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lypteridacea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Amblovenatum immersum (Thelypteridaceae): A new record for the flora of Vietnam

  • SON, Doan Hoang;HAI, Do Van;QUANG, Bui Hong;CHEN, Cheng Wei;DUONG, La Anh;HIEU, Trinh Van;CHOUDHARY, Ritesh Kumar;LEE, Joongku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08-113
    • /
    • 2022
  • Amblovenatum immersum (Blume) Mazumdar (Thelypteridaceae) is newly recorded in Vietnam. It is similar to A. terminans (Panigrahi) J. P. Roux in its woody rhizome and cristate spores but differs in terms of its plant size, lobed pinnae, lobed segments, veinlets, sori and indusia. It was previously found to exist in China, India, Indonesia, Malaysia, Myanmar, Philippines, Sri Lanka, and Thailand as well as in east Africa, tropical America, northern Australia and Micronesia.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detailed description, photos, and line drawing of the species. Furthermore, a comparison of the diagnostic characters with the closely related species in Vietnam A. terminans is provided.

한국산 미기록 양치식물 : 검은별고사리(처녀고사리과)와 계곡고사리(관중과) (Unrecorded fern species from Korean flora: Thelypteris interrupta (Thelypteridaceae) and Dryopteris subexaltata (Dryopteridaceae))

  • 문명옥;김찬수;강영제;김철환;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81-489
    • /
    • 2002
  • 제주도의 수악계곡과 김녕리에 생육하는 검은별고사리[Thelypteris interrupta (Willd.) K. Iwats.] [처녀고사리과]와 계곡고사리[Dryopteris subexaltata (H. Christ) C. Chr.] [관중과]를 채집하여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하였다. 검은별고사리는 별고사리[T. acuminata (Houtt.) C. V. Morton]와 유사하지만 지하 줄기와 엽병 기부 및 포자의 색깔, 잎 이면의 선모의 유무, 포자낭군의 배열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계곡고사리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D. sparsa (D. Don) Kuntze, D. sabaei (Franch. & Sav.) C. Chr., D. yakusilvicola Sa. Kurata와 유사하지만 엽병 기부의 무성아의 유무, 우편의 선단부 모양, 포자낭군의 분포, 포막의 형태에서 차이를 보였다.

한국산 처녀고사리과 식물의 포자형태 (Spore morphology of Korean Thelypteridaceae)

  • 문수미;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59-476
    • /
    • 2008
  • 한국산 처녀고사리과 6속 17종에 대한 포자의 형태,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을 관찰하여 기재 및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포자의 형태는 모두 단립으로 좌우상칭의 단지형이었다. perispore는 모든 종에 존재하였으며, 지네고사리, 참지네고사리 및 제비꼬리고사리는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가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분류군에서는 perispore와 exospore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어 속간 또는 일부 속에서는 종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별고사리속과 진퍼리고사리속의 경우, 기존의 보고에서 exospore와 perispore의 구분이 어렵다고 하였으나, perispore의 경우, 별고사리와 탐라별고사리는 계관상 돌기를, 검은별고사리와 진퍼리고사리는 자상 돌기를 가졌으며, exospore의 경우 별고사리와 탐라별고사리는 미립상 돌기를, 검은별고사리는 과립상 돌기를, 그리고 진퍼리고사리는 추문상 무늬를 가져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시고사리속은 exospore에 망상 돌기가 있다는 기존의 보고와는 달리 미립상 돌기가 분포하였다. 사다리고사리, 탐라사다리고사리 및 드문고사리는 모두 망상 돌기의 perispore와 추문상 무늬의 exospore를 가져서 포자 형태로 식별이 불가능하였다.

라오스 미기록 양치식물 (1) (New records of ferns in the flora of Laos (1))

  • 황인천;문명옥;;윤나래;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09-113
    • /
    • 2015
  • 2007년부터 2008년에 걸친 라오스 지역 채집을 통하여 라오스 미기록 양치식물 15종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은 전부 동남아시아 및 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Asplenicaceae (Asplenium delavayi, A. rockii), Athyriaceae (Anisocampium cuspidatum), Dennstaedtiaceae (Microlepia hookeriana, Pteridium revolutum), Dryopteridaceae (Didymochlaena truncatula, Dryopteris cochleata, Polystichum biaristatum, P. lindsaefolium), Gleicheniaceae (Dicranopteris curranii), Hypodematiaceae (Hypodematium crenatum), Lindsaeaceae (Lindsaea heterophylla), Pteridaceae (Pteris decrescens), Polypodiaceae (Pyrrosia nummulariifolia) 및 Thelypteridaceae (Cyclosorus dentatus).

한국산 미기록 양치식물 : 큰별고사리 [Cyclosorus penangianus (Hook.) Copel.] (처녀고사리과), 오름깃고사리 [Pteris fauriei Hieron.] (봉의꼬리과) (Two unrecorded fern species from Korean flora: Cyclosorus penangianus (Hook.) Copel. (Thelypteridaceae) and Pteris fauriei Hieron. (Pteridaceae))

  • 문명옥;윤나래;라은화;임진아;김대신;김찬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57-260
    • /
    • 2014
  • 제주도 서귀포시 동홍동에서 자라는 것으로 확인된 큰별고사리[Cyclosorus penangianus (Hook.) Copel.]와 제주도 안덕면 광평리 오름 일대에서 발견된 오름깃고사리[Pteris fauriei Hieron.]를 채집하여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하였다. 큰별고사리는 국내에 분포하는 별고사리[C. acuminatus (Houtt.) Nakai], 검은별고사리[C. interruptus (Willd.) H.Ito], 탐라별고사리[C. dentatus (Forssk.) Ching]와 달리 포막이 전혀 없으며, 각 맥과 열편의 만입부에서 유합하는 맥의 수가 4개 이상으로 속내 다른 분류군과 뚜렷하게 구별된다. 오름깃고사리는 봉의꼬리속 다른 분류군과 달리 최종열편이 전연이고, 맥이 가장자리에 닿으며, 엽병 인편의 가장자리가 막질성인 점으로 뚜렷이 구별된다. 미기록 두 분류군에 대해 형질을 기재하고 사진 및 근연 분류군 간의 차이를 검색표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