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idiida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진주(晉州)와 남해지역(南海地域)의 논거미상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pider Fauna in the Paddy Fields of Chinju and Namhae Areas)

  • 송유한;이영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8-110
    • /
    • 1994
  • 논 주변에 서식하는 거미의 종류, 우점종, 월동상태, 증식상황, 이동상황, 년중 밀도변동상황 등을 파악하여 종합적 해충방제체계에 있어서 논거미의 보호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경남 진주와 남해에서 1987년 12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논주변을 논둑, 보리밭, 휴한답, 본답 등으로 나누어 월 2${\sim}$4회 채집하고 종류와, 각 발육태별 밀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거미는 총 10과 31속 34종이 채집되며, 논둑에서 34종, 보리밭에서 16종, 휴한답에서 17종, 본답에서 18종으로 나타나 논둑에서 종 구성이 다양하였다. 2. 진주와 남해의 각 채집장소별 논둑과 보리밭에서는 별늑대거미(Pardosa astrigera L. Koch), 휴한답에서는 황산적거미(Pirata subpiraticus (B. et S.)), 본답에서는 턱거미(Pachygnatha clercki Sunduvall)로 나타났다. 3. 논 주변 거미의 서식장소, 월동태, 거미줄 유무등 생태학적 특성과 과(科)(Family) 또는 속(屬)(Genera) 수준의 분류학적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9개의 거미군(Group)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Group 1 - 부이표늑대거미류(Pirata spp.); Group 2 - 턱거미류(Pachygnatha clercki); Group 3 - 소형정주성거미류(Theridiidae, Erigonidae, Linypiidae); Group 4 - 갈거미류(Tetragnatha spp.); Group 5 - 황닷거미류(Dolomedes surfureus); Group 6 - 긴마디늑대거미류(Pardosa spp.). Group 7 - 깡충거미류(Salticidae); Group 8 - 게거미류(Thomisidae); Group 9 - 염낭거미류(Clubionidae); 4. 9개 거미군 중 1-5군은 호습성 거미류로서 본 답기에 벼해충의 중요한 천적으로 여겨지며, 6-9군은 건조한 곳을 선호하는 거미류로서 논둑에서 월동중인 애멸구와 끝동매미충의 천적으로서 역할이 클 것으로 인식되었다.

  • PDF

점봉산의 거미상 (Spider Fauna in Mt. Jumbong from Korea)

  • 이준호;강방훈;박홍현;남궁준;김승태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32
    • /
    • 2000
  • 강원도 양양군과 인제군에 걸쳐 설악산 국립공원의 남부를 차지하고 있는 점봉산게 서식하는 거미류는 미확정 5종을 포함하여 총 27과 88녹 144종으로 나타났다. 풍부한 종 구성을 갖는 우점과의 순위는 접시거미과가 21종 (14.6%), 왕거미과 20종(13.9%), 꼬마거미과 16종(11.1%), 깡충거미과 12종(8.3%)등의 순이었고, 나머지 과는 미소 하였다. 생활형에 따르면 조망성거미는 89종(62.2%)으로 배회성 거미 55종(37.8%)보다 우세하였다. 거미류의 생태적 분포면에서 보면 구북계(Pal. spp.)가 16종 (11.2%), 전북계(Hol. spp.) 7종(4.9%) 범세계종(Cos. spp.)이 1종(0.7%)이고 한국고유종(Kor. spp.)은 25종(미확정 5종 포함, 17.4%)이었고 동양계(Or. spp.)는 한 종도 채집되지 않았다. 따라서 점봉산은 한국고유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가장 한국적 특성을 잘 반영하는 동시에 북방계(Pal. + Hol., 16.1%)의 거미가 우세한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접국가와의 공통성을 보면, 한국과 일본, 한국과 중국, 한국과 러시아 (사할린과 시베리아 포함)의 공통종은 각각 115종(80.4%), 98종(68.5%), 48종(33.6%)으로 일본, 중국과 공통성이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한·일·중·러 공통종은 39종 (27.3%)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발치 정도와 방향에 따른 물리적 환경 변화가 생물상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자연환경을 보전을 위해서는 개발의 정도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생물상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거미류는 종다양성과 발생밀도가 자연상태에서 매우 높고 발견이 용이하기 때문에 조사의 진행정도에 따라 환경오염 등의 환경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생물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