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racic manipulatio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3초

The hybrid perventricular closure of apical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 with Amplatzer duct occluder

  • Kim, Soo Jin;Huh, June;Song, Jin Young;Yang, Ji-Hyuk;Jun, Tae-Gook;Kang, I-Se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4호
    • /
    • pp.176-181
    • /
    • 2013
  • Purpose: Apical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s (MVSDs), especially in small infants, can be difficult to manage using surgical and percutaneous closure. An intraoperative perventricular procedure is a good option for closing apical MVSDs in small children with or without associated cardiac anomalies. We evaluated the results of hybrid perventricular closure of apical MVSDs performed using an Amplatzer duct occluder (ADO).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 patients who underwent hybrid perventricular closure of MVSDs with ADOs, from March 2006 to May 2011. The median patient age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was 12 months (range, 25 days to 25 months), and the median body weight was 9.1 kg (range, 4.3 to 15 kg). Two patients had multiple ventricular septal defects (VSDs; additional perimembranous VSD in 1 patient and multiple MVSDs in the other) and 3 patients had associated cardiac anomalies; complete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in 1 patient and an atrial septal defect in 2 patients. All the procedures were performed on beating hearts, exception in 1 case. The ADO selected for the aortic side was at least 1 to 2 mm larger than the largest VSD in the left ventricle side. Results: The procedure was successful in all patients and each device was well positioned. During the median follow-up of 2.4 years, a small residual VSD was noted in 2 patients who had multiple VSDs and no leakage was seen in the other 3 patients. Conclusion: Perventricular closure of MVSD with an ADO is a good option for patients with apical MVSD. However, careful manipulation is important, especially in the case of small infants.

심혈관수술에서 cell saver를 이용한 자가수혈 (Effects of Autotransfusion Using Cell Saver in Cardiovascular Surgery)

  • 구자홍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4호
    • /
    • pp.255-259
    • /
    • 1993
  • The efficacy of the autotransfusion system is a reducing the need of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transfusion in cardiovascular surgery.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1991, we experienced 23 cases of autotransfusion using Haemonetic Cell Saver in cardiovascular surgery [Experimental group]. Another 13 cases which were taken similiar operations without Cell Saver during same period [Control group]. The amounts of blood transfused are 4.23 1.84 units in Control group, 2.82 1.84 units in Experimental group. Postoperatively, both groups showed decreased platelet counts, mild prolongation of prothrombin an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compred to preoperative value [P<0.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 [P=NS]. Plasma hemoglobin was markedly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In Experimental group, amount of average processed blood by Cell Saver was 700ml of which composition was hemoglobin 17mg/dl, hematocrit 50.0%, RBC 5,590,000/ml, WBC 7500/ml, and platelet 40,000/ml. The culture of the processed blood revealed no growth of the organisms. Conclusively, Cell Saver autotransfusion system is a simple, safe, and cost effective method especially in the cases associated with massive bleeding. However, it requires familiarity with system, gentle manipulation of suction tip, and careful selection of candidates to obtain maximal benefits .

  • PDF

대동맥판맥 폐쇄 부전증이 동반된 심실중격 결손증의 수술성적 (Surgical treatment for ventricular septal defect associated with aortic insufficiency)

  • 정철현;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1호
    • /
    • pp.821-826
    • /
    • 1993
  • Between January 1983 and December 1992, we had experienced 79 patients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 VSD ] associated with aortic insufficiency [AI] which constitute 4.6 % of total numbers of VS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10.2 years with a range of 1 to 35 years and the average degree of aortic insufficiency classified by Sellers was 2.1. The type of VSD was subpulmonic in 57 patients and perimembranous in 22. Most common pathologic finding causing AI was prolapse of right coronary cusp [ 54 cases ; 71.4% ] ,followed by prolapse of both right and non-coronary cusp[ 12 cases ; 7.9% ]. VSD closure alone was performed in 51 patients and their mean age was 7.7 years [ ranged 1 to 13 years ]. VSD closure and aortic valve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in 22 patients, VSD closure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in 6 patients, an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14.5 years [ ranged 2 to 28 years ], 20.4 years [ ranged 18 to 35 years ] respectively. There was no hospital mortality.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rom 1 month to 9 year 4 months [average; 21.4 months ] and there was one late death. Our data suggests that, early closure of VSD without any manipulation on the valve may be sufficient procedure to improve or at least withhold progression of AI in children and furthermore patients with VSD associated AI should be corrected promptly after diagnosis.

  • PDF

소흉골절개술을 통한 이중판막치환술 -1례 보고- (Double Valve Replacement via Ministernotomy -A Case Report-)

  • 백완기;김현태;심상석;조상록;박현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52-54
    • /
    • 1998
  • 근래 들어 최소 침습적 심장수술을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소절개법이 개발되고 있다. 소절개를 통한 심장판막수술이 기존의 정중 흉골절개술에 비해 단일판막수술의 경우, 수술시야의 확보에 있어 그다지 뒤떨어지지 않으나, 다중판막수술과 같이 서로 떨어져 있는 두 병소를 동시에 수술해야 할 경우 단일 소절개로 양쪽 병소를 다 잘 볼 수 있는 만족스러운 수술시야를 얻기란 용이하지 않다. 본 인하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최근 횡흉골절개를 통한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대동맥판막치환술을 2례 시행한데 이어, 금번 소흉골절개를 통한 이중판막치환술을 시행한 바, 수술시야는 비교적 만족스러웠으며 수술 후 환자의 호응도도 높았기에 수술방법을 중심으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초저체온 순환정지시 $\alpha$-STAT와 pH-STAT 조절법의 비교분석 -어린돼지를 이용한 실험모델에서- (Comparative Analysis of $\alpha$-STAT and pH-STAT Strategies During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in the Young Pig)

  • 김원곤;임청;문현종;원태희;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6호
    • /
    • pp.553-559
    • /
    • 1998
  • 서론: 초저체온 순환정지법은 일부 심장수술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은 정상 생리상태에서 이 정도 저체온에 노출되는 적이 없기 때문에 초저체온 상태에서 $\alpha$-STAT와 pH-STAT 산-염기 조절법 중 어느 쪽을 택하는 것이 좋으냐에는 여전히 이론이 많다. 본실험에서는 어린 돼지에서 초저체온 순환정지 실험모델을 확립한뒤 pH-STAT와 $\alpha$-STAT 간에 (1) 심폐바이패스 냉각 및 재가온시 뇌냉각 및 재가온 속도 비교, (2) 뇌혈류, 뇌대사 및 뇌혈류/뇌대사 비의 변화 양상 분석, 그리고 (3) 초저체온 순환정지후 뇌부종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5~30 KG의 어린 돼지를 실험군마다 7마리씩 사용하였다. 마취후 두개골을 절제하고 상시상동 삽관을 통해 뇌혈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정중흉골절개술 및 캐뉼라 삽관후 심폐바이패스를 시행하였다. 막형 산화기와 롤러펌프를 사용하였고, 관류속도는 2500 ml/min로 유지시켰다. 심폐바이패스 시작후 첫 10~15분 동안 정상체온 관류를 시행한 뒤 이어 $20^{\circ}C$(비인두체온) 까지 관류냉각을 시행하였다. $20^{\circ}C$에서 40분 동안 완전순환정지를 시행하였다. 냉각기간 동안 실험군에 따라 $\alpha$-STAT 또는 pH-STAT에 따른 산-염기 조절을 시행하였다. 순환정지후에는 정상 체온까지 재가온하였다. 재가온 종료후 실험동물을 희생시키고 뇌를 추출하였다. 뇌혈류 및 뇌대사 측정은 바이패스전, 냉각전, 순환정지전, 재가온후 15분, 재가온 종료시, 재가온 종료후 1시간에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양군간 냉각시간은 $\alpha$-STAT군이 16.57$\pm$5.13분으로 pH-STAT 군의 22.83$\pm$2.14분 보다 유의하게 짧았으나(P<0.05), 재가온시간에서는 $\alpha$-STAT군(40.0$\pm$5.07분)과 pH-STAT군(46.5$\pm$6.32)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뇌혈류 및 뇌대사에서는 pH-STAT군이 $\alpha$-STAT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뇌혈류량/뇌대사율의 비에서도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실험군내에서 체온변화에 따른 뇌혈류량 및 뇌대사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특히 비인두체온 20도에서는 뇌대사율의 감소가 뇌혈류의 감소 보다 더욱 커서 결과적으로 뇌혈류량/뇌대사율의 비는 1 보다 높은 수치로 기록되었다. 뇌수분양은 두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실험에서 $\alpha$-stat와 pH-STAT 산염기 조절법간에 냉각시간 이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관통성 손상에 의한 심장내 이물 - 수술 치험 1례 - (Intracardiac Foreign Body by Penetrating Cardiac Injury)

  • 정진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5호
    • /
    • pp.929-935
    • /
    • 1990
  • Violence in our society, combined with improving transport system, resulted in increased numbers of patients with cardiac wounds reaching the hospital alive. Most patients with penetrating cardiac injury, rather than blunt injury, present with a syndrome of either hemorrhagic shock or cardiac tamponade. And they should be operated upon as soon as possible. Often the atrioventricular valves and other important cardiac structures are also damaged by the penetrating instruments or missile. Both intracardiac communications and atrioventricular fistulas may result in significant left-to-right shunts accompanied by congestive heart failure, necessitating surgical correction. Usually, retained cardiac foreign bodies, which are almost always bullets or fragments of missiles, may lie within a cardiac chamber or in the myocardium. Emboli of bullets or other missiles from distant sites to the right side of the heart are numerous enough to require attention.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with intracardiac foreign body due to penetrating cardiac injury. A 19 year-old man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due to penetrating anterior chest wound by iron segment. The roentgenogram of the chest revealed a radio-opaque metallic shadow in left lower chest around the cardiac apex, mild blunting of left costophrenic space, but no cardiomegaly. During operation the foreign body was noted to be present in the cardiac chamber by the portable C-arm fluoroscopy. But during the manipulation it moved into left inferior pulmonary vein from left ventricle by way of left atrium. So we could manage to remove it from left inferior pulmonary vein by direct approach to the vein. It was iron segment, sized 0.lcm x0.6cmx0.5cm, with sharp margins. The patient had an uneventful postoperative recovery except for chylopericardium and was discharged.

  • PDF

Dorsal Track Control (DTC): A Modified Surgical Technique for Atraumatic Handling of the Distal Esophagus in Esophagojejunostomy

  • Lehwald-Tywuschik, Nadja;Steinfurth, Fabian;Kropil, Feride;Krieg, Andreas;Sarikaya, Hulya;Knoefel, Wolfram Trudo;Kruger, Martin;Benhidjeb, Tahar;Beshay, Morris;Esch, Jan Schulte am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4호
    • /
    • pp.473-483
    • /
    • 2019
  • Surgical therapy for adenocarcinoma of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II requires distal esophagectomy, in which a transhiatal management of the lower esophagus is critical. The 'dorsal track control' (DTC) maneuver presented here facilitates the atraumatic handling of the distal esophagus, in preparation for a circular-stapled esophagojejunostomy. It is based on a ventral semicircular incision in the distal esophagus, with an intact dorsal wall for traction control of the esophagus. The maneuver facilitates the proper placement of the purse-string suture, up to its tying (around the anvil), thus minimizing the manipulation of the remaining esophagus. Furthermore, the dorsally-exposed inner wall surface of the ventrally-opened esophagus serves as a guiding chute that eases anvil insertion into the esophageal lumen. We performed this novel technique in 21 cases, enabling a safe anastomosis up to 10 cm proximal to the Z-line. No anastomotic insufficiency was observed. The DTC technique improves high transhiatal esophagojejunostomy.

막형산화기에 의한 저체온 순환정지 심장수술시 혈액가스 조절 (Blood Gas Management of a Membrane Oxygenator During Cardiac Surgery with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 김원곤;임청;백인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9-284
    • /
    • 1998
  • 체온을 섭씨 20도 이하로 인위적으로 감소시켜 혈액 순환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초저체온 순환정지법은 심장수술의 한 보조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저체온 상태는 정상적인 생리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이때 두가지 저체온 혈액가스 조절법인 STAT와 pH-STAT 조절법 중 어느 쪽을 택하는 것이 좋으냐에는 이론이 많다. 본실험은 막형 산화기를 사용한 심폐바이패스 생체 실험회로에서 두 저체온 혈액가스 조절법의 기술적인 측면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동물로는 모두 14마리의 어린 돼지를 사용하였는데 두 실험군에 7마리씩 배정하였다. 정중흉골절개술후 동정맥 캐뉼라를 삽관하고 심폐바이패스를 시행하였다. 2500 ml/min의 관류 속도하에서 비인두 체온으로 2$0^{\circ}C$까지 관류냉각을 시행하고 40분 동안 초저체온 순환정지를 시행하였다. 냉각기간 동안 실험군에 따라 STAT 또는 pH-STAT군의 22.83$\pm$2.14분 보다 유의하게 짧았으나, 재가온시간에서는 STAT군(40.0$\pm$5.07분)과 pH-STAT군(46.5$\pm$6.32)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H-STAT에서는 3.0-5.5 % 사이의 이산화탄소가 주입되었고 STAT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추가 투여가 없었다. 산소 투여는 체온 감소와 함께 점진적으로 감소시켰다. 두 실험군 모두에서 PH, 이산화탄소분압 및 산소분압이 만족스럽게 조절되었다.

  • PDF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수술 중의 혈역학적 변수들의 변화양상 및 수술 후 결과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of Hemodynamic Changes during Off-Pump Coronary Bypass Grafting and Their Effects on Postoperative Outcome)

  • 허재학;장지민;김욱성;장우익;이윤석;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8호
    • /
    • pp.576-582
    • /
    • 2003
  •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수술 중에 심장을 조작하는 동안 심근의 수축력이 저하되고 혈역학적 불안정성이 초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중의 여러 가지 혈역학적 지표들의 변화양상을 관찰하고 이러한 혈역학적 지표의 변화가 수술 후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시행한 71명의 관상동맥 우회수술 환자 중에서 심페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시행받은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동맥압, 폐동맥압, 혼합정맥산소포화도, 심박출계수 등을 심장을 들어올리기 전과 목표관상동맥을 노출하여 관상동맥을 고정한 후, 그리고 혈관이식편의 원위부 문합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수술 후에는 CK-MB, Troponin I 등 심장효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수술 후 강심제의 요구량, 수술 후 출혈량 및 수혈량, 수술 후 인공호흡기 보조시간 및 수술 후 중환자실 체류시간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당 평균 원위문합수는 2.8$\pm$0.9개이었다. 심장을 들어올려 고정기로 고정할 때 심장의 모든 위치에서 혈압의 하강과 폐동맥압의 상승이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문합을 시행하는 동안에는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심장효소 농도는 수술 후 1일째 치고치를 보여, CK-MB 29.2$\pm$46.7, troponin 10.69$\pm$0.86이었다 수술 중에 혈역학적 변수들 중에서 심전도의 허혈성 변화와 혈관수축제의 정맥내 일시주사 등이 수술 후 심장효소 농도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심장 효소 이외의 다른 결과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수술 중에 유의한 혈역학적 변화는 심장을 들어올려 고정할 때 발생하였으며, 문합하는 동안에는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중에 심전도의 허혈성 변화가 나타났거나, 혈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혈관수축제의 정맥내 일시주사 등이 필요하였던 군에서 수술 후 심장효소 농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수술 후 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수술 중의 심전도의 허혈성 변화나 혈관수축제의 일시주사의 필요여부가 수술 중의 허혈성 손상을 나태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심장외폰탄수술의 조기성적 (Early Results of Extracardiac Fontan Operation)

  • 김웅한;정도현;김수철;전홍주;이창하;김욱성;오삼세;정철현;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7호
    • /
    • pp.650-659
    • /
    • 1998
  • 부천세종병원에서는 '96년 8월부터 '97년 8월까지 22명의 환자에게 심장외폰탄 (extracardiac Fontan) 수술을 시행하였다. 남자 14명, 여자 8명이었으며, 진단별로는 단심실증 16명(우심실형 12명, 좌심실형 4명), 삼첨판폐쇄증 4명, 좌측이소성(left isomerism), 대혈관전위증, 심실중격결손증이 있으면서 폐동맥협착증이 있는 환자 1명, 그리고 Criss-Cross 심장이면서 비대칭심실이 있는 1명이었다. 연령은 22개월부터 26세까지 분포하였고 폐동맥압은 평균 11.7$\pm$3.1 mmHg이었다. 선행수술로 양방향성대정맥폐동맥단락술(bidirectional cavopulmonary shunt)을 시행한 환자가 15명으로 평균 15.6$\pm$3.4개월의 기간을 두고 수술을 시행하였고, 고전적 글렌 수술 후 14년만에 Fontan 수술을 시행한 환자가 1명 있었다. 전대정맥폐동맥단락술(total cavopulmonary shunt, Kawashima operation)후 폐동-정맥루(pulmonary arteriovenous fistula) 발생으로 평균 37.5$\pm$20개월만에 수술을 받은 환자가 4명 있었고, 2명의 환자는 선행수술 없이 심장외폰탄수술을 시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