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yroid scan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8초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문제중심 증례 개발 (Development of Problem-based Learning case using Multimedia)

  • 이진형;유선미;박일환;이상훈;이태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8-17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PBL(problem-based learning) system using visual C++5.0 as a window-based application program. A patient who complains of weight loss was used in PBL case. Initial frame is made by dialog-based in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 Also, sample medical images are composed of ultra-sound, chest PA, Thyroid scan, otherwise. we will make this program as CD-ROM and the internet application or computer assisted learning and continuous medical education.

  • PDF

흉선 유암종의 세침 천자 세포학적 소견 - 1 예 보고-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Thymic Carcinoid Tumor - A case report -)

  • 공구;이중달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2-147
    • /
    • 1991
  • Diagnosis of a thymic carcinoid was made on transthoracic fine needle aspiration in a 36-year old woman who had an anterior mediastinal mass on chest X-ray and CT scan. The aspiration smears showed numerous anastomosing ribbons and cords of small round tumor cells. The tumor cells had slightly eccentric nuclei and some granular cytoplasm. The small and uniform nuclei of the tumor cells had finely granular chromatin and thin nuclear membrane. The cytologic diagnosis of a carcinoid was confirmed on histopathologic, immunohistochemical, and electromicroscopic examination of surgical specimen.

  • PDF

제 4 새성 기형 1예 (A Case of Fourth Branchial Cleft Cyst)

  • 박일석;장재혁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3-56
    • /
    • 2005
  • The branchial anomaly is a lateral neck mass commonly seen by otolaryngologists. Depending on its anatomic location, branchial anomaly can be classified into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The fourth branchial cleft anomaly is very rare entity and until now, only 35cas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It may present as neck cyst, recurrent neck abscess, thyroiditis. Combined with barium swallow esophagogram and computed tomography scan can aid in diagnosis of this rare disease entity. Complete excision of the entire epithelial tract combined with ipsilateral thyroid lobectomy remains the mainstay of treatment.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lateral neck mass which was anatomically presumed to be the fourth branchial cleft cyst. We report this case with the related literature.

Hyperplastic Autotransplanted Parathyroid Tissue Migrating into Fatty Tumor after Total Parathyroidectomy

  • Reza, Joseph Arturo;Wiese, Georg Kristof;Portoghese, Joseph Dominic
    •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236-239
    • /
    • 2018
  •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SHPTH) occurs commonly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ESRD). Uncontrolled SHPTH i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of calcium deposition including calciphylaxis and elevated rates of cardiovascular morbidity.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medically refractory disease include total parathyroidectomy, often with autotransplantation (TPTH+AT) of minced parathyroid gland. Surgical intervention i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cardiovascular mortality. We report a case of a 56-year-old man with ESRD who developed SHPTH and underwent TPTH+AT of parathyroid tissue into the right brachioradialis muscle. Over the course of 7 years he developed a mass at the site of the autotransplanted gland as well as recurrent refractory hyperparathyroidism with increased forearm uptake noted on sestamibi scan. After excision of this mass, pathology demonstrated hyperplasia of the minced gland fragments which were embedded within a mass of fibroadipose tissue rather than the muscle tissue it was originally transplanted in.

핀홀 콜리메이터 초점의 직경 크기 별 성능비교 및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 Pinhole Collimator According to the Aperture Diameter)

  • 이광훈;안병호;김수영;최성욱
    • 핵의학기술
    • /
    • 제18권1호
    • /
    • pp.104-109
    • /
    • 2014
  • 핀홀 콜리메이터는 목적 장기 영상의 확대와 고 분해능을 필요로 하는 검사에 사용하며 주로 갑상선 검사와 전신 뼈 검사 시 정적검사에 이용되어 왔다. 현재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핀홀 콜리메이터 초점 직경은 2 mm, 4 mm, 6 mm 및 8 mm의 4종류가 있지만 기존 핀홀 콜리메이터 검사는 모든 검사에 있어서 4 mm 직경의 초점만을 이용한 검사를 시행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한 각각의 초점 직경별 성능을 비교 평가해보고 임상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알아보고자 하였다. Gamma camera E.CAM을 이용하였으며 핀홀 콜리메이터와 2 mm, 4 mm, 6 mm, 8 mm의 4가지 초점을 준비하였다. 분해능 실험을 위해 capillary tube를 이용한 선 선원과 micro deluxe phantom을 사용하였으며 선 선원을 이용한 FWHM과 micro deluxe phantom을 이용한 육안 평가를 하였으며 두 가지의 분해능 실험 모두 인위적인 방법을 통한 핀홀 SPECT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하였고 thyroid phantom을 이용하여 5분 시간 설정법과 230 kcounts 계수 설정법에 대한 영상비교와 각 초점별 시간 설정법에 대한 계수치와 계수 설정법에 대한 검사 소요시간을 비교하였으며 thyroid phantom을 만든 후의 일반영상과 24시간 후의 지연영상의 100 kcounts 계수를 획득 후 열소와 주변부의 $150mm^2$ ROI를 설정하여 SNR, uniformity, contrast값을 비교해 보았다. 선 선원을 이용한 FWHM 평가에서는 2 mm, 4 mm, 6 mm, 8 mm의 각 초점별로 2.2 mm FWHM, 3.2 mm FWHM, 5.4 mm FWHM, 7.5 mm FWHM의 FWHM이 측정되었고 micro deluxe phantom을 이용한 육안평가에서는 초점이 작아질수록 분해능이 점차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Thyroid phantom 5분 시간 설정법에 대한 계수치는 각 초점별로 27 kcounts, 96 kcounts, 228 kcounts, 410 kcounts가 획득되었으며 230 kcounts의 계수 설정법에 대한 검사 소요시간은 각 초점별로 39.7분, 11.5분, 5분, 2.7분이 소요되어 초점이 커질수록 감도가 향상 되었다. 일반영상과 지연영상의 SNR 평가에서는 2, 4, 6, 8 mm 각 초점별 값은 일반영상에서 6.55, 8.47, 6.2, 5.23으로 4 mm 초점에서 가장 높은 SNR값이 나타났으며 지연영상에서 5.25, 5.01, 5.38, 5.82로 8 mm 초점에서 가장 높은 SNR값이 나타났다. Uniformity 평가에서는 0.152, 0.118, 0.161, 0.19로 4 mm 초점에서 가장 낮은 uniformity값이 나타났으며 지연영상에서 0.19, 0.199, 0.185, 0.171로 8 mm 초점에서 가장 낮은 uniformity값이 나타났다. Contrast평가에서 일반영상은 1.31, 1.19, 1.15, 1.01로 2 mm 초점에서 가장 높은 contrast값이 나타났으며 지연영상은 1.09, 1.08, 1.04, 1로 2 mm 초점에서 가장 높은 contrast값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핀홀 콜리메이터의 초점별 성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감도와 분해능은 초점 크기에 따른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mm 초점은 고 분해능 영상을 획득할 수 있지만 낮은 감도로 인해 소동물형 검사나 환자의 방사능이 충분할 경우에 유용한 검사가 될 것이다. 6 mm, 8 mm 초점은 분해능 저하는 있지만 높은 감도로 인해 중증환자나 움직임이 많은 소아의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지연 영상 시 큰 초점의 높은 감도와 SNR, uniformity의 장점을 활용한다면 전신 뼈 검사 시 지연된 핀홀 정적검사에 고려해 볼 수 있다.

  • PDF

Tc-99m pertechnetate/Tl-201 감영 신티그라피에서 부갑상선 선종으로 오인된 흉선종 1예 (A Case of Thymoma Misdiagnosed as Parathyroid Adenoma on Tc-99m pertechnetate/Tl-201 Subtraction Scintigraphy)

  • 정용안;유이령;김성훈;정수교;왕영필;정지한;이교영;김병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4-279
    • /
    • 2001
  • A large superior mediastinal mass was found incidentally by ultrasonography in a 60-year-old man. There was an abnormal accumulation of Tl-201 in the lower pole of left thyroid gland, extending into left superior mediastinum on Tc-99m pertechnetate/Tl-201 subtraction scan. Laboratory findings relating thyroid and parathyroid were all within normal range. We considered the mass as a non-functioning parathyroid adenoma tentatively. However, subsequent surgery and 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the mass to be a benign mixed thymoma. We report a case of patient with thymoma showing unusual Tc-99m pertechnetate/Tl-201 subtraction imaging and laboratory findings, and suggest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other mediastinal tumors rather than parathyroid adenoma.

  • PDF

중증외상환자 CT 검사 시 검사보조자의 방사선피폭 경감을 위한 융합적 망토 차폐체의 유용성 연구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a fusion model designed cloak shield to reduce the radiation exposure of the assistant during CT of severely injured patient)

  • 서선열;한만석;김창규;전민철;김용균;김갑중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11-216
    • /
    • 2017
  • 중증외상 환자 CT(Computed Tomography)검사 시 검사 보조자의 방사선 피폭경감을 위하여 새로운 융합적 모델의 망토 차폐체를 제작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 방법으로 뇌혈관 CT 검사와 동일한 조건에서 두부 팬텀과 인체 팬텀을 이용하여 기존 차폐체와 새롭게 개발된 망토 차폐체를 이용하여 심장, 양쪽 액와부 그리고 갑상샘 부위를 유리선량계로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차폐체가 기존의 차폐체 보다 방사선 차폐율이 심장 61.9 %, 좌측액와부 46.2 %, 우측액와부 69.8 %, 그리고 갑상샘 71.1 % 로 각각 높게 측정되었다. 새롭게 개발된 망토 차폐체가 방사선 피폭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며 향후 새롭게 개발된 융합적 모델의 망토 차폐차가 방사선 피폭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방촬영술에서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납치마의 선량차폐 효과 측정 (Invivo Dosimetry for Mammography with and without Lead Apron Using the Glass Dosimeters)

  • 유수정;임상욱;마선영;서선열;김영재;강영남;금기창;조삼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2호
    • /
    • pp.93-98
    • /
    • 2015
  • 본 연구는 유방촬영술을 시행할 때 유방인접조직의 생체내선량 측정을 통해 방호복 착용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방검진을 받는 일반 여성 중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동의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유방촬영시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을 실시 하였다. 유리선량계의 교정값을 구하기 위하여 팬텀(ACR phantom)을 이용하여 촬영 변수중 각각 관전압과 관전류의 중간값(27 kVp, 120 mAs)고정 시 mAs와 kVp를 변화시켜 장치에서 계산된 선량을 얻어 유리선량계 소자의 교정값을 구하였다. 측정 그룹은 방호복을 착용하지 않는 A 그룹과 착용하지 않은 B 그룹으로 나누었다. 생체내 선량측정 특성상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반복 촬영을 할 수 없음으로 A 그룹은 좌 우 유방촬영에 따라 인접 정상조직의 선량이 차이가 없을 보고자 하였다. B 그룹은 한쪽 유방은 방호복으로 차폐를 하고 다른 쪽 유방은 방호복으로 차폐를 하지 않음으로 그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인접 정상조직 측정에는 갑상선, 검사반대측 유방, 하복부로 각각의 부위에 유리선량계를 위치시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방촬영 시 입사표면선량은 A그룹의 경우, 왼쪽유방 상하방향 검사 시 갑상선은 0.0692 mGy, 오른쪽 유방은 0.6790 mGy, 하복부의 선량은 0.0122 mGy로 나타났고, 오른쪽 상하방향 검사 시에는 각각 0.0607 mGy, 0.4062 mGy 그리고 0.0166 mGy로 측정되었다. B그룹의 입사표면선량은 왼쪽유방 상하방향 검사 시 갑상선, 오른쪽 유방, 하복부의 선량이 각각 0.0922 mGy, 0.8575 mGy, 0.0150 mGy로 나타났다. 방호복을 착용한 오른쪽 상하방향 검사는 갑상선이 0.0158 mGy, 왼쪽유방은 0.0286 mGy, 하복부가 0.0173 mGy의 선량을 보여 갑상선과 유방의 선량이 대폭 감소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모니터의 유선선량을 관찰해 보면 A, B그룹 모두 권고값인 3 mGy 이하의 선량값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유방촬영시 환자의 결정장기가 받는 표면선량은 모두 기준치 이하의 선량을 보였으나 방호복 착용에 따른 선량 저감 효과를 볼 수 있어 방호복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산화 단층검사 시 Bismuth와 CARE kV System을 이용한 선량 저감화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Dose Reduction During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by CARE kV System and Bismuth)

  • 곽영곤;김종일;정성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33-24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전산화 단층검사 시 방사선 투과 물질로 방사선량을 흡수하여 피폭 선량을 감소시키는 물질로 알려진 차폐용 Bismuth(비스무스)와 CARE kV(Automated Dose-Optimized Selection of X-ray Tube Voltage)을 사용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기관인 수정체(안와), 갑상선, 가슴(유방), 생식기의 선량 감소 효과와 각 기관의 심부선량 차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Rando Phantom과 유리 선량계를 이용하여 Bismuth 사용 전 후와, CARE kV의 적용에 따른 선량 감소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뇌혈관 검사 시 CARE kV을 단독 설정한 검사 방법의 선량이 가장 적었으며, CARE kV 사용여부에 따라 63%의 선량 감소 효과가 있었다. 경동맥 검사 시 CARE kV+Bismuth의 설정 방법에서 선량이 13% 증가하였다. 심혈관 검사 시 CARE kV+Bismuth의 설정 방법이 31% 선량 감소 효과가 있었다. 하지 혈관 검사 시 Bismuth 전체의 설정 방법이 가장 선량이 적게 측정되었지만, 영상 평가 기준에 부적합 하였다. CARE kV을 설정한 검사 방법과는 약 9%의 선량 감소 효과가 있었다.

Mild stimulation of stomach 36 acupuncture point by organic nanoscale SP6 patch improves cellular physiologic functional status of different organs

  • Nazeran, Homer;Blake-Greenberg, Sherry;Haltiwanger, Emily
    • 셀메드
    • /
    • 제2권1호
    • /
    • pp.10.1-10.6
    • /
    • 2012
  • Acupuncture works by stimulating peripheral sensory nerves and their endings causing an increase in cutaneous blood flow and microcirculation, as well as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neuropeptides, and hormones. SP6 Patch is a nanoscale nontransdermal device that mildly stimulates Stomach 36 (zusanli) and other acupuncture points. As stimulation of these points has been indicated to have an effect on hypothalamic function, it is of great research interes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6 Patch on the physiology of organs that are affected by hypothalamic regulation. Bioelectrical tissue impedance data indicative of cellular physiologic organ function, using an Electro Interstitial Scan (EIS) system, were acquired from hypothalamus, pancreas, liver, intestines, kidneys, thyroid and adrenal glands in 10 (1 male, 9 females) volunteers while wearing the SP6 Patch daily for 1 week. EIS testing was performed at baseline with no patch, 30 min after wearing the patch, and after wearing the patch 12 h/day for 1 week. Subjects were instructed to keep well hydrated during the study period. All subjects served as their own control. The hypothesis was: The SP6 Patch worn 12 h/day on the Stomach 36 acupuncture point for 1 week, may significantly improve cellular physiologic functional status of different organs measured by EIS. All tested organs achiev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functional physiologic status after wearing the SP6 Pach 12 h/day for 1 week compared to baseline with an overall average statistical power > 89%.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hypothesis was accepted as 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