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sholding Technique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7초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전력품질 데이터 압축에 관한 연구 (Power Quality Data Compression using Wavelet Transform)

  • 정영식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4권12호
    • /
    • pp.561-566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a compression technique for power qualify disturbance signal via discrete wavelet transform(DWT). The proposed approach is based on a previous estimation of the stationary component of power quality disturbance signal, so that it could be subtracted from the original signal in order to reduce a dynamic range of signal and generate transient events signal, which is subsequently applied to the compression technique. The compression techniques is performed through the difference signal decomposition, thresholding of wavelet coefficients, and signal reconstruction. It presents the relation between compression efficiency and threshold. It shouts that the wavelet transform leads to a power quality data compression approach with high compression efficiency, small compression error and good de-nosing effect.

Image Registration for Cloudy KOMPSAT-2 Imagery Using Disparity Clustering

  • Kim, Tae-Young;Choi, Myung-Ji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7-294
    • /
    • 2009
  • KOMPSAT-2 like other high-resolution satellites has the time and angle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of the panchromatic (PAN) and multispectral (MS) images because the imaging systems have the offset of the charge coupled device combination in the focal plane. Due to the differences, high altitude and moving objects, such as clouds, have a different position between the PAN and MS images. Therefore, a mis-registration between the PAN and MS images occurs when a registration algorithm extracted matching points from these cloud objects. To overcome this problem, we proposed a new registration method. The main idea is to discard the matching points extracted from cloud boundaries by using an automatic thresholding technique and a classification technique on a distance disparity map of the matching points. The experimental result demonstrates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at ground region around cloud objects is higher than a general method which does not consider cloud objects.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we use KOMPSAT-2 cloudy images.

A Novel Thresholding for Prediction Analytics with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Shakir, Khan;Reemiah Muneer, Alotaib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호
    • /
    • pp.33-40
    • /
    • 2023
  • Machine-learning techniques are discovering effective performance on data analytics.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are supported for prediction on different kinds of data. There are various breeds of classification techniques are using based on nature of data. Threshold determination is essential to making better model for unlabelled data. In this paper, threshold value applied as range, based on min-max normalization technique for creating labels and multiclass classification performed on rainfall data. Binary classification is applied on autism data and classification techniques applied on child abuse data. Performance of each technique analysed with the evaluation metrics.

Navigation and Find Co-location of ATSR Images

  • Shin, Dong-Seok;Pollard, John-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3-160
    • /
    • 199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prehensive geometric correction algorithm of Along Track Scanning Radiometer(ATSR) images. The procedure consists of two cascaded modules; precorrection and fine co-location. The pre-correction algorithm is based on the navigation model which was derived in mathematical forms. This model was applied for correction raw(un-geolocated) ATSR images. The non-systematic geometric errors are also introduced as the limitation of the geometric correction by this analytical method. A fast and automatic algorithm is also presented in the paper for co-locating nadir and forward views of the ATSR images by using a binary cross-correlation matching technique. It removes small non-systematic errors which cannot be corrected by the analytic method. The proposed algorithm does not require any auxiliary informations, or a priori processing and avoiding the imperfect co-registratio problem observed with multiple channels. Coastlines in images are detected by a ragion segmentation and an automatic thresholding technique. The matching procedure is carried out with binaty coastline images (nadir and forward), and it gives comparable accuracy and faster processing than a patch based matching technique. This technique automatically reduces non-systematic errors between two views to .$\pm$ 1 pixel.

Assessment of The Accuracy of The MR Abdominal Adipose Tissue Volumetry using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Technique using CT as Reference

  • Kang, Sung-Ji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1권4호
    • /
    • pp.603-615
    • /
    • 2016
  • In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accuracy of MR imaging of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technique for measuring abdominal adipose tissue volume and distribution, the measurements obtained by CT were set as a reference for comparison and their correlations were evaluated. CT and MRI scans were performed on each subject (17 healthy male volunteers who were fully informed about this study) to measure abdominal adipose tissue volume. Two skilled investigators individually observed the images acquired by CT and MRI in an independent environment, and directly separated the total volume using region-based thresholding segmentation method, and based on this, the total adipose tissue volume, subcutaneous adipose tissue volume and visceral adipose tissue volume were respectively measured. The correlation of the adipose tissue volume measurements with respect to the observer was examined using the Spearman test and the inter-observer agreement was evaluated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test. The correlation of the adipose tissue volume measurements by CT and MRI imaging methods was examined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using the Bland-Altman plot,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two imaging methods was evaluated. All of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ed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p<0.05)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f each adipose tissue volume measurements. In conclusion, MR abdominal adipose volumetry using the technique of 3D gradient dual echo 2-point DIXON showed a very high level of concordance even when compared with the adipose tissue measuring method using CT as reference.

머리 MR영상에서 자동화된 뇌영역 추출 (Automated Brain Region Extraction Method in Head MR Image Sets)

  • Cho, Dong-Uk;Kim, Tae-Woo;Shin, Seung-Soo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1-15
    • /
    • 2002
  • 본 논문은 인간 뇌의 가시화 및 해석을 위하여 단일 채널 MR영상에서 자동화된 뇌영역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쌍곡선 적합을 이용한 자동 문턱치화와 3차원 형태 학적 연산에 의하여 뇌 마스크 볼륨을 생성한다. 쌍곡선 적합은 MR영상의 히스토그램에 곡선을 적합할 때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침식, 연결부위 레이블링, 최대특징 연산, 팽창 등 3차원 형태학적 연산은 문턱치화된 뇌 마스크로부터 생성된 정육각형 볼륨 마스크에 적용된다. 제안한 방법은 SPGR, T1, T2, PD MR영상 세트에서 뇌영역을 자동 추출할 수 있으며, 가장자리 슬라이스에도 적용 가능하고, 영상이 뇌 전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실험에서 20 세트의 MR영상에 적용하여 수동 방법과 비교하여 0.97 이상의 유사도를 보였다.

  • PDF

비디오 감시시스템을 위한 영역 기반의 움직이는 물체 분할 (Region-Based Moving Object Segmentation for Video Monitoring System)

  • 이경미;김종배;이창우;김항준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0권1호
    • /
    • pp.30-38
    • /
    • 2003
  • 본 논문은 비디오 영상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물체들의 크기가 작거나 서로 겹쳐있을 경우(occlusion), 또는 잡음이 많은 경우에도 안정적인 이 방법은 움직임 검출(motion detection)과 움직임 분할(motion segmentation)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움직임 검출을 하기 위하여 인접 영상간의 차영상(difference image) 분석을 통해 움직임이 있는 부분을 추출하며, 이때 적응적 임계치 방법을 이용하여 빛의 변화나 노이즈가 포함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추출한다. 움직임 분할 단계에서는 움직임이 검출된 부분을 초기영역으로 분할 한 뒤, 이 영역들의 모션정보에 따라 이웃 한 영역들을 병합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분할한다. 이러한 방법은 검출된 영역에 대해서만 움직임 분할을 함으로 많은 계산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실제 도로영상에서 제안된 방법을 실험해본 결과 비디오 감시시스템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페로몬 트랩 영상에서 해충 검출을 위한 객체 분할 (Object Segmentation for Detection of Moths in the Pheromone Trap Images)

  • 김태우;조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57-163
    • /
    • 2017
  • 객체 분할 방식은 객체를 먼저 분할한 후, 검출된 객체에 대해 해충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므로 해충 개체를 검출하는 데 필요한 처리 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페로몬 트랩 영상에서 해충 검출을 위한 객체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전처리, 문턱치 처리, 형태학적 필터링, 레이블링 처리로 구성된다. 이들 과정 중 문턱치 처리는 객체 분할의 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처리 과정이다. 제안한 방법은 문턱치 처리 과정에서 해충 영상의 국소적 특성을 반영하므로 매우 정교한 문턱치 처리를 할 수 있다. 과수원에 설치된 페로몬 트랩에서 수집된 복숭아심식나방 영상에 대해 Otsu의 방법의 전역적 방식과 국소적 방식, 그리고 제안한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조명과 배경의 특성을 잘 반영함을 알 수 있었다. 페로몬 트랩에 수집된 복숭아심식나방 영상에 대해 객체 분할과 개체 분류를 수행하였다. 개체 분류는 SVM 분류기로 학습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10개의 해충 영상에 대해 복숭아심식나방 검출 결과 95%의 평균 검출율을 보임으로써 과수원의 복숭아심식나방의 개체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효과적임을 보였다.

산업용 매니퓰레이터의 작업 성능 향상을 위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vision-based object recognition to improve performance of industrial manipulator)

  • 박인철;박종호;류지형;김형주;정길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58-36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산업용 매니퓰레이터의 작업 성능 향상을 위하여 영상 기반의 물체 인식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 산업용 매니퓰레이터의 경우 대부분 산업 현장에서 제공하는 정보만을 활용해 산업용 매니퓰레이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작업 물체 틀어짐 등에 대한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있기에 보다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물체인식 방법은 기존의 Harris Coner 알고리즘의 인식률 향상을 위하여 HSV채널로부터 색상정보를 포함한 V채널과 배경분리가 용이한 S채널을 분리 한 뒤 이를 바탕으로 Otsu Threshold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 물체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고 만약 작업 물체가 외부요인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에 놓여있지 않거나 뒤틀어져 있는 경우 신속하게 확인한 후 원활한 작업을 위해 산업용 매니퓰레이터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실제 산업용 매니퓰레이터에 적용한 후 실험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이는 실제 공장 시스템에서 갑작스런 사람의 유입 혹은 외부요인에 의한 작업 물체의 변화 등의 문제점에 대하여 강인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며 오류로 인한 작업공정의 중단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서 전체시스템 가동시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화상처리법에 의한 쌀 품종별 판별기술 개발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Method of Rice Varieties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 권영길;조래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60-165
    • /
    • 1998
  • 쌀의 품종 식별 기술은 아직까지 적절한 방법이 연구되지 않아, 최근 불법 유통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신속하게 현장에서 응용가능한 쌀의 품종을 식별하기 위해서, 비파괴 측정법 중 화상처리법을 응용하였다. MFG board, CCD camera, Zoom lens 및 Ring light로 구성된 화상처리 장치로 쌀알의 영상을 취득하여, Threshold, Median filtering으로 쌀알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윤곽을 추출하여 중심점에서 360도 각도에 대한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쌀알의 화상데이타로 이용하였다. 쌀 품종 내에서 영상 변이는 다소 있었지만, 형태가 상이한 쌀 품종에서는 품종간 변이 보다 품종 내의 변이가 적었으며, 동일 품종의 쌀알의 착립위치에 따라서는 변이 폭이 매우 적었다. 추출된 화상 데이터는 Normalize, FFT의 전처리 과정으로 정규화 및 변수 축소가 가능하였다. 각 품종의 쌀알의 평균 영상에 Matching하는 Library model과 BP neural network model에 의한 품종 판별 결과, 형태가 상이한 품종간에는 100% 판별 가능하였으며, 형태가 유사한 품종간에는 85%의 판별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