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ujon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쑥 추출물 함유 음료와 미세캡슐의 제조 및 저장 중 휘발성분 변화 (Volatile Changes in Beverages and Encapsulated Powders Containing an Artemisia Extract during Production and Storage)

  • 박민희;김미자;조완일;장판식;이재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71-276
    • /
    • 2011
  • 저장온도 및 기간에 따른 참쑥(Artemisia princeps Pampan)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 및 미세캡슐의 휘발성 성분변화를 SPMEGC/MS로 분석하였다. 쑥 추출물을 0.32, 0.64% 함유한 음료 S1, S2는 상온에서 8주간, $60^{\circ}C$에서 8일간 저장하고 쑥 추출물 함유미세캡슐은 상온과 $60^{\circ}C$에서 각각 8일간 저장하였으며 휘발성성분을 측정하였다.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쑥 추출물 함유 음료의 총 휘발성 성분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ymene, thujone, ${\beta}$-myrcene 등을 포함한 terpenoid류는 쑥 추출 물 함유 음료의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동정되었으며, $60^{\circ}C$에서 저장한 쑥 추출물 함유 음료에서는 추가적으로 ethylfuran, vinylfuran, 2-fufural의 furan류 성분이 증가하였다. 쑥 추출물 함유 미세캡슐을 8일간 저장한 후, 총 휘발성 성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상온에서 저장한 경우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60^{\circ}C$에서 저장한 경우는 유의적으로 16.5배 증가하였다(p<0.05). 쑥 추출물 함유 미세캡슐의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limonene이 가장 높았으며, $60^{\circ}C$에서 저장한 쑥 추출물 함유 미세캡슐에서만 유지산화에 의한 hexanal, pentanal, octanal, heptanal, nonanal 등의 aldehyde류와 2-butylfuran, 2-pentylfuran과 같은 furan류가 추가로 검출되었다. 이는 미세캡슐제조 시 사용된 피복물질의 산화에서 유래한 된 것으로 예측된다.

국화 꽃 휘발성 향기성분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작용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Food-Borne Pathogens by the Volatile Flavor of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Flower)

  • 장미란;서지은;이제혁;정미숙;김건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4-161
    • /
    • 2010
  • 국화 정유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증하기 위해 국화 정유와 그 주성분인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10종 균주에 대하여 agar-well diffusion 분석법으로 생육 여부를 분서하였다. 실험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에 대해서 탁월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 Agar-well diffusion 분석법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음성균보다 Gram 양성균에 대해서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국화 정유의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은 모든 균주에 대하여 5 ${\mu}g/m{\ell}$에서 균의 생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났고, minimum bacteriocidal concentration은 S. choleraesuis와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시험농도 내에서 사멸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다른 균주에 대해서는 5~20 ${\mu}g/m{\ell}$에서 살균력이 나타났다. 또한 액체 배양중의 항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24시간 동안 꾸준히 항균력이 지속되었다. 따라서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조성분으로 함유한 국화 정유성분은 10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입증되어, 천연 항균제재로서 식품보존료로의 이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제주감귤류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확인 (Identifica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Jeju citrus fruits)

  • 홍영신;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77-988
    • /
    • 2016
  • 제주감귤류(천혜향, 한라봉, 진지향, 황금향 및 레드향)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SDE 방법으로 휘발성 화합물을 추출한 후 GC/MS로 확인하였다. 천혜향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104종(4,939.77 mg/kg), 한라봉 98종(3,286.38 mg/kg), 진지향 105종(3,317.56 mg/kg), 황금향 102종(4,293.39 mg/kg) 및 레드향 108종(4,049.94 mg/kg)으로 확인되었다. Limonene, sabinene, ${\beta}$-myrcene, ${\alpha}$-pinene, ${\beta}$-pinene, linalool, 4-terpineol, ${\alpha}$-terpineol, (E)-${\beta}$-ocimene 및 ${\gamma}$-terpinene 등은 제주감귤류의 공통적인 주요 향기로 확인 되었다. Ethyl-benzene, nonanol, 1-p-menthen-9-al, (E)-isocarveol, methyl salicylate, ${\alpha}$-terpinen-7-al, perilla alcohol 및 ethyl dodecanoate은 천혜향에서만 확인된 휘발성 향기 성분이다. ${\beta}$-Chamigrene 및 ${\alpha}$-selinene은 한라봉에서만 확인되었으며, 3-hydroxybutanal, (E)-2-nonenal, isoborneol, octyl acetate, (E)-2-undecenal, ${\beta}$-ylangene 및 guaia-6,9-diene은 진지향에서만 확인되었다. ${\rho}$-Cymenene, ${\beta}$-thujone, selina-4,11-diene 및 (E,E)-2,6- farnesol은 황금향에서만 확인되었으며, ${\rho}$-cymen-8-ol, bornyl acetate, carvacrol, bicyclo elemene, ${\alpha}$-cubebene 및 7-epi-${\alpha}$-selinene 등은 레드향에서만 확인된 향기성분이다. Limonene은 제주감귤류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가장 많은 함량으로 확인되었으며, 비율은 42.57%~62.18%이다. 본 연구결과 제주감귤류의 품종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 함량과 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원료 첨가를 달리한 오가피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Ogapi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 최향숙;민경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25-53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원료 첨가(오가피, 영지버섯, 솔잎 및 홍삼)를 달리하여 오가피주를 제조하여 영양성분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고 기타 주류의 품질요인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평가하고 관능검사를 수행함으로서, 제조한 오가피주의 다양한 품질 평가를 수행하여 민속주로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주정도는 오가피 및 기타의 기능성 소재의 함량을 달리한 4가지 시료에서 각각 14.5-15.3%로 큰 차이를 볼 수는 없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오가피주가 일반 약주 보다 훨씬 많은 양이 검출되었으며 반면 오가피 및 기타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시료에서 citric acid와 tartaric acid는 오히려 약간 양이 감소한 것으로 보여졌다. 오가피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histidine이 가장 많았으며, 총 유리아미노산 및 유리당 함량은 시료 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료 A 및 B에서는 총 49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시료 C와 D에서는 각각 48 및 31종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무첨가군인 시료 D의 경우 alcohol류의 함량이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보여졌으며 ethanol의 함량이 79.59%로, iso-butyl alcohol이 0.35%로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보여졌다. 오가피, 영지버섯, 솔잎 및 홍삼이 함유된 시료 A, B, 및 C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테르펜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이는 주류 고유의 향기성분 외에 첨가된 오가피, 영지버섯, 솔잎 및 홍삼에 의해 더욱 다양한 향기성분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는데, 특히 ${\alpha}-copaene$의 함량이 시료 D에서보다 A, B 및 C에서 2배 이상 높게 다량 확인되었다. GC-O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을 관능적으로 동정한 결과 기능성 소재의 배합 비율에 따라 소비자가 느끼는 관능적 특성은 상당히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가피 함량이 높은 술일수록 명도가 높아 밝고 황색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고, 오가피를 0.1%첨가한 오가피주가 좋은 맛과 감칠맛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Artemisia feddei

  • Cha, Jeong-Dan;Jung, Eun-Kyung;Kil, Bong-Seop;Lee, Kyung-Ye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2호
    • /
    • pp.2061-2065
    • /
    • 2007
  •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e essential oil from Artemisia feddei LEV et VNT. were analyzed using GC-MS. Ninety-nine compounds, accounting for 96.23% of the extracted essential oil, were identified. The main oil compounds were 1,8-cineole (16.86%), chamazulene (9.04%), ${\alpha}$-terpineol (8.18%), ${\alpha}$-phellandrene (5.78%), ${\alpha}$-thujone (5.51%), ${\alpha}$-terpinyl acetate (5.07%), borneol (5.08%), ${\beta}$-caryophyllene (4.71%), camphor (4.04%), and terpinen-4-ol (3.04%).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and some of its compounds was tested against 15 different genera of oral bacteria. The essential oil from A. feddei had a considerable inhibitory effect on all the obligate anaerobic bacteria tested (MICs, 0.025 to 0.05 mg/ml; MBCs, 0.025 to 0.1 mg/ml), whereas the major compounds demonstrated different degrees of growth inhibition.

저장조건에 따른 싸주아리쑥 정유의 휘발성 성분 변화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Essential Oil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cv. ssajuari (ssajuarissuk))

  • 정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40-847
    • /
    • 2010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volatile compound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cv. ssajuari (ssajuarissuk) essential oils and analyzed changes in the contents of volatile compounds under fou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such as exposure to air at $20^{\circ}C$ and $40^{\circ}C$. Sixty-five volatile compounds consisting of 6 monoterpene hydrocarbons, 23 oxygenated monoterpenes, 16 sesquiterpene hydrocarbons, 6 oxygenated sesquiterpenes, 1 diterpene, 6 benzene derivatives, and 7 non-isoprenoid compound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mass spectra characteristics and retention indices from original ssajuarissuk essential oils. Identified compounds constituted 90.56% of the total peak area. Borneol (10.29%)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in the original ssajuarissuk essential oils, followed by 1,8-cineole (9.06%), viridiflorol (8.99%), spathulenol (8.73%), $\alpha$-thujone (5.28%), and camphor (4.39%). After six months storage at $40^{\circ}C$ with the cap opened for 3 min everyday, the total amount of volatile compounds in essential oil as determined by the percentage peak area decreased by 84.93%. The total levels of cis-sabinene hydrate, camphor, 4-terpineol, humulene oxide, $\beta$-caryophyllene oxide, and caryophyllene alcohol increased significantly. For ssajuarissuk essential oils stored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changes in the contents of volatile compounds in essential oils were accelerated by temperature and contact with the atmosphere.

Changes in the Volatile Compound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Essential Oils During Storage

  • Chung, Mi-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481-487
    • /
    • 2009
  • The compositional changes of wormwoo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essential oils were studied under 4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i.e., being exposed to air at 20 and $40^{\circ}C$. Sixty-four volatile compounds consisting of 24 terpene hydrocarbons, 18 alcohols, 11 ketones, 6 esters, 1 aldehyde, 2 hydrocarbons, and 2 oxide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mass spectra characteristics and retention indices in original wormwood essential oils. Identified compounds constituted 80.53% of the total peak area. Borneol (12.13%)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followed by $\alpha$-thujone (8.66%), T-cadinol (6.67%), and 1,8-cineole (6.21%) in original wormwood essential oils. Under the condition of $40^{\circ}C$ of temperature with the cap being opened for 3 min everyday respectively during 6 months of storage, the total amount of functional groups in essential oil determined by peak area percent were decreased by 79.45%, at most. The total level of monoterpene hydrocarbons decreased markedly in the aerobic condition and high temperatures. Whereas the total level of esters increased significantly. Wormwood essential oils were stored in experimental conditions, with the changes in the volatile compounds of essential oils being accelerated by high temperatures and contact with the atmosphere.

생쑥과 덖음쑥차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Raw Mugwort Leaves and Parched Mugwort Tea)

  • 김영숙;이종호;김무남;이원구;김정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1-267
    • /
    • 1994
  •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쑥(A. asiatica nakai)을 이용하여 전래의 녹차제조법에 따라 덖음쑥차를 제조하였다. 생쑥과 덖음쑥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Tenax trap으로 포집한 다음, GC-MS로 분리, 동정한 결과 58가지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이들 휘발성 화합물 중 향의 특징으로 보아 쑥향과 유사한 11가지 향기성분은 benzaldehyde, pinene, myrcene, cineole, 2-pyrrlidinone, camphor, thujone, 1-acetylpiperidine, caryophyllene, coumarin 그리고 famesol이었으며, 이들의 혼합물은 4월에 채취한 쑥의 향기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었으므로 이들 11가지 화합물을 덖음쑥차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지 표가 되는 화합물로 생각되었다.

  • PDF

셀룰로오스와 나일론 직물의 쑥 추출물에 대한 염색성과 항균성 (Dyeing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ellulose and Nylon Fabrics Treated with Artemisia Extracts)

  • 신승엽;정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130-1138
    • /
    • 2013
  • We examined dyeing properties using cotton, Tencel, general nylon 66 and hollow nylon 66 treated with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without mordant.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fabrics treated with Artemisia extracts against gram 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and gram negative Klebsiella pneumonia (K. pneumonia) were also examined. The dying solution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from a calibration curve of the concentration and absorbance of Artemisia extracts. FTIR spectra confirmed that antimicrobial components and colorants (such as 1,8-cineol, thujone, caffeoylquinic acid and chlorophyll) were more present in ethanol extract than in aqueous extract. Nylons had higher $a^*$ and $b^*$, and lower $L^*$ values than cellulose fabrics dyed with aqueous solutions of Artemisia extracts; however, the dyed nylon fabrics were brown. Fabrics dyed with ethanol-extract added solutions were greener and had higher antimicrobial properties than those dyed with aqueous solutions; however, they faded and lost their antimicrobial properties after laundering. Fabrics regained their antimicrobial properties (especially against S. aureus) by the spraying of Artemisia ethanol extract;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Artemisia ethanol extract onto underwear is expected to relieve atopic dermatitis.

Chemical Composition and Biocontrol Activity of Different Essential Oils against Soil-Borne Fungal Pathogens

  • Yusuf Akdeniz;Tuba Genc Kesimc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192-204
    • /
    • 2024
  •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the essential oil of Mentha longifolia, Achillea arabica and Artemisia absinthium plants were evaluated against important soil-borne fungal pathogens as Verticillium dahliae, Rhizoctonia solani, and Fusarium oxysporum. Essential oils were obtained from plants by hydrodistillation method and the chemical components of essential oils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main components found as piperitone oxide (13.61%), piperitenone oxide (15.55%), pulegone (12.47%), 1-menthone (5.75%), and camphor (5.75%) in M. longifolia, á-selinene 13.38%, camphor 13.34%, L-4-terpineneol 8.40%, (-)-á-Elemene 7.01%, 1,8-cineole 4.71%, and (-)-spathulenol 3.84% in A. arabica, and á-thujone (34.64%), 1,8-cineole (19.54%), pulegone (7.86%), camphene (5.31%), sabinene (4.86%), and germacrene-d (3.67%) in A. absinthium.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oils were investigated 0.05, 0.1, 0.25, 0.5, 1.00, and 2.00 μl/ml concentrations with the contact effect method. M. longifolia oil (1.00 and 2.00 μl/ml) has displayed remarkable antifungal effect and provided 100% inhibition on mycelial growth of V. dahliae, R. solani and F. oxysporu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ew alternative and safe methods against soil-borne fungal pathog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