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bialis Anterior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18초

17-DMAG이 마우스 골격근에서 autophagy flux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7-DMAG Administration on Autophagy Flux in Mouse Skeletal Muscle)

  • 주정선;이유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7-397
    • /
    • 2016
  • 본 연구는 17-DMAG이 골격근에서 autophagy에 관여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해, C2C12세포와 마우스 골격근에서 17-DMAG (Hsp90 억제제/Hsp72 활성제)을 처치하는 그룹과 autophagy 억제제(Bafilomycin 또는 colchicine)를 처치하는 그룹과 처치하지 않는 그룹을 동시에 두고 autophagy flux를 측정하였다. C2C12 배양세포에서 17-DMAG이 Hsp90 억제/hsp72 활성화시켰으며 Akt-mTOR 신호체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p<0.05) autophagy marker 단백질인 LC3 II와 p62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in vivo 모델의 경우 17-DMAG 처치가 배양세포에서 발견된 것처럼 Hsp90억제/hsp72를 활성화시켰고 Akt-mTOR 신호체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5). 반면 LC3 II와 p62 단백질 수준은 autophagy 억제제(colchicine) 처치 수준보다 더 높게 증가되었다. 이는 17-DMAG이 골격근에서 autophagy를 증가시키지만 C2C12 배양세포에서는 autophagy의 활성화가 제한적임을 암시한다. 현재 이러한 in vitro와 in vivo 모델에서의 차이는 불분명하다.

다운증후군 아동의 수직점프 동작 수행 시 지면반력과 근육활동의 규명 (Ground Reaction Force and Muscle activity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during Vertical Jump)

  • 유연주;임비오;김석범;남기정;최범권;김민회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7-11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운증후군 아동들의 점프와 착지 능력 향상을 위해 다운증후군 아동의 점프와 착지 동작 수행 시 지면반력과 근육 활동을 규명하는 것이다. 다운증후군 아동 6명과 정상아동 1명이 수직 점프 후 착지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대퇴이두근, 대퇴직근, 전경골근 및 비복근의 근육활동과 지면반력이 분석되었다. 다운증후군 아동들은 점프 동작 수행 시 추진구간에서 비복근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복근의 소극적인 활동은 다운증후군 아동의 발 앞꿈치 이지 전 0.3초 동안 충격량이 정상아동에 비해 작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한다. 다운증후군 아동의 제 2 수직지면반력은 정상 아동에 비해 늦게 나타나, 다운증후군 아동들은 건강한 아동에 비해 무릎을 더 많이 굴곡시켜 착지했음을 알 수 있다. 다운증후군 아동의 제 1 및 제 2 수직지면반력, 다운증후군 아동 D3을 제외한 다운증후군 아동의 제 2부하율은 정상아동 보다 작게 나타났다. 운동기술이 저하된 다운증후군 아동은 착지 시 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정상아동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선형 신발이 정적 자세변화 및 하퇴근전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hoes with Curved Out-Sole on the Variations of Static Posture and EMG of Calf)

  • 신학수;은선덕;유연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45-25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선형 신발바닥면을 가진 신발의 착용이 자세의 변화 및 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30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발의 족저면과 접지면의 상대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New York State Posture Test'로 평가하여 최적의 각도의 신발(s)을 제작한 후 여대생 10명씩 3개 집단에 대해 각각 제작된 신발(s)과 유선형 신발(m), 일반신발(n)의 8주착용 전 후의 전경골근, 비복근의 근활성도를 평가하였다. 1. 'New York State Posture Test'에서의 자세평가점수는 신발의 각도변화에 따라 $-2^{\circ}$, $-7^{\circ}$에서 쌍봉형을 이루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7^{\circ}$에서 가장 좋은 평가점수가 나왔으므로 이 각도로 신발을 제작하였다. 2. 유선형의 아웃솔을 가진 s, m 신발의 활성패턴을 보면 맨발에서 s신발 착용자의 경우 비복근, m신발 착용자는 전경골근의 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s신발에서만 비복근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투화 맟춤형 발보장구 착용 시 하지 근육 활동의 평가 (The Evaluation of Lower Extremity Muscles in Combat shoes Custom Foot Orthotics)

  • 서성혁;김로빈;조영재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5-124
    • /
    • 2008
  • 본 연구는 행군 시 발보장구 착용이 하지 근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과회내족과 정상족을 선정하여 트레드밀에서 4.5km/h의 속도로 걷게 하였고 이때 근전도기를 이용하여 하지근육의 근육신호를 수집, 분석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평균적분근전도와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근활성도와 피로도를 알아보았고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과회내족이 정상족보다 행군 시 근 활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보장구 착용 시 근 활성과 피로도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전경골근과 장비골근의 근육활성 감소와 피로도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과회내족은 장시간 행군 시 발보장구 착용이 피로도 감소에 효과적이며 이는 잠재적인 하지 근골격계 상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외측 복사뼈 상부 근막-피부 섬피판을 이용한 발 및 발목관절 연부조직 결손의 재건 (Lateral Supramalleolar Fasciocutaneous Island Flap for Reconstruction of the Foot and Ankle Soft Tissue Defect)

  • 최재훈;김남균;최태현;이경석;김준식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6호
    • /
    • pp.784-788
    • /
    • 2006
  • Purpose: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ankle joint as well as the soft tissue defect in the distal lower leg, a free flap or a local flap has been used, and because of the condition of patients, if a complex microvascular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could not be performed, it could be reconstructed by using the distally based lateral supramalleolar fascio-cutaneous island flap using the perforating branch of the peroneal artery in the ankle area.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 male patients between 53 years and 73 years of age. 2 cases were tissue defect in the medial malleolus area due to systemic diseases such as gouty arthritis accompanied traffic accident, diabetes mellitus foot, atherosclerotic obliterans, etc., 1 case was the defect in the pretibia area, and 1 case was the defect underneath the lateral malleolus, which was reconstructed by the distally based lateral supramalleolar fascio-cutaneous island flap. The donor area was the skin harvested from the groin, and the full thickness skin graft was performed. The size of the flap varied from $4{\times}3cm$ to $9{\times}6cm$. As the flap border, the medial side was to the tibialis anterior tendon, the lateral side was to the fibula crest, and the proximal area was less than the fibula size. Results: The consequence is that, in total 4 cases, the congestion in the flap began from 12 hours after the surgery, and the progression of congestion was ceased on the 5th day after the surgery, and finally epidermal bulla and sloughing, partial necrosis was developed. After the end of necrosis, the defect area was reconstructed successfully by the second full thickness skin graft. Conclusions: Although the distally based lateral supramalleolar fascio-cutaneous island flap has the shortcoming of requiring the second skin graft, it has the advantages that it does not require a long complex microsurgery, the flap itself is thin, it is similar to the color of the skin in the recipient area, and it does not leave a big scar in the donor area.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for the cases who could not undergo a long complex surgery due to systemic diseases or the cases of patients whose condition of the recipient area is not suitable for microsurgery, the lateral supramalleolar fascio-cutaneous island flap is very useful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distal lower leg and the ankle joint area.

투입구 높이 및 내부 드럼 깊이를 고려한 펄세이터 세탁기 사용시 평균신장 사용자의 관절 토크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ulsator Washing Machine on Joints Torques and Muscles Strengths Considering Height of Outside Machine and Depth of Inside Drum for Average Height Users)

  • 김성국;조영근;이남기;유승현;임도형;김한성;고창용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84-193
    • /
    • 2012
  •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housework done using household appliances may affect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usework done using a pulsator washing machine on joints and muscles. We calculated joint torques and muscle strengths on the basis of an experimental/virtual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for six healthy females using the pulsator washing machine at different heights (H) and depths (D) of the inside drum (H (mm){\times}D (mm), Trial1: $962.5{\times}609.4$, Trial2: $962.5{\times}624.4$, Trial3: $982.5{\times}644.4$, Trial4: $995.5{\times}642.4$, Trial5: $1015.5{\times}677.4$). The joint torques and muscle strengths tended to be considerably different during torso flexion in the sagittal plane for all the trials. The maximum joint torques for the thoracic vertebra, left ankle, and right shoulder measured in Trial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measured in the other trials (p < 0.05); in addition, those for the thoracic vertebra and both ankles measured in Trial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measured in the other trials (p < 0.05). The maximum muscle strengths for the left trapezius muscle and both tibialis anterior muscles measured in Trial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measured in the other trials (p < 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ousework done using a pulsator washing machine may affect joint torques and muscle strengths, and these effects are dependent on the height and/or depth of the inside drum of the pulsator washing machine.

롤러신발과 일반신발의 착용 후 보행 시 하지근의 근전도 비교 (The Effects of Wearing Roller Shoes on Muscle Activity in The Lower Extremity During Walking)

  • 채원식;임영태;이민형;김정자;김연정;장재익;박원균;진재흥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7-14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scle activity in the lower extremity during walking wearing jogging and roller shoes. Twelve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ge: 15.0 yrs, height 173.7 cm, weight 587.7 N) who have no known musculoskeletal disorders were recruited as the subjects. Seven pairs of surface electrodes (QEMG8, Laxtha Korea, gain = 1,000, input impedance >$1012{\Omega}$, CMMR >100 dB) were attached to the right-hand side of the body to monitor the rectus femoris (RF), vastus medialis (VM), vastus lateralis (VL), biceps femoris (BF), tibialis anterior (TA), and medial (GM) and lateral gastrocnemius (GL) while subjects walked wearing roller and jogging shoes in random order at a speed of 1.1 m/s. An event sync unit with a bright LED light was used to synchronize the video and EMG recordings. EMG data were filtered using a 10 Hz to 350 Hz Butterworth band-passdigital filter and further normalized to the respective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EMG levels. For each trial being analyzed, five critical instants and four phases were identified from the recording. Averaged IEMG and peak IEMG were determined for each trial. For each dependent variable,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test if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shoe conditions (p<.05). The VM, TA, BF, and GM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double limb stance and the initial single limb stance reduced significantly when going from jogging shoe to roller shoe condition. The decrease in EMG levels in those muscles indicated that the subjects locked the ankle and knee joints in an awkward fashion to compensate for the imbalance. Muscle activity in the GM for the roller shoe condi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 for the jogging shoe condition during the terminal double limb stance and the terminal single limb stance. Because the subjects tried to keep their upper body weight in front of the hip to prevent falling backward, the GM activity for the roller shoe condition increased. It seem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between roller shoe and jogging shoe conditions. The differences in EMG pattern may be caused primarily by the altered position of ankle, knee, and center of mass throughout the walking cycle. Future studies should examine joint kinematics during walking with roller shoes.

파워보행과 일반보행 시 하지근의 근전도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MG Activities on the Lower Limb Muscles during Power Walking and Normal Walking)

  • 기세준;채원식;강년주;장재익;윤창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5-13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파워보행 시 하지근의 근활성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근전도 측정을 통해 파워보행과 일반보행 시 하지근비 평균적분 근전도 및 최대적분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근골격계에 이상이 없는 남자 대학생 17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 간 140 beat/min속도로 보행을 실시하였다. 일반보행 동작과 파워보행 동작의 구간별 근전도치를 비교해 본 결과 일반보행 동작 시 보다, 강하고 힘차게 걷는 파워보행 동작 시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하지근의 대부분 근육활동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보행 동작에서 주동근이 되는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의 활동이 일반보행 동작보다 파워보행 동작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기 전 지면을 힘껏 밀 때 사용되어지는 내측비복근, 외측비복근에서, 발뒤꿈치가 지면에 닿을 때 사용되어지는 전경골근에서 일반보행동작보다 파워보행 동작에서 전체적으로 통계적으로 높은 유의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이는 파워보행 동작이 일반 보행 동작보다 더욱 많은 근육활동을 유발시킴으로 하지근의 근육강화 및 에너지 소비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유산소 운동으로써 파워보행을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파워보행 동작이 건강유지와 다이어트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일반보행 보다 더 높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역구동 페달링에 따른 자전거 등판 시의 근전도 분석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a Uphill Propulsion of a Bicycle by Forward.Backward Pedaling)

  • 신응수;김현중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1-17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자전거의 언덕 등판 시 페달릴 방향이 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역구동이 가능한 특수유성기어와 언덕 경사각에 따른 마찰력을 후륜에 인가할 수 있는 자기제동장치가 장착된 자전거로 실험 장치를 구성하고 3차원 동작분석과 근전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근활성도는 장단지근, 대퇴사두근, 전경골근, 비장근에 대해서 측정하였으며 언덕 경사는 $0^{\circ}$에서 $6^{\circ}$까지 변화시켰다. 근전도 신호는 우선 평균제곱법을 적용하여 25 ms마다 평균값을 구하고 50개의 연속된 주기에 대한 ensemble 곡선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페달링 방향의 변화는 자전거 주행 속도 및 인체하지 근육의 활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크랭크 각도에 따른 근활성도의 패턴 및 최대값의 분포에 있어 정방향 구동과 역방향 구동은 큰 차이를 보이는데 근활성도의 최대값은 정구동으로 페달링할 때가 역 구동으로 페달링할 때보다 큰 반면 근활성도의 평균값은 장단지근과 대퇴사두근에서는 정구등 페달링이 더 높게 나타나고 전경골근과 비장근에서는 역구동 페달링이 더 높게 나타나며 주행 등판각이 증가하면 페달링 방향이 바뀜에 따른 근활성도 최대값의 차이는 더욱 커진다.

편마비 환자의 반 쪼그려 앉기(semi-squat)동작 시 양하지 지지면의 형태가 하지 근활성도와 체중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ypes of Weight-Bearing Surfaces on Muscle Activities of Lower Limbs and Weight Distribution During Semi-Squat Movement of Patients With Hemiplegia)

  • 양용필;노정석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8-36
    • /
    • 2012
  • This study used an unstable platform to change the support surface type and position of both lower limbs in order to determine changes in weight distribution and muscle including the vastus medialis, tibialis anterior, lateral hamstring, and lateral gastrocnemius of both lower limbs were evaluated during knee joint flexing and extending in a semi-squat movement in 32 hemiplegic patients. The support surface conditions applied to the lower limb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ndition 1 had a stable platform for both lower limbs; condition 2 had an unstable platform for the non-hemiplegic side and a stable platform for the hemiplegic side; condition 3 had a stable platform for the non-hemiplegic side and an unstable platform for the hemiplegic side; and condition 4 had an unstable platform for both sides. The normalized EMG activity levels of muscles and weight bearing ratio of both sides in the four surface conditions were compar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in the weight support distribution for the hemiplegic side in flexing and extending sessions in condition 2 compared to the other conditions (p<.05).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significant decrease in asymmetrical weight bearing in flexing and extending sessions was observed for condition 2 compared to the other conditions (p<.05). A similar significant decrease was found in differences in muscular activity for both lower limbs in condition 2 (p<.05). The muscular activity of the hemiplegic side, based on the support surface for each muscle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in condition 2 (p<.05). An unstable platform for the non-hemiplegic side and a stable platform for the hemiplegic side therefore increased symmetry in terms of the weight support distribution rate and muscle activity of lower limbs in hemiplegic patients. The problem of postural control due to asymmetry in hemiplegic patients should be further studi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continuous effects of functional training based on the type and position of the support surfaces and functional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