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yroxine (T$_4$)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초

Plasma Levels of Hormones and Metabolites as Affected by the Forages Type in Two Different Types of Crossbred Holstein Cattle

  • Chaiyabutr, N.;Preuksagorn, S.;Komolvanich, S.;Chanpongsang,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0호
    • /
    • pp.1359-1366
    • /
    • 2000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plasma levels of hormones and metabolites of crossbred Holstein cattle during late pregnancy (28 days pre partum), early lactation (30 days post partum), mid-lactation (120 days post partum) and late lactation (210 days post partum). Two breed types of Holstein $Friesian{\times}Red$ Sindhi (50:50 = 50%HF) and Holstein $Friesian{\times}Red$ Sindhi (87.5:12.5 = 87.5%HF)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four animals each. Two groups of each breed were fed with either rice straw treated with 5% urea or pangola hay (Digitaria decumbens) as the source of roughage throughout the experiments. There were a substantial increases in the mean levels of total triiodothyronine ($T_3$), insulin and glucagon at the onset of lactation, and maintained in a high levels during lactation advance for all groups of experiments. The mean levels of prolactin and thyroxine ($T_4$)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of animals, but the plasma cortisol concentration was slightly higher in both groups of 50%HF in comparison with those of 87.5%HF animals. The mean levels of plasma growth hormone (GH) of both groups of 87.5%HF animals feeding on either hay or urea treated rice straw markedly rose in the early period of lactation and markedly reduced in mid- and late lactation. These changes were accompanied with changes of milk yield. In contrast to 50%HF animals, plasma GH levels were considerably higher in the late pregnant period than in the early period of lactation and it remained constant as its value at the early lactation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he high levels of both plasma progesterone and estradiol concentration significantly declined after parturition and remained low through lactating period. The plasma glucose level in the 50%HF animals feeding on either hay or urea treated rice straw was higher than the 87.5%HF animals in all periods of experiments. Changes in plasma FFA levels of both types of crossbred animals were depended on the endocrine status during late pregnancy and lactation. The levels of plasma FFA of 50%HF anim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87.5%HF animals during late pregnancy. Both plasma ${\beta}$-hydroxybutyrate and lactate concentrations were not affected by feeding on either hay or urea treated rice straw during late pregnancy and lactation. These data demonstrate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hysiological performances in the same crossbred animals fed either hay or urea treated rice straw. The 87.5%HF animal has the genetic potential for a high milk yield and homeorhetic adaptation for mammary function differed from 50%HF animals during periods of lactation. Altering lactation persistency in 87.5%HF is regulated mainly by chronically acting growth hormones through the period of lactation.

임신과 갑상선 기능의 평가 (Evaluation of Pregnancy and Thyroid Function)

  • 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10
    • /
    • 2018
  • 갑상선의 기능적 발달 이전인 임신초기에 갑상선자극호르몬은 갑상선 장애 및 임신 동안 매우 민감한 지표이다. 임신동안 정상수준은 감소 변화를 보이는 것은 모체로부터 태아가 받는 갑상선호르몬의 영향이다. 갑상선자극호르몬과 유리 티록신의 농도는 임신동안 및 검사실간에 다양하게 보고된다. 갑상선자극호르몬의 참고치는 비임신군에 비하면 상한값과 하한값의 참고범위의 감소가 임신동안 보인다. 각 실험실은 임신 중에 다른 결과를 산출하는 호르몬 분석법과 일부 자체 기준에 맞는 혈중 농도를 산출한다. 따라서, 혈청 유리 티록신 분석에 사용되는 자동화 된 면역 분석법은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고려할 사항이 있다. 집단 기준, 삼분위 기간별 특이적 참고범위 사용은 문제해결의 최상의 방법이다. 임신 7~12주에 발생하는 호르몬의 하향은 7주 이전에는 보이지 않아 참고범위의 개별적 정량적으로 상승 및 하강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별과 임신 특이적 갑상선 매개 변수의 참조범위에 대한 산출 중요성을 강조한다. 정밀의학 의 도래에 있어서 많은 개체의 유전적, 생물학적, 심리사회학적, 환경적 변수를 수집하고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전향적인 무작위 통제 연구가 필요하다.

Thyrogen 투여 후 측정된 Thyroglobulin 농도변화 (The Variation of Serum Thyroglobulin Measured after Thyrogen Administration)

  • 김지나;안재석;원우재
    • 핵의학기술
    • /
    • 제22권1호
    • /
    • pp.80-83
    • /
    • 2018
  • Purpose Assessment of Serum Thyroglobulin (sTg) value in total thyroidectomy patients having an ablation dose of radioactive iodine indicates remaining cancer or metastasis. Especially, sTg in patients on withdrawal thyroxine or thyrogen administration for radioiodine ablation is an important indicator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further treatment and prognosis. Current guidelines suggest measurement of sTg is performed at 72 hours after the last injection of thyrogen. and assumes that sTg reaches maximum serum levels at that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riation of sTg measured after thyrogen administr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compared with sTg performed at 24hours(D0) and 72hours(D2) after the last injection of thyrogen. We reviewed D0 and D2 from 276 patients were divided them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blation dose of radioactive iodine, 5mCi(A group), 30~80mCi(B group) and 100~200mCi(C group). We used T-test for comparison between D0 and D2. sTg was measured in serum using immunoradiometric assay (Tg-plus RIA; BRAHMS, Berlin, Germany). Results There is no critical variation between D0 and D2 in A group(n=100)(P=0.32), The case of increase(D2>D0) is 45, no change(D2=D0) is 23, decrease(D2D0 is 91, D2=D0 is 28, D2D0 is 19, D2=D0 is 2. The biggest increase is 143.6 ng/mL from 98.4 to 242.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over 30mCi. and the case of D2>D0 is 45%, 58.7%, 90.5% for each group. therefore, D2 increased as the dose of radioactive iodine increased. Furthermore, the most sTg values of D0 and D2 are variation under 2.0 ng/mL, so reproducibility as well as sensitivity of sTg will be important at values below 2ng/mL.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 및 각종갑상선질환(各種甲狀腺疾患)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Achiles Tendon Reflex in Normal Korean Persons and Various Thyroid Diseases)

  • 강진영;김명덕;이홍규;이정상;고창순;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8
    • /
    • 1978
  • 저자(著者)는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과 각종갑상선질환(各種甲狀腺疾患)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을 Photomotograph에 의해 측정(測定)하여, 그 진단적(診斷的) 가치(價値)와 한국인(韓國人)에 있어서의 연령별(年齡別), 성별(性別)에 따른 정상치(正常値)를 구(求)하기 위하여 1975년(年) 4월(月) 1일(日)부터 1977년(年) 8월(月) 30일(日)까지 서울대학교(大學敎) 의과대학(醫科大學) 부속병원(附屬病院) 내과(內科)를 내방(來訪)한 각종(各種) 갑상선질환(甲狀腺疾患) 환자(患者) 193례(例)와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 남자(男子) 190명(名), 여자(女子) 150명(名), 총 340명(名)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정상한국인(正常韓國人)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11세부터 20세까지는 남자(男子); $250{\pm}27msec$, 여자(女子); $266{\pm}27msec$, 21세부터 30세까지는 남자(男子); $271{\pm}27msec$, 여자(女子); $284{\pm}25msec$, 31세부터 40세까지는 남자(男子); $273{\pm}25msec$, 여자(女子); $291{\pm}27msec$, 41세부터 50세까지는 남자(男子); $286{\pm}35msec$, 여자(女子); $307{\pm}42msec$, 51세부터 60세까지는 남자(男子); $296{\pm}33msec$, 여자(女子); $318{\pm}46msec$, 61세 이상에서는 남자(男子); $301{\pm}33msec$, 여자(女子); $325{\pm}35msec$로서 연령(年齡)에 따라 현저히 증가(增加)되어 있었으며, 성별(性別)에 따른 차(差)는 여자(女子)가 남자에 비(比)하여 다소 지연(遲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유의(有意)한 차(差)는 없었다. 2) 갑상선기능항진증(甲狀腺機能亢進症) 환자(患者)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221{\pm}20msec$로서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해 현저히 단축(短縮)되어 유의(有意)한 차(差)가 있었다. 3) 갑상선기능저하증(甲狀腺機能低下症) 환자(患者)에서의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414{\pm}65msec$로서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하여 현저히 지연되어 유의(有意)한 차(差)가 있었다. 4) 갑상선기능검사상(甲狀腺機能檢査上) 정상(正常)인 갑상선질환(甲狀腺疾患) 환자(患者)에 대(對)한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은 $287{\pm}33msec$로서,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하여 유의(有意)한 차(差)가 없었다. 5)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과 ETR (Effective Thyroxine Ratio), $T_3RU,\;^{131}$섭취율(攝取率) 및 혈중(血中) TSH치(値)와는 밀접한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6)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의 진단적(診斷的) 정확도(正確度)는 기능항진증(機能亢進症)에서 71%이었고, 가양성율(假陽性率)은 11%, 가음성율(假陰性率)은 29%이었으며 갑상선기능저하증(甲狀腺機能低下症)에서의 진단적(診斷的) 정확도(正確度)는90%, 가양성율(假陽性率)은 27%, 가음성율(假陰性率)은 10%이었다. 7) 치료후(治療後), 증상(症狀) 및 기능(機能)의 호전(好轉)과 아킬레스건반사시간(腱反射時間)사이에는 좋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여 갑상선질환(甲狀腺疾患)의 경과관찰(經過觀察)에 유효(有效)하였다.

  • PDF

소아 조혈모세포이식 후 단기간 갑상선 기능의 변화 (Short-term follow up of thyroid function after pediatr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이선주;이재욱;이대형;권영주;박영실;황희승;김선영;박지경;장필상;정민호;정낙균;정대철;조빈;김학기;이병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1호
    • /
    • pp.1211-1215
    • /
    • 2006
  • 목 적 : 본 연구는 소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에 갑상선 기능의 단기간 변화와 갑상선기능이상의 빈도와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2006년 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소아과,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조혈모세포이식 전과 이식 후 1개월, 6개월, 12개월에 환자들의 혈청에서 TSH, T4, T3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조혈모세포이식을 하고 1개월 후의 갑상선 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이고 있었다(P<0.001). 1개월 후 갑상선 기능이상의 빈도는 80명중 43명(54%)에서 보였으며 이들 중 31명(39%)은 ETS를 보이고 있었다. 이식 후 일년 이내 갑상선 기능은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단변량 분석에 의하면 악성 질환인 경우(P=0.04)와 2도 이상의 급성 이식편대 숙주병(P=0.01)이 ETS의 위험인자였으나(P=0.04), 다변량 분석에 의하면 ETS 발생에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찾을 수 없었다(P=0.19, 0.06). 결 론 : 조혈모세포이식 후 갑상선 기능이상은 초기에 높은 빈도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식 후에는 갑상선 기능의 지속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