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omboembolism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3초

Life-Threatening Acute on Chronic Pulmonary Thromboembolism Requir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 Lee, Heemoon;Kim, Min Soo;Kim, Wook Sung;Kim, Yong Han;Cho, Sung Ho;Lee, Jae Ji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1권3호
    • /
    • pp.205-208
    • /
    • 2018
  • A 71-year-old female patient was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sudden aggravation of chest pain and severe dyspnea. Computed tomography showed extensive pulmonary thromboembolism.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was instituted due to sudden bradycardia and hypotension. An emergency operation was performed. However, chronic pulmonary thromboembolism combined with an acute pulmonary embolism was detected in the operating room. Embolectomy and endarterectomy were performed. ECMO was then discontinued.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postoperative day 13 with warfarin for anticoagulation. The patient was followed up for 46 months as an outpatient without further thromboembolic events.

신생아에서의 항응고요법, 혈전용해요법 및 혈액제제 사용 (Anticoagulation Therapy, Thrombolytic Therapy, and Use of Blood Products in Neonates)

  • 최창원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34-41
    • /
    • 2011
  • 신생아에서 발생하는 혈액응고장애, 혈전증 및 색전증은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가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사망 및 심각한 장기(long-term)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신생아에서의 혈액응고장애, 혈전증 및 색전증에 대한 현재의 치료지침은 대부분 무작위 대조군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지 못하고 경험적으로 도출된 것이며 아직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한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실제 신생아에서 이러한 문제들에 부딪혔을 때 치료의 선택에 있어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종설에서는 문헌의 고찰을 통해 혈액응고장애, 혈전증 및 색전증을 가지고 있는 신생아에서 현재 실제로 적용이 되고 있는 치료방법 및 현재 연구단계에 있는 치료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인삼윤폐환(人蔘潤肺丸)의 효능(效能)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iciency of Insamyunpye-Hwan)

  • 이형구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314-326
    • /
    • 1996
  • Experimental studies were done to research the clinical effect of Insamyunpye-H wan on viscousity of mucin solution, pulmonary thromboembolism, oxygen consumption in $O_3$-exposed and Lung TBA in rats and mice. The result was obtained as follows : 1. In the effect of viscosity sampled from mucin, Insamyunpye-Hwan was reveal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f decrease in the rate of viscousity (p<0.01). 2. In the effect of sodium aracdonic acid induced pulmonary thromboembolism, I samyunpye-Hwan was revealed to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survival, but were not significant 3. In the effect of ADP induced pulmonary thrornboembolism, Insamyunpye-Hw an was revealed to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survival, but were not significant 4. In the effect of oxygen cansumption values in rats exposed-$O_3$, Insarnyunpye-Hwan was reveal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p<0.05). 5. In the effect of the lung TBA values in rats exposed-$O_3$, Isamyunpye-Hwan was reveal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p<0.05). In connection with the results of the studies, Insamyunpye-Hwan is concluded to be effective on the treatment of cough and lung and respiratory organ damages.

  • PDF

St. Jude 기계판막의 단기및 중기 성적 (Short-term and Intermediate-term Follow-up After Valve Replacement with the St.Jude Medical Prosthesis)

  • 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호
    • /
    • pp.57-65
    • /
    • 1992
  • St.Jude Medical cardiac valve replacement was performed in 322 patients: 191 had mitral, 58 had aortic, 72 had double valve and 3 had tricuspid valve replacement. Motality rate in early period was 2.8%[9 patients]. The most common cause of early death was low cardic output syndrome. Follow up extended from 1 to 90 months[mean: 34 months] in 292 patients among 313 in all surviving patients [93.6%]. There were thrombolic complications in eighteen patients. The probability of free from thromboembolism at 5 yerars in MVR, AVR and DVR were 84.7%, 91.8% and 90.2% respectively. And also, actuarial event free rate at 5 years in MVR, AVR and DVR were 80.1%, 82.2%, and 81.4% respectively. There were fourteen late death during follow up period: six from thromboembolism, one from hemorrhage and the others from non valve related -or unknown complications. The acturial survival rate at 5 years were 93.1% in mitral, 92.1% in aortic and 97.1% in double valve replacement. In conclusion, the performance of the St. Jude Mecanical valve compares most favorably with other artificial valves. But it remains still hazards of mechanical prosthesis such as thromboembolism and anticoagulant related hemorrhage.

  • PDF

개에서 다중나선형 CT촬영에 의한 동맥혈전색전증의 평가 (Assessment of Systemic Arterial Thromboembolism with Multi-Slice Spiral CT in a Dog)

  • 신승호;이기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8-213
    • /
    • 2007
  • 호흡곤란과 후지마비 및 발등부위의 괴사를 나타낸 수컷 진돗개가 전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하였다. 초기 검사에서 심장 사상충 감염이 확인되었다. 흉부방사선 외측상에서 폐동맥의 확장과 후엽의 간질패턴, 그리고 복배상에서 주 폐동맥의 뚜렷한 확장등이 관찰되어 심장사상충증을 뒷받침하였고, 복부 외측상 및 복배상에서 복부세부음영 소실이 관찰되어 복수를 의심하였다. 초음파상에서 복수와 불규칙한 간변연 그리고 신장양극의 피질에서 쐐기모양의 국소적 고에코상을 관찰하였으며 복부대동맥에서 분지하여 주행하는 바깥장골동맥의 3상형 동맥파형이 분지부 근위에서 관찰되었으나 이 후 대퇴동맥의 파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혈액화학검사에서 백혈구증다증, 빈혈, 혈색소 뇨, 고빌리루빈혈증, 저 알부민혈증, 전해질불균형, 그리고 간장 및 신장효소치의 상승등이 관찰되어 광범위한 장기의 손상이 의심되었다. 특히 글루코스는 정상적인 전지와 마비를 보이는 후지에서 비교한 결과 후지의 글루코스 수치가 현저하게 낮았다. 전산화단층촬영술 후 3차원으로 재구성한 영상을 이용하여 후지 마비의 원인으로 여겨지는 후지 동맥의 혈전색전증과 폐동맥혈전색전증 및 신장경색 등을 확인하였다. 예후불량으로 판단되었으며 실험적 중재적 방사선술을 시도하였으나 마취에서 깨어나지 못했다. 3차원 재구성 CT 영상은 색전증의 빠르고 정확한 진단에 유용하며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고 판단된다.

급성 폐혈전색전증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서 혈중 BNP의 의의 (The Prognostic Role of B-type Natriuretic Peptide in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 이수진;이재형;박지영;조우성;김지은;김기욱;박혜경;김윤성;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5호
    • /
    • pp.540-547
    • /
    • 2006
  • 연구배경: 폐혈전색전증은 혈역학적 안정성과 우심부전의 정도가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우심부전을 조기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판단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심초음파를 포함한 다양한 진단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폐혈전색전증의 예후 인자로서의 혈중 BNP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응급실을 내원하여 급성 폐혈전색전증으로 진단된 환자중 BNP 검사와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던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예후 예측인자로 중환자실 입실여부, 인공 환기 치료 유무, 활력징후의 안정성여부, 합병증의 동반, 사망여부, 심초음파의 폐동맥압력 값과 삼첨판막의 역류정도를 설정하여 혈중 BNP 농도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고 혈역학적 안정성을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두 군을 구분하는 BNP의 cutoff 값을 구하였다. 결 과: 활력징후의 안정성 여부, 우심실 수축기압과 삼첨판막의 역류 정도, 기계환기 시행여부, 사망여부가 혈중 BNP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활력징후 안정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사망, BNP 농도, 기계 환기 여부가 통계적 의의를 보였다. 활력징후 안정성을 기준으로 안정군과 불안정군으로 나눌때 양군의 분류를 위한 BNP 농도의 cut-off level은 377.5 pg/dl에서 가장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았다. 결 론: 혈중 BNP는 여러 예후 예측인자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고 측정이 쉽고 빠른 시간 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폐혈전색전증 환자의 우심부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심초음파나 폐혈관 조영술등의 검사가 어려운 경우나 이 값들을 보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용한 예후 인자로 고려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