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초

리튬 또는 발프로산으로 치료받은 양극성장애 환자의 무증상 갑상선저하증 (Subclinical Hypothyroidism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s Managed by Lithium or Valproic Acid)

  • 최현만;장재승;김자연;김정현;최정은;하태현;하규섭
    • 생물정신의학
    • /
    • 제20권4호
    • /
    • pp.151-158
    • /
    • 2013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SCH)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s managed by lithium or valproic acid.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6 patients with DSM-IV bipolar disorders receiving planned maintenance treatment at the Mood Disorders Clinic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aged between 17 and 64, mean duration of follow-up = 875.65 days). Using the bipolar disorder registry, thyroid function data were analyzed to assess the frequency of and the risk factors for SCH in patients managed by lithium (n = 64) or valproic acid (n = 42) for more than 5 months. Results Overall frequencies of SCH were 20.3% (13/64) in the lithium group, 14.3% (6/42) in the valproic acid group, and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is no difference (p = 0.43).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otential risk factors for SCH between the two groups including age, sex, subtype of bipolar disorder, baseline TSH, and concomitant antipsychotic use. In cases with SCH, 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t 3 month after the initiation of lithium or valproic acid. A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showing SCH was found within the first 3 years of medication. Conclusions With regular monitoring and careful assess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isk of SCH between lithium and valproic acid maintenance. The risk of mood stabilizer-associated SCH may gradually increase within 3 years following the commencement of medication, thereby mandating close monitoring for the first 3 years of treatment. Further studies with large sample size would be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검사별 radioimmunoassay시약 조사 및 비교실험 (Radioimmunoassay Reagent Survey and Evaluation)

  • 김지나;안재석;전영우;윤상혁;김윤철
    • 핵의학기술
    • /
    • 제25권1호
    • /
    • pp.34-40
    • /
    • 2021
  • [목 적] 의료기관의 핵의학 검사실에서 신규검사를 도입하거나 사용하던 시약을 변경하게 되는 경우 절차에 따라 검사의 특성이 분석되고 시약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요구되어지는 비교실험을 모두 수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필요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데, 첫째 각 검사별로 수행하기에 충분한 검체량이 준비되어야하며, 둘째 비교실험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시약의 공급이 가능해야한다. 충분한 비교실험이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변경된 시약에 의한 데이터 변동이 전체 환자데이터 변동을 의미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검사실에서 시약이 변경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어려움으로 검사실에서의 시약변경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원에서는 원할한 경쟁 입찰을 도입하기 위하여 검사별로 radioimmunoassay(RIA)시약을 전수조사하고 비교실험을 통해 검사실에서 사용가능한 시약범위를 설정하였다. 이 과정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 핵의학 검체 검사실에서 시행하고 있는 검사는 위탁검사를 제외하고 총 20종목이다. 각각의 검사별로 외부정도관리와 기관간 정도관리 결과보고서를 참고로 사용가능한 RIA시약을 전수 조사하였고, 각 시약에 대한 메뉴얼을 확보하였다. 각각의 시약마다 메뉴얼을 확인하여 검사 방법과 incubation시간, 검사 시 필요한 검체량, 시약량 등을 확인하여 본 검사실에서 사용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시약 1차 선정을 하였다. 1차 선정된 시약을 100 test기준으로 2 kit씩 공급받아 데이터 상관성시험, 민감도, 회수율, 희석시험을 진행하였고, 비교실험 결과에 따라 시약을 2차 선정하였다. 1, 2차 선정을 통과한 시약을 경쟁 입찰리스트로 제출하였다. 검사 시약을 단수로 지정할 경우에는 1차, 2차 선정 과정에서 얻은 자료로 단수지정 사유서를 작성하였다. [결 과] 각각의 시약마다 매뉴얼을 확인하여 시약 1차 선정에서 제외되는 경우는 각 검사의 현재 Turn Around Time(TAT)보다 길어지는 경우와 검사 시 사용 시약량이 많아 장비사용이 불가능한 경우였다. 1차 선정에서 사용가능한 시약이 1개인 경우는 5종목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SCC Ag), 𝛽-human chorionic gonadotropin(𝛽-HCG), vitamin B12, folate, free testosterone 이었고, 2개인 경우는 8종목 (CA19-9, CA125, CA72-4, ferritin, thyroglobulin antibody(TG Ab), microsomal antibody(Mic Ab), thyroid stimulating hormone-receptor-antibody(TSH-R-Ab), calcitonin), 3개인 경우는 5종목(triiodothyronine(T3), Free T3, Free T4, TSH, intact parathyroid hormone(intact PTH)), 4개인 경우는 2종목(carcinoembryonic antigen(CEA), TG)이었다. 2차 최종 선정결과 사용가능한 시약이 3개인 것은 T3, Free T3, Free T4, TSH, CEA, 2개인 것은 TG Ab, Mic Ab, TSH-R-Ab, CA125, CA72-4, intact PTH, calcitonin이었다. 단수 지정된 종목은 ferritin, TG, CA19-9, SCC, 𝛽-HCG, vitamin B12, folate, free testosterone이었다. 2차 선정에서 제외된 사유에는 비교실험을 위한 시약공급이 안된 경우와 데이터 재현성에 문제가 있었던 경우, 데이터 변동에 대한 수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였다. 비교실험 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검체 수집이었다. 검사건수가 많고 검사 시 필요한 검체량이 적은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검사건수가 적은 경우(월 100건 이하)에는 다양한 농도 검체를 수집하기가 어려웠으며, 한번 검사 시 필요한 검체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100 uL이상)에는 회수율시험을 진행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민감도 측정이나 희석시험을 위한 희석액이나 표준액0 물질이 부족한 경우도 문제점 중의 하나였다. [결 론] 검사시약 변경을 위한 비교실험 시 다양하고 충분한 검체 수집을 위해 적정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다. 또한 1회 검사 시 필요한 검체량 및 시약량에 따라 비교실험 시 필요한 총 검체량, 시약량 범위를 설정해 놓는다면 비교실험을 진행할 때마다 검체 수집과 실험계획을 세우는 데 부담이 줄어들 것이다.

TSH, FT4 검사의 Two-point Calibration Curve 적용의 유용성 평가 (Utility Evaluation of Two-point Calibration Curve applied for TSH, FT4 Tests)

  • 박혜미;유선희;이선호;김년옥
    • 핵의학기술
    • /
    • 제20권2호
    • /
    • pp.75-79
    • /
    • 2016
  • Purpose The ASAN Medical Center, Nuclear Medicine performs TSH (Thyroid stimulating hormone) and FT4 (Free Thyroxine) tests 8 times per day. Accordingly, 70 ~ 80 kit tubes are consumed every day for the measurements and the time consumed for reagent dispensing averages over 170 seconds, where the TAT (turnaround time) may be effected when the number of test samples is larger than expected. Therefore, the following test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to reduce the number of kit tubes consumed, and reduce the time for reagent dispensing. Materials and Methods The test is based on applying the same reagent for tests where the number of samples is 30 or less. The test for TSH was conducted 9 times from July $1^{st}$ 2015 to July $10^{th}$ 2015. The test for FT4 was conducted 4 times from June $18^{th}$ 2015 to June $22^{nd}$, 2015. Standard Solution No.2 (0.153 uU/mL) and No.5 (4.96 uU/mL) was selected as the two-point standards for the TSH test, and Standard Solution No.3 (0.777 ng/dL) and No.4 (2.044 ng/dL) was selected as the two-point standards for the FT4 test. 38 test samples were subject to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or TSH, the result of the normal test shows ranges of 0.20 ~ 0.37 uU/mL for Control1, 0.53 ~ 0.71 uU/mL for Control2, and 6.77 ~ 7.94uU/mL for Control3, while the result of two-point calibration curve test shows ranges of 0.18 ~ 0.27 uU/mL for Control1, 0.53 ~ 0.71 uU/mL for Control2, and 7.30 ~ 8.52 uU/mL for Control3. For FT4, the result of the normal test shows ranges of 0.85 ~ 0.94 ng/dL for Control1 and 4.23 ~ 4.57 ng/dL for Control2, while the result of two-point calibration curve test shows ranges of 0.61 ~ 0.75 ng/dL for Control1 and 3.88 ~ 5.71 ng/dL for Control2. For TSH, the CV% of the normal test for Control1, Control2 and Control3 are 10.5, 3.3 and 3.6 respectively, while the CV% of the two-point calibration curve test for Control1 and Control1 are 12.4, 8.2 and 5.1 respectively. The result shows an outstanding correlation of TSH: y = 0.9985x - 0.0459 $R^2=0.9986$. For FT4, the CV% of the normal test for Control1 and Control2 are 0.70 and 0.71 respectively, while the CV% of the two-point calibration curve test for Control1 and Control1 are 8.7 and 16.2 respectively. The result shows an outstanding correlation of FT4: y = 1.2674x - 0.1133 $R^2=0.9824$. Conclusion The two-point calibration curve can be efficiently applied for TSH in cases where the number of test samples is not large, since the number of samples to be re-tested increases when the result is abnormal from the calibration curve. The two-point calibration curve test should not be applied for FT4 where the results do not consistently comply with the quality assessment range. Depending on how the two-point calibration curve is applied, up to 5 test tubes can be conserved per test, and the reduced time for reagent dispensing is anticipa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AT (turnaround time).

  • PDF

Diagnostic value of Thyroglobulin Measurement with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for Lymph Nod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 Zhang, Hai-Shan;Wang, Ren-Jie;Fu, Qing-Feng;Gao, Shi;Sun, Bu-Tong;Sun, Hui;Ma, Qing-Ji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4호
    • /
    • pp.10905-10909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FNA-Tg for detecting lymph nod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DTC).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8 patients with DTC diagnosis and evidence of single or multiple suspicious cervical lymph nodes were assessed. All underwent total or near-total thyroidectomy with (35 cases) or without (23 cases) radioiodine (RAI) ablation, followed by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suppression therapy. A total of 68 lymph nodes were examined by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US-FNA) for both cytological examination and FNA-Tg measurement. Serum Tg and anti-thyroglobulin antibody (TgAb) levels were also measured. Diagnostic performance including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positiv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FNAC and FNA-Tg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NA-Tg and serum TgAb. Results: The FNA-Tg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 DTC metastatic lymph nodes (median 927.7 ng/mL, interquartile range 602.9 ng/mL) than non-metastatic lymph nodes (median 0.1 ng/mL, interquartile range 0.4 ng/mL) (p<0.01). Considering 1.0 ng/mL as a threshold value for FNA-Tg,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PPV and NPV of FNA-Tg were 95.7%, 95.5%, 95.6%, 97.8% and 91.3%,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accuracy of the combination of FNAC and FNA-T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NAC alone (p<0.05).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FNA-T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ases with or without RAI ablation, and the serum TgAb levels did not interfere with FNA-Tg measurements. Conclusions: Measurement of FNA-Tg is useful. The combination of FNAC and FNA-Tg is more sensitive and accurate for detecting lymph node metastases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DTC than FNAC alone. Serum TgAbs appear to be irrelevant for measurement of FNA-Tg.

과도한 주간 졸림과 탈력발작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se Confounding with Thyrotoxicosis)

  • 정재경;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40-44
    • /
    • 2011
  • 기면병은 과도한 주간 졸림, 탈력발작, 수면 분절화, 입면환각의 특징을 가진 수면 질환이다. 기면병의 증상은 내과적, 신경과적 질환으로부터 생길 수도 있다. 17세의 고등학생 남자 환자가 3개월 전부터 발생한 참을 수 없는 과도한 주간 졸림으로 본원 수면클리닉을 통해 입원하였다. 내원 이후 측정된 체질량지수는 30.4 kg/$m^2$였고 맥박은 분당 70~90회, 혈압은 150/100~120/70 mmHg로 관찰되었다. 갑상선기능 검사에서 T3 391.2 ng/dL(60~181), free T4 4.38 ng/dL(0.89~1.76),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 <0.01 ${\mu}IU$/mL(0.35~5.5)로 갑상선 중독증이 시사되었다. 수면다원검사가 실시되었고, 수면 자세의 변환은 시간당 81 회로 매우 많은 편이었다. 입면 잠복기는 33.5분, 수면 효율은 47.9%, 입면에서 렘수면 입면시간은 153.6분으로 지연되었고 렘수면은 27.1%로 증가하였다. 주기성 사지 운동지수는 13.4/h로 나타났다. 수면잠복기반복검사에서 평균 입면잠복시간은 24초, SOREMP(sleep onset REM period)은 3회에서 관찰되었다. actogram상 수면-각성의 경계가 불분명하였고, HLA typing에서 DQB1 $^*0602$는 음성이었다. 환자의 갑상선중독증은 대해 3개월간 methimazole 30 mg, propranolol 40 mg이 투약되며 갑상선 기능이 호전되었다. 탈력발작은 venlafaxine 75 mg으로 조절되었고, 야간 수면 유지와 주기적 사지운동증을 치료 하기 위해 clonaze-pam 0.5 mg이 사용되었고 주관적인 야간 수면의 질은 향상되었다. 과도한 주간 졸림에 대해서는 3개월간 modafinil 200~400 mg이 투여되었고 부분적이긴 하지만 다소의 호전을 보이고 있다. 본 증례는 기면병으로 최종 진단된 환자에 있어 병력과 검사상 발견된 갑상선 중독증, 그리고 수면 효율 감소 등이 과도한 주간 졸림을 평가하는데 혼란 변수로 작용한 경우라 하겠다. 다만, 주간 과다 졸림이 modafinil에 부분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 HLA DQB1 $^*0602$ 음성의 결과를 보인 환자에게 나타났던 탈력발작에 대해서도 더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CSF hypocretin level을 추가로 측정하고 수면 문제의 추이를 관찰하면서 추가적인 PSG와 MSLT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뇌하수체선종의 방사선치료후 혈중 호르몬치의 변화 (Radiation Therapy for Pituitary Adenoma -Changes in Endocrine Function after Treatment-)

  • 윤세철;장홍석;김성환;신경섭;박용휘;손호영;강준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185-195
    • /
    • 1991
  • 가톨릭의대 강남성모병원 방사선치료실에서는 1983년 3월부터 1990년 4월 사이 7년여 동안에 뇌하수체선종으로 확진되었던 74명의 환자($7\~65$세, 평균 37세, 남:여=39:35)에 대하여 뇌하수체부위에 외부방사선치료를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 MV 선형 가속기를 사용하여 선원중심축거리 80 cm, $4{\times}4{\times}4\~8{\times}8{\times}8cm^3$ 조사야로 3문조사하였다(180cGy/일, 5회/주, $20\~65$Gy). 5예에서는 정위다방향고선량단일조사($15\~25$ Gy/l회)를 실시하였다. 이 환자들의 수술전후 및 방사선치료 후에 복합뇌하수체자극검사를 실시하여 종양의 호르몬분비에 따른 분류와 방사선치료가 호르몬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조사하였다. 호르몬분비에 따른 뇌하수체선종의 분류는 프로랙틴종 23예($29\%$), 성장호르몬분비종 20예($26\%$), 부신피질자극호르몬분비종 6예 ($8\%$) (쿠싱병 4예와 넬슨증후군 2예)였으며 4예 ($5\%$)에서는 프로랙틴과 성장호르몬을 동시에 분비하였다. 한편, 호르몬분비기능없는 종양이 29예($37\%$)였다. 23예의 프로랙틴종 중 15예 ($65\%$)와 20예의 성장호르몬분비종 중 3예 ($15\%$)에서는 방사선치료$2\~3$년 후 정상 호르몬 수치로 전환되었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분비종은 6예 중 1예를 제외한 전예에서 치료 후 모두 정상이되었다. 방사선치료에 따른 부작용으로서 범하수체기능저하증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이 각각 7예($9\%$)씩 그리고 성선기능저하증 2예 ($3\%$) 등이 관찰되었다. 전예 중 15예 ($20\%$)에서는 정기적인 호르몬 추적검사를 실시하지 못하였다.

  • PDF

핵의학 체외검사실에서 시약 lot간 parallel test 시 변이 분석 (Analysis of Variation for Parallel Test between Reagent Lots in in-vitro Laboratory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 채홍주;천준홍;이선호;유소연;유선희;박지혜;임수연
    • 핵의학기술
    • /
    • 제23권2호
    • /
    • pp.51-58
    • /
    • 2019
  • 핵의학 체외 검사실 에서는 시약 Lot가 변경될 때, Lot 간의 결과가 신뢰성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Lot 간 동등성 검사(comparability test between reagent lots) 또는 시약 병행 검사(reagent parallel test)를 시행하는데, 다수의 국내 검사실에서는 두 lot 간 결과 차이로부터 %difference를 구하여 저농도에서는 20% 이내, 중 고농도에서는 10% 이내로 설정하고 있으며 범위를 벗어 날 경우 재검사 시행으로 범위를 맞추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원의 핵의학 체외 검사실에서 시행되는 몇 가지 검사를 선정하여 parallel test의 결과를 분석해보았고, 검사별 맞춤 %difference 값 선정에 도움 될 만한 참고 자료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Thyroid-stimulating hormone(TSH), Free thyroxine(FT4), Carcinoembryonic antigen(CEA), CA-125, Prostate-specific antigen(PSA) 그리고 HBs-Ab, insulin, 7종목에 대해 2018 1월부터 2018년 11월까지의 기간 동안의 시약 lot 변화에 따른 정도 관리 물질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TSH, F-T4, CEA, CA-125, PSA의 측정에는 IRMA의 원리를 이용한 RIA-MAT 280 system이 사용되었고, Insulin의 측정에는 TECAN 자동화 분주 장비와 GAMMA-10 측정 장비가 사용되었다. HBs-Ab의 측정에는 HAMILTON 자동화 분주 장비와 GAMMA-10 측정 장비가 사용되었다. 각각 전용 시약과 전용 칼리브레이터, 전용 정도 관리 물질이 사용되었다. 1. TSH [%diffrence Max / Mean / Median] (P-value by t-test > 0.05) C-1(저농도) [14.8 / 4.4 / 3.7 / 0.0 ] C-2(중농도) [10.1 / 4.2 / 3.7 / 0.0] 2. FT4 [%diffrence Max / Mean / Median] (P-value by t-test > 0.05) C-1(저농도) [10.0 / 4.2 / 3.9 / 0.0] C-2(고농도) [9.6 / 3.3 / 3.1 / 0.0 ] 3. CA-125 [%diffrence Max / Mean / median] (P-value by t-test > 0.05) C-1(중농도) [9.6 / 4.3 / 4.3 / 0.3] C-2(고농도) [6.5 / 3.5 / 4.3 / 0.4] 4. CEA [%diffrence Max / Mean / median] (P-value by t-test > 0.05) C-1(저농도) [9.8 / 4.2 / 3.0 / 0.0] C-2(중농도) [8.7 / 3.7 / 2.3 / 0.3] 5. PSA [%diffrence Max / Mean / Median] (P-value by t-test > 0.05) C-1(저농도) [15.4 / 7.6 / 8.2 / 0.0] C-2(중농도) [8.8 / 4.5 / 4.8 / 0.9] 6. HBs-Ab [%diffrence Max / Mean / Median] (P-value by t-test > 0.05) C-1(중농도) [9.6 / 3.7 / 2.7 / 0.2] C-2(고농도) [8.9 / 4.1 / 3.6 / 0.3] 7. insulin [%diffrence Max / Mean / Median] (P-value by t-test > 0.05) C-1(중농도) [8.7 / 3.1 / 2.4 / 0.9] C-2(고농도) [8.3 / 3.2 / 1.5 / 0.1] 모두 정도 관리 물질의 lot 변경 시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표본 수가 늘어남에 따라 검사실과 검사 종목 별 맞춤 허용 기준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었다. 면역 방사 계수 측정법에서 비교적 검출률이 높은 종목들을 선정해서 일 것이라 판단되며 여러 번 재 측정된 결과 값이기 때문일 수도 있겠다. 대부분의 검사 결과에서 허용 기준인 10%에 크게 못 미치는 차이를 보였으며 저농도 target 값을 가진 경우에도 허용 기준인 20%에 가까운 수치를 보이진 않았다. 더 오랜 기간 동안의 관찰과 연구를 통해 평균의 균질화가 이루어진다면 종목 별 검사실 맞춤 허용 기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관찰과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발기부전 (Erectil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이양근;김진호;이홍범;이용철;박종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3호
    • /
    • pp.304-310
    • /
    • 2003
  • 연구배경 : 과거 발기 부전증의 원인은 적어도 90% 이상이 심인적인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최근 진단 기술의 개발로 인하여 과거에 심인적이거나 원인 불명으로 생각되었던 많은 환자가 기질성 발기 부전증으로 판명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많은 수가 성욕의 감퇴와 성기능 장애를 자주 호소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발기의 정도를 평가하여, 이 질환이 발기부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에 입원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자 10명과, 정상 성인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각 군에게 Rigi Scan을 실시하여 수면중 10시간 동안의 음경팽창정도(둘레의 증가)와 강직도를 동시에 지속적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수면중 음경의 평균발기 횟수($2.4{\pm}1.2$회) 및 발기의 지속시간($30.5{\pm}13.9$분)은 정상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며(p<0.05), 발기 지속시간의 감소는 동맥 혈중내의 산소 농도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p<0.05, r=0.636). 결 론 : 만성폐쇄성폐질환 자체로 인한 저산소증은 발기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기질적인 원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