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ree-dimensional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Three-Dimensional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System Based on Optical Integral Imaging Reconstruction

  • Lee, Min-Chul;Inoue, Kotaro;Cho, Myungji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4권1호
    • /
    • pp.51-56
    • /
    • 2016
  • In this paper, we present a three-dimensional (3-D)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system based on optical integral imaging reconstruction. In integral imaging, elemental images of the reference and target 3-D objects are obtained through a lenslet array or a camera array. Then, reconstructed 3-D images at various reconstruction depths can be optically generated on the output plane by back-projecting these elemental images onto a display panel. 3-D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can be implemented using computational integral imaging reconstruction and digital nonlinear correlation filters. However, these methods require non-trivial computation time for reconstruction and recognition. Instead, we implement 3-D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using optical cross-correlation between the reconstructed 3-D reference and target images at the same reconstruction depth. Our method depends on an all-optical structure to realize a real-time 3-D automatic target recognition system. In addition, we use a nonlinear correlation filter to improve recognition performance. To prove our proposed method, we carry out the optical experiments and report recognition results.

쿼터니언을 이용한 반자동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Semi-automatic Camera Calibration Using Quaternions)

  • 김의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3-50
    • /
    • 2018
  •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위치결정에서 카메라는 핵심적인 요소이며 이러한 카메라의 내부적인 특성을 제대로 결정하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작업은 대상물의 3차원 좌표를 결정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체크보드의 크기와 형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반자동으로 카메라의 내부표정요소를 결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론은 쿼터니언을 이용한 외부표정요소 추정, 캘리브레이션 타겟의 인식, 번들블록조정을 통한 내부표정요소 매개변수 결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스보드 형태의 캘리브레이션 타겟을 이용하여 내부표정요소를 결정한 후 소규모 3차원 모형에 대한 3차원 위치를 결정하였으며 검사점을 이용한 정확도 평가를 통해서 수평위치와 수직위치 오차는 각각 약 ${\pm}0.006m$${\pm}0.007m$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