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racoscopic lung biopsy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4초

개흉 및 흉강경항폐생검의 전국실태조사 (The National Survey of Open Lung Biopsy and Thoracoscopic Lung Biopsy in Korea)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1호
    • /
    • pp.5-19
    • /
    • 1998
  • 연구배경: 개흉폐생검은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감별진단, 면역억제 환자에서의 폐침윤의 원인 등 다양한 폐질환에서 확진에 이르기 위한 고전적인 진단술로서 충분한 크기의 검체를 제공할 뿐 아니라 폐생검시 생검사가 직접 병변부위를 관찰하고 생검장소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최근에는 흉강경하폐생검(video-assisted thoracoscopy, VATS)이 개발되어 늑막 및 폐질환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본 학회의 학술위원회에서는 폐질환에서 개흉 혹은 흉강경하 폐생검의 실시여부, 폐생검 실시 전에 시행할 진단절차, 실시시기 등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향후 임상연구 및 진료에 활용하고자 현재 한국에서의 개흉폐생검의 적응질환, 시행빈도, 진단성적, 치료에 미치는 영향,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방 법: 전국의 대학병원 및 4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1994년 1월 1일부터 1996 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개흉 및 흉강경하폐생검을 시행한 환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의뢰하였다. 본 실태조사에 응답한 37 개 병원의 511예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통계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폐생검 전후의 비교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였고 각 인자들에 따른 차이비교는 $x^2$-검정 혹은 t-검정법을 이용하였으며 P값은 0.05 이하인 경우를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1) 실태조사에 응답한 511 예 대상환자들의 평균연령은 50.2세(${\pm}15.1$세)이었으며, 남자 54.2%. 여자 45.9% 이었다. 2) 511 예 중에서 개흉폐생검은 313예(62%). 흉강경하폐생검은 192예(38%)에서 시행되었고, 미만성 폐질환자가 305명(59.7%), 국한성 폐질환자가 206명(40.3%)이었다. 3) 흉부 X-선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폐생검을 하기까지의 기간은 평균 82.4일 이었으며, 개흉폐생검은 평균 72.8일, 흉강경하폐생검은 평균 99.4일이 소요되었고, 폐생검 이전에 기관지내시경검사는 272예(53.2%), 기관지폐포세척술은 123예(24.1%), 경피적세침흡인술은 72예(14.1%)에서 시행되었다. 4) 대상질환은 간질성 폐질환이 230예(45.0%), 흉곽종양이 133예(26.0%), 결핵을 포함한 감염성 폐질환이 118예(23.1%), 선천성질환을 포함한 가타 폐질환이 30예(5.9%)이었다. 생검 방법에 따른 진단율이나 병변특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폐생검 이전의 임상적 진단과 폐생검 후의 최종 진단이 일치한 경우는 302예(59.2%) 이었고, 질환별로는 간질성 폐질환 66.5%, 흉곽종양 58.7%. 폐감염질환 32.7%, 결핵 55.1%. 선천성 폐질환을 포함한 기타 질환 62.5%에서 임상진단과 최종진단이 일치하였다. 6) 폐생검 전 및 1일 후에 시행한 동맥혈가스분석 검사상 $PaCO_2$$38.92{\pm}5.8mmHg$에서 $40.2{\pm}7.1mmHg$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PaO_2/FiO_2$$380.3{\pm}109.3mmHg$에서 $339.2{\pm}138.2mmHg$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7) 합병증은 10.1%에서 발생하였으며 개흉폐생검시 12.4%, 흉강경하폐생검시 5.8%로 흉강경하폐생 검시 유의하게 합병증이 적었다 (p<0.05). 합병증은 기흉 23예(4.6%), 혈흉 7예(1.4%), 사망 6예(1.2%), 기타 부정맥이나 타장기손상 15예(2.9%) 등이었다. 8) 폐생검으로 인한 사망은 개흉폐생겸후 5예, 기록이 불분명한 경우가 1예 등 모두 6예 이었으며 흉강경하폐생검 후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사망한 사랑의 기저질환은 악성종양 3예(기관지폐포세포암 2예, 악성 중피종 1예), 전이성 악성종양 2예, 간질성폐질환 1예 이었다. 폐생검 후 사망까지의 기간은 평균 $15.5\pm9.9$일 이었다. 9) 개흉 또는 흉강경하폐생검으로도 진단할 수 없었던 경우는 19예(3.7%)이었다. 진단이 안된 원인은 병소 이외에서 조작검사를 시행한 5예, 조직의 크기가 너무 작은 3예 등 폐조직검사를 부적절하게 시행한 경우가 8예 이었고, 조직검사는 잘 되었으나 병리학적으로 진단이 불가능하였던 경우가 11예 이었다. 10) 개흉 또는 흉강경하폐생검이 진단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경우가 334예(66.5%), 다소 기여한 경우가 140예(27.9%), 도움이 되지 않았거나 판단이 불가능한 경우가 28예(5.6%)이었다. 따라서 폐생검을 한 경우의 94.4%에서 확진에 도움을 주었다. 결 론: 개흉 및 흉강경하폐생검은, 기관지내시경 등 다른 술기로 진단이 안되는 폐질환의 확진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며 환자상태가 위중한 경우에는 보다 안전하고 대등한 진단성적을 얻을 수 있는 흉강경하폐생검이 추천된다.

  • PDF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폐생검 (Thoracoscopic Lung Biopsy for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 심성보;연성모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41-746
    • /
    • 1996
  •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미만성간질성폐질환을 진단하기 위하여는 임상소견, 기관지폐포 세척액검 사, 경기관지 생검 그리고 폐생검 등이 사용되고 있다. 미만성간질성폐질환의 확진을 위한 폐생검에서, 고전적인 개흥적 폐생검에 비해 흥강경을 이용한 폐생검이 흥강 내부의 세밀한 관찰로 적절한 위치의 병변을 채 취할 수 있고, 시술후 수술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가톨릭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9)년 1월부터 1994년 6월까지 미만성간질성폐질환 환자 20 예에서 흥강경을 이용한 폐생검을 실시하였다. 남녀의 성비는 같았으며, 연령분포는 18세부터 69세 까 지로(평균 연령 48.5세), 50대가 6예로 가장 많았으며, 60대와 40대가 각각 4예씩으로 그 다음이었다. 생 검 부위는 좌하엽이 9예(45%)로 가장 많았으며,우하엽이 7예(35%)로 대부분 양하엽에서 채취되었다 생검 결과는 UIP 가 8예(40%)로 가장 많았고, 속립성 결핵이 4예(20%)로 그 다음이 었으며, 모두 20예에 서 10가지의 서로 다른 진단명이 나왔다. 수술중 개흥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으며, 흉관의 제거에는 평균 3.2일이 소요되 었다. 술후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潁좡\ulcorner예는 없었다.

  • PDF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에 대한 비디오 흉강경 폐생검과 개흉 폐생검의 비교 (A Comparison of Thoracoscopic and Open Lung Biopsy for the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 이재익;김영태;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64-170
    • /
    • 1999
  • 배경: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확진을 위해 많은 환자들에게 폐생검이 시행되고 있다. 개흉 폐생검에서의 작은 절개로 얻을 수 있는 제한된 시야와는 달리, 흉강경을 통한 폐생검은거의 전 폐실질을 관찰한 후 생검할 수 있는 장점과 전통적인 개흉으로 생길 수 있는 유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 흉강경 폐생검(TLB)과 개흉 폐생검(OLB)을 효율성과 안전성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3월부터 1997년 8월까지 81명의 환자에게 폐생검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51명에게 기존의 개흉 폐생검을, 30명에게는 비디오 흉강경 폐생검을 시행하였다. 결과:수술 시간은 TLB에서 63분, OLB에서 79분이었고(p=0.04), 생검 조직 절편의 크기(TLB 7.8 cm3, OLB 6.9 cm3 : p=0.72)와 진단률(TLB 100%, OLB 96%)은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술후 재원 일수는 TLB에서 OLB보다 유의하게 짧았고(TLB 13일, OLB 22일 : p=0.01), 흉관 거치일, 진통제 투여 횟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진통제 투여 기간은 TLB에서 유의하게 짧았다(TLB 2.5일, OLB 5.2일, p=0.05). 합병증은 TLB에서 2례(6.67%), OLB에서 4례(7.84%)가 있었으며, 두 군 모두에서 수술로 인한 사망례는 없었다. 결론: 흉강경 폐생검이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기존의 개흉 폐생검의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에서 흉강경폐생검 (Thoracoscopic Lung Biopsy for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 손동섭;조대윤;양기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232-1236
    • /
    • 1997
  •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은 임상소견, 기관지폐포 세척액 검사, 경기관지 생검 그리고 폐생검등이 이용되고 있다. 확진을 위해서는 폐생검을 하여야 하며 흉강경을 이용한 폐생검이 흉강내를 자세히 관찰하여 적절한 위치을 선정할 수 있고 개흉적 폐생검보다 수술후 통증이 적음으로 해서 합병증이나 입원기간을 단 축하는 장점이 있다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 교실에서는 1994년 4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 22 명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폐생검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비는 14:8로 남자에서 많았고 평균연령은 54.6세, 연령분포는 60대가 7례로 가장 많았다. 2. 생검부위는 좌우폐비가 6:20로 우측에서 많았으며, 부위별로는 우하엽이 13례, 우상엽이 4례, 우중엽이 3 례, 좌상엽이 3례 좌하엽이 3례로서 우하엽이 많았으며 한부위에서만 시행한 환자가 \ulcorner례, 2군데서 시행한 환자가 4례 있었다. 3. 수술전후 폐기능검사는 WC, FEVI, FEV1/PVC에서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다. 4. 생검결과 통상성 간질성 폐렴이 8례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속립성 결핵에 의한 것이 4례, 전이성 암성 폐질환이 3례, 박리성 간질성 폐렴, 기질화된 폐렴을 동반한 폐쇄성 기관지염이 각각 2례, 기타 유육종증, 범세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이 각각 1례씩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서 확진을 위한 흉강경을 이용한 폐생검은 폐기능이 나쁜데도 불구 하고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PDF

Thoracoscopic Needle Aspiration Biopsy for a Centrally Located Solitary Pulmonary Nodule

  • Sung, Ho Kyung;Kim, Hyun Koo;Choi, Young 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4호
    • /
    • pp.316-318
    • /
    • 2013
  • Thoracoscopic needle aspiration is a good alternative for a centrally-located solitary pulmonary nodule (SPN) suspected of being lung cancer without severe pleural adhesion. The authors report the technique of thoracoscopic needle aspiration biopsy in a SPN just in the medial aspect of the truncus anterior pulmonary artery and the right upper lobe bronchus.

흉강경으로 진단한 미만성 범세기관지염 1예 (A Case of Diffuse Pan bronchiolitis Diagnosed by Thoracoscopic Biopsy)

  • 서해숙;이명선;백수흠;조동일;김재원;유남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3호
    • /
    • pp.271-277
    • /
    • 1992
  • Diffuse panbronchiollitis (DPB), a rare progressive disorder, has lately been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DPB is a disease of obscure etiology, characterized by chronic inflammation localized mainly in the region of respiratory bronchiole just distal to the terminal bronchioles. In 1983, Homma and coworkers reported 82 cases of a new clinicopathological entity, DPB, in Japan. Also DPB is a disease largely restricted geographically to Japan but the prevalence in other countries is extremely low. Histoloically, it is characterized by a suppurative bronchiolitis involving primarily the respiratory and terminal bronchioles with subsequent progression to bronchiectasis. The disease progresses rapidly and results in respiratory failure due to repeated respiratory infections. We experienced a cases of DPB accompanied with chronic maxillary sinusitis in both sinuses. Diagnosis of DPB was comfirmed by pathological results from thoracoscopic lung biopsy, typical radiological findings, clinical symptom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After treatment with erythromycin for 6 months, the patient's condition and the typical micronodular densities on the chest radiography improved. A few case of DPB was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DPB through thoracoscopic lung biopsy.

  • PDF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외과적 폐생검 (Surgical Lung Biopsy for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 이장훈;권진태;이정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44-849
    • /
    • 2006
  • 배경: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확진을 위해서는 외과적 폐생검이 필요하다. 개흉 폐생검과 흉강경 폐생검 방법을 비교하고 외과적 폐생검이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의료원 흉부외과에서 폐생검을 시행한 환자를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외과적 폐생검 후 조직학적 진단과 치료방침의 변화를 분석하고 소개흉술을 실시한 군(OLB)과 비디오 흉강경수술을 실시한 군(TLB)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는 36명이었고 기침이 가장 많은 술 전 증상이었다. OLB군과 TLB군 사이에 수술시간, 마취시간, 재원기간, 흉관거치 기간, 채취한 조직의 용적, 합병증 발생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 예에서 술 후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하였다. 술 후 33%에서 치료 방침의 변화가 있었고 두 군 간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술 후 사망은 1예가 있었고 술 전 호흡부전이 있었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외과적 폐생검은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을 확진할 수 있는 진단방법이고 술 후 치료 방침의 결정에 많은 도움을 준다. 흉강경 폐생검은 개흉 폐생검에 비해 덜 침습적이고 동일한 조직학적 진단율을 보이므로 외과적 폐생검의 기본 수술술기라 할 수 있다.

흉강경하 폐생검을 통하여 확진된 용접공폐질환에 병발된 비결핵성 항산균감염증 1예 (A Case of Welder's Lung Disease and Concurred Non-Tuberculotic Mycobacterial Infection Confirmed with Thoracoscopic Lung Biopsy)

  • 김정호;박윤정;박기훈;권순석;김용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2호
    • /
    • pp.223-227
    • /
    • 2012
  • Pulmonary siderosis, or Welder's lung disease is an occupational lung disease caused by iron-inhalation. Diagnosis of pulmonary siderosis is based on occupational history of the patient, radiologic findings, and pathologic findings of iron-laden macrophages within lung tissue or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We observed a case of a 43 years-old welder diagnosed with pulmonary siderosis via thoracoscopic lung biopsy. Sputum culture along with pathology also identified a non-tuberculotic mycobacterial infection with a sputum culture and the pathologic finding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tubercular medication and cessation of iron-exposure. And his condition improved within a few months.

흉부 단순 촬영상 전반적 폐 침윤을 보이는 환자에서 시행한 수술적 폐 생검 (Operative Lung Biopsy in Patients with Findings of Diffuse Infiltrative Lung on Chest X-ray)

  • 진웅;윤정섭;김치경;곽문섭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9-163
    • /
    • 2000
  • The patient with findings of diffuse infiltrative lung on chest X-ray has various causes; therefore, the prognosis is different and the treatment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ause. We are trying to identify the meaning of operative lung biopsy and to 11nd a more accurate and effective procedure. We reviewed 46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the findings of diffuse infiltrative lung on chest X-ray who had undergone operative lung biopsy or biopsies for 8 years. The open lung biopsy were done in 22 cases(47.8%) and thoracoscopic lung biopsy in 24 cases(52.2%).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diagnosis(p=0.452) and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p=0.155) between these groups. The number of cases with more than two biopsies are 9(19.6%) and that of one biopsy are 37(80.4%). There ar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rate of diagnosis(p=0.928) and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p=0.125).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8 cases,7 cases of air leak more than 7 days and 1 case of respiratory insufficiency.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findings of infiltrative lung on chest X-ray, the operative lung biopsy is the very necessary course, and shows satisfactory rate of diagnosis with negligible complications.

  • PDF

Ground-Glass Opacity in Lung Metastasis from Breast Cancer: A Case Report

  • Kim, Sae Byol;Lee, Soohyeon;Koh, Myoung Ju;Lee, In Seon;Moon, Chan Soo;Jung, Sung Mo;Kang, Young A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4권1호
    • /
    • pp.32-36
    • /
    • 2013
  • A 43-year-old woman with breast cancer who was on neoadjuvant chemotherapy presented with cough, sputum and mild fever.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showed diffuse ground glass opacities in bilateral lungs and subpleural patchy consolidations. Initially, she was thought to have pneumonia or interstitial lung diseases such as drug-induced pneumonitis and treated with antibiotics and steroids. She subsequently got breast cancer surgery because of disease progression, and concurrent thoracoscopic lung biopsy revealed metastatic carcinoma of the lung from breast cancer. The diagnosis of suspected interstitial lung disease can be made without lung biopsy, but malignancy should always be considered and lung biopsy should be performed in the absence of a definitive clinical dia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