishing gear dynamics, including the effects of swimming fish during fishing operations. As the resultant velocity increased from 0.2 to 0.9 m/s, the kinetic energy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the turbulence intensity decreased from 50 to 10%. Tidal flow in strong flow fields displayed shorter periods of between 4 and 10 s, as determined by fast Fourier transform, the global wavelet method, and peak event analysis, and the periods were compared with the period of response to swimming fish and to oscillation of fishing gear. As mean velocity increased, velocity amplitude also increased from 0.1 to 0.6 m/s, and its directional amplitude changed markedly from 20 and $90^{\circ}$. Our study suggests that tidal turbulence can influence fish behavior or fishing gear geometry during fishing operations, although our analysis considered only a limited area. In future work, observations should be carried out over a more extensive depth and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