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ymoma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6초

종격동 종양 및 낭종 5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the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50 Cases Analysis])

  • 조순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849-854
    • /
    • 1985
  • We have experienced 50 cases of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from March, 1979 to August, 1985 at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of this cases analysis were as followings; 1. Of all 50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26 patients were male and 24 patients were female. There was no sex preference.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27 months to 64 years, and mean age was 33.5 years old, and also no age preference. 2. The most common mediastinal tumor was benign cysts [12 cases], which comprise 24% of all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The second common mediastinal tumor was teratoma [9 cases-18%], and followed by thymic tumors and tuberculous granuloma [7 cases-14% each], neurogenic tumors [5 cases-10%], and other tumors [10 cases-20%]. 3. The anterior mediastinum was most common tumor location, and followed by middle, superior, and posterior. 4. All 9 teratomas were developed at anterior mediastinum, and 4 of 5 neurogenic tumors were developed at posterior mediastinum. Thymomas were developed at anterior and superior mediastinum. The bronchogenic cysts had no predilection of location. 5. The most common chief complaint at admission was chest pain or discomfort [23 cases-46%], and followed by cough with or without sputum, and exertional dyspnea. Asymptomatic patients were only 7 patients [24%]. 6. Of all 50 cases, 38 cases [76%] received radical tumor resection, 7 mediastinoscopic biopsy, 3 explo thoracotomy and biopsy, and 1 neck mass biopsy. 7. There were 2 hospital deaths, one of which was a patient who suffered malignant thymoma and Myasthenia Gravis. The patient received radical tumor excision, but died at 7th POD. The other patient was a patient with malignant transformation of the benign cystic teratoma. The operative mortality was 4%.

  • PDF

흉선종 - 14명에 대한 치료 효과 - (THYMOMA -A Review of Fourteen Patients-)

  • 김수곤;이형식;조관호;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권1호
    • /
    • pp.29-33
    • /
    • 1985
  • 흉선종은 비교적 드문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예후를 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수술시 육안적인 종양의 침윤정도이며, 치료는 수술에 의한 종양의 제거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방사선 치료 역시 수출 후 국소적 계발의 방지를 위해 쓰이고 있다.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 치료도 수술이 어려운 경우에 시행되고 있는 형편이다. 저자들은 1977년 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연세암센타 치료방사선과에서 흉선종 진단받고 치료한 14명의 환자를 후향성 분석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명의 환자$(14\%)$가 근무력증을 나타냈다. 2. 주변조직의 침윤이 $86\%(12/14)$에서 관찰되었다. 3. $43\%$에서 육안적 완전 절제를 시행하였고 $14\%$에서 부분결제, 그리고 $43\%$에서는 생검만 시행 하였다. 4. 수술 후 혹은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는 8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그중 현재 5명은 생존(4년, 2.8년, 1.6년, 1.4년, 1.3년), 3명은 사망(1년, 0.6년, 0.6년)하였다. 5. 방사선 치료선량은 대체료 $4,000\~4,500rad(1950\~7,000rad)$를 전후 흉곽 부위에 외부 조사하였다.

  • PDF

May-Thurner 증후군 환자에서 체외막산소공급 삽관 중 발생한 의인성 장골 정맥 손상: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Iatrogenic Iliac Vein Injury Follow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Cannulation in a Patient with May-Thurner Syndrome: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홍석진;이상민;원정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244-249
    • /
    • 2021
  • 52세 여자 환자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2개월 전에 침습성 흉선종으로 광범위 흉선절제술을 받았다. 전산화단층촬영에서는 양측 폐에 수많은 소결절들이 발견되었다.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이 악화되어 혈관외과의는 정맥-정맥 체외막산소공급(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이하 ECMO)을 계획하였다. 왼쪽 대퇴동맥을 통해 경피적 삽관술을 시행하는 도중에 혈관외과의는 혈관 손상을 의심하였고 환자의 활력 징후가 불안정해졌다. 8일 전에 촬영한 복부 컴퓨터단층촬영에서 May-Thurner 증후군이 있었고, 이후 시행한 혈관조영술에서 좌측 총장골정맥의 파열이 발견되어 stent-graft를 삽입하여 출혈을 멈추었다. 8일 전 시행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확인해 보니 May-Thurner 증후군이 있었다. 이에 May-Thurner 증후군 환자에서 ECMO 삽관으로 인한 혈관 손상이 발생하여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였던 드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원발성 종격동 종양 및 낭종의 진단과 치료 -단일 대학병원에서의 42년 보고- (Diagnosis and Treatment of Primary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 Forty-two years report in a University Hospital -)

  • 박무석;정경영;김길동;이홍렬;정재호;한창훈;문진욱;김영삼;신동환;김세규;김형중;장준;안철민;김성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1호
    • /
    • pp.29-39
    • /
    • 2004
  • 연구 배경 : 종격동 종양과 낭종은 최근 정기적인 건강 검진의 보급 및 진단 수기의 발달로 진단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장기간의 경과를 통한 우리나라에서의 특징적인 임상 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전 25년 동안의 보고와 1985년 7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최근 17년 동안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전체 종격동 종양 479예 중 흉선종이 183예(382%)로 가장 많았고, 종격동 구획에 따른 분포는 이전 보고와 유사하였다. 흉부 X-선 촬영상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174예(36.3%)로 이전의 보고(10.9%)보다 더 많았다. 악성 종양과의 감별을 위해 시행한 경피세침흡인생검의 전체 진단율은 68.6%이었고 악성 종양에서 80.9%로 진단율이 높았다. 전체 479예 중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환자는 405예(84.6%)이었고, 완전 절제율은 91.1%로 이전의 보고(78.8%)보다 더 높았다. 이전 보고와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한 42년 간의 결과는 총 662예 중 흉선종이 205예(31.0%)로 가장 많았다. 결 론 : 종격동 종양과 낭종은 최근 진단율과 완전절제를 통한 적극적인 치료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흉선종의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여 이에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종격동 종양에 대한 경피세침흡인생검(중심침생검 포함)의 전체 진단율이 68.6%이고, 악성 종양에서 80.9%로 높아 수술적절제 전 악성 종양과의 감별을 위한 일차적인 진단법으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중증 근무력증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Myasthenia Gravis)

  • 강정수;김길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1010-1016
    • /
    • 1996
  • 중증근무력증환자에 있어서 흉선 절제술은 대상이 되는 환자의 선택 기준이나 수술시기, 수술 방법에 있어서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지만 긍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치료 방법이다. 연세대학교흉부외과 학교실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83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중증근무력증으로 흉선 절제술을 시행한 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수술 사망은 1명에서 발생하였고 수술 후 추적은 75명에서 가능하였고 평균 추적기간은 56.9개월 이었다. 완전관해된 28명(37.3%)을 포함하여 64명(85.3%)에서 수술로 인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동반된 질환으로는 갑상선 질환이 8예로 가장 많았는데 이중 7명(87. 5%)이 완전관해를 보여 갑상선 질환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 67명중 21명(31.3%)의 완전관해보다 높은 치료 성공율을 나타내었다. 수술 전 병력 기간이 2년 미만인 환자 32명중 16명(50%), 2년 이상인 환자 43명중 12명(27.4%)이 완전관해를 보여 수술전병력 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 높은 치료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중증근무력증환자에 있어서 흉선 절제술 후 완전관해율은 갑상선 질환의 동반 여부와 수술 전 병력기간에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ulcorner었으며 병의 발생 연령(40세 이상),흉선종의 동반,고령 및 남자의 경우 수술 후 완전관해율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흉선의 조 직학적 소견으로 정상과 흉선 비후사이에 있어서 완전관해율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흉선 절제술은 대부분의 중증근무력증환자에 있어서 효과가 있었으나 임상증상적 분류로 기 속한 환자군은 수술로 인한 효과가 없었다.

  • PDF

중증 근무력증환자에서 흉선절제술의 효과 및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Surgically Treated Myasthenia Gravid)

  • 민경석;조유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73-78
    • /
    • 1996
  • 1989년 6월부터 1994년 5월까지 5년 동안 임상적으로 중증근무력증으로 진단받고 흉선절제술을 시행받은 23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흉선절제술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연령 및 성별분포, 수술전 증상의 정도와 유병 기간, 수술후 호전정도 그리고 총선의 병리 소견과 별기에 따른 흉선절제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술후 추적기간은 5개월에서 60개월로 평균 15개월이었다. 흉선절제술의 효과를 환자의 수술후 임상증상의 호전정도와 수술후 약물용량으로 분류하여 본 바 a) 완전회복이 5례 (21.7%), b) 임상증상의 현저 한 호전및 얕용량 감소가 11례 (47.8%), c) 약용량은 같으나 임상증상의 현저한 호전이 3례 (13.0%), 4)호전없음이 2례 (8.7%), e)사망이 1례(4.3%), f) 재발이 1례 (4.3%)로서 23례 중 19례 (82.5%)에서 완전회복 및 임상증상의 현저한 호전을 보였다. 수술전 증상의 중증도와 흉선절제술의 효과를 분석한바, Modified Osserman Staging 분류상 제1군 9례중 6례 (66.7%)가 임상적 호전을 보였고, 3례 (33.3%)에서는 호전이 없었다. 흉선절제술의 효과가 이 두 Group (제I기, 제II기)간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수술후 흉선의 병리 \ulcorner흉선절제술의 효과를 분석한바, 정상흉선의 4례는 전례 (100%)에서 모두 호전을 보였고, 과형 성 11례 에서는 10례 (90.9%)에서 호전을, 1례 (9.1%)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총선종이 있었던 8례 에서는 5례 (62.5%)에서 임상적 호전을 보인 반면 3례 (37.5%)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흉선조직의 병리에 따른 흉선절제술의 효과와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흉선절제술을 시행받은 대부분의 환자(82.5%)에서 완전회복 및 임상증상의 현저한 호전을 가져 왔다. 그러나 수술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알려진 증상의 중증도나, 흉선의 병리소견과 수술후 근무력증 치료효과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 PDF

Development of an In Vitro Test System Measuring Transcriptional Downregulatory Activities on IL-13

  • Choi, Jeong-June;Park, Bo-Kyung;Park, Sun-Young;Yun, Chi-Young;Kim, Dong-Hee;Kim, Jin-Sook;Hwang, Eun-Sook;Jin, Mi-R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3호
    • /
    • pp.331-337
    • /
    • 2009
  • Interleukin-13 (IL-13) has been proposed as a therapeutic target for bronchial asthma as it plays crucial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the disease. We developed an in vitro test system measuring transcriptional downregulatory activities on IL-13 as a primary screening method to select drug candidates from natural products. The promoter region of IL-13 (-2,048 to +1) was cloned into the upstream of a luciferase gene in the plasmid pGL4.14 containing the hygromycin resistance gene as a selection marker, generating pGL4.14-IL-13. The EL-4 thymoma and RBL-2H3 mast cells transiently expressing this plasmid highly produced the luciferase activities by responding to PI (PMA and ionomycin) stimulation up to 8-fold and 13-fold compared with the control, respectively, whereas cyclosporin A, a well-known antiasthmatic agent,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activities. The BF1 clone of RBL-2H3 cells constitutively expressing pGL4.14-IL-13 was established by selecting surviving cells under a constant lethal dose of hygromycin treatment. The feasibility of this system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downregulatory activities of 354 natural products on the IL-13 promoter using the BF1 clone. An extract from Morus bombycis (named TBRC 156) significantly inhibited PI-induced luciferase activities and IL-13 mRNA expression, but not the protein expression. Fisetin (named TBRC 353) inhibited not only PI-induced luciferase activities and mRNA expression, but also the IL-13 protein secretion, whereas myricetin (named TBRC 354) could not suppress the IL-13 expression at all. Our data indicated that this in vitro test system is able to discriminate the effects on IL-13 expression, and furthermore, that it might be suitable as a simple and time-saving primary screening system to select antiasthmatic agents by measuring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the IL-13 promoter.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 절제술 (Video-Assisted Thoracoscopic Excision of Mediastinal Masses)

  • 박순익;김동관;유양기;김용희;박기성;박창률;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1호
    • /
    • pp.807-811
    • /
    • 2002
  • 종격동 종양의 경우 그 분포가 다양하나 양성질환이 더 많고, 흉강경 수술시 시야가 좋으며, 수술에 필요한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디오 흉강경 절제술이 기존의 개흉술에 못지 않은 수술방법 이라고 생각되어 본원에서 양성 종격동 종양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 절제술을 시행하고 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근무력증을 제외한 양성 종격동 종양 43례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술을 시도하여 이중 개흉술로 전환된 5례를 제외한 38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성별은 남자가 13명(34.2%), 여자가 25명(65.8%)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39.2$\pm$35.4세였다 진단은 신경초종(neurilemmoma) 8.11(21.1%), 흉선 낭종(thyrnic cyst) 6례(15.8%), 기형종(teratoma) 5례(13.2%), 신경절신경종(ganglioneuroma) 5례(13.2%), 기관지원성 낭종(bronchogenic cyst) 4례(10.5%), 심막 낭종(pericardial cyst) 3례(7.9%), 흉선종(thymoma) 3례(7.9%), 림프관종(Iymphangioma) 2례(5.3%) 등이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110.6$\pm$7.0분, 평균 흉관 거치기간은 4.2 $\pm$0.4일, 수술후 평균 재원기간은 5.2$\pm$0.4일, 평균 술후 진통제 근주 횟수는 1.9 $\pm$ 0.4회이었으며, 이상의 측정치들은 개흉술로 전환된 5례와 비교하여 평균값이 적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수술후 합병증으로는 유미흉, 장기간 공기유출 및 일측성 횡격막 마비가 각 1례가 있었으나 퇴원시 소실된 일과성이었으며, 편측안검하수 1례가 있었다. 결론 :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 절제술은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으며, 수술 후 통증경감과 빠른 회복 및 미용상의 장점이 있어 계속 발전되고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원발성 종격동 종양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rimary Mediastinal Tumors)

  • 변정욱;조창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55-60
    • /
    • 1997
  • 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을 백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87년 9월 부터 1995년 12월까지 원발성 종격동 종양의 진단하에 수술을 시행한 40례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고찰을 하였다. 관찰 대상은 남자 18례와 여자 22례로 연령은 Vll에서 68세까지 였으며 평균 )4.1세였다. 종양의 진단시 증상은 흉통(12.5%), 기침(12.5%), 호흡곤란(7.5%) 경부종괴(7.5%), 흉부불쾌감(5.0%) 등이었다. 진단은 모든 예에서 단순 흉부엑스선 사진과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실시하였고 5례 에서는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다. 경피적 침생검은 22례에서 시행하여 16례에서 조직학적 진단을 얻었다(민감도 72.7%). 종양의 위치별 분포는 전상부 종격동 24례(60.0%), 후부 종격동 14례(35.0%), 중부 종격동 2례(5.0%)였다. 종양의 종류는 흉선종 11례(27.5%), 신경성종양 10례(25.0%), 배아세포종 7례(17.5%), 낭종 8례(20.0%), 거대 림프 절비대(Castleman's disease) 2례(5.0%), 방추세포육종 1례(2.5%) 그리고 림프종 1례(2.5%), 였다. 악성 종양은 5례로 침습성 흉선종 3례, 방추세포육종 1례, 림프종 1례였다. 치료는 양성의 모든 예와 악성종양 3례에서 완전절제하였고, 2례는 수술이 불가능하였다. 수술후 사망은 없었고 합병증은 창상피열, 성대마비, 어깨강직이 각각 1례씩 있었다.

  • PDF

종격동 질환의 비디오 흉강경 수술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for Mediastinal Lesions)

  • 김연수;김광택;손호성;김일현;이인성;김형묵;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40-45
    • /
    • 1998
  • 종격동은 기관, 식도, 심장 및 주요혈관 등 주장기와 조직으로 이루어진 곳으로 다양한 병변이 발생하며, 종격동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서 외과적 접근방법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최근 흉강경수술 개발은 종격동질환 진단 및 치료에서 새로운 효과적인 수기로 평가받고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2년 3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종격동의 병변에 33명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가 16명 여자가 17명이었으며 연령은 14세부터 69세였고 평균 42세였다. 대상이된 종격동 질환의 해부학적 위치는 전종격동 14례, 중종격동 5례, 후종격동 11례, 상종격동 3례였다. 종격동 질환은 신경초종 9례, 낭성기형종이 5례, 심막 낭종 4례, 신경절신경종 2례,흉선 2례, 흉선낭종 2례, 흉선종 1례, 식도평활근종 2례, 유피종 1례, 지방종 1례, 악성 림프종 1례, 기관지 원성 낭종 1례, 심막 삼출 1례, Boerhaave's병 1례였다. 수술중 작업 창이 필요했던 경우가 6례였다. 개흉수술로 전환한 경우는 6례(24%)로 종양이 커서 개흉수술 전환이 필요했던 경우가 1례, 심한유착으로 인한 개흉수술 전환이 3례, 흉강경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경우가 2례있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116분($\pm$56분)이었다. 수술후 흉강 드레인 거치기간은 평균 4.7일이었다. 수술후 평균 입원일수는 8.7일이었다. 종격동 각부위의 종양 및 염증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비디오 흉강경의 적용이 가능하였으며,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 절제술은 안전성, 수술후 통증경감 및 빠른회복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