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 skin safety

검색결과 726건 처리시간 0.025초

External Application of Herbal Medicines for Acne Vulgar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 Sung, Soo-Hyun;Choi, Gwang-Ho;Lee, Nam-Woo;Shin, Byung-Cheul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17
    • /
    • 2020
  • Aim of the study: The objective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o critically evaluate the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external application of herbal medicines (EAHM) for acne vurgalis (AV). Methods: English, Chinese and Korean language databases were searched up to May 2018. Randomized clinical trials (RCTs) that reported the effects of EAHM for AV were included and analysed. Results: A total of 10 randomized trials with 656 AV patients were identified. A meta-analysis of two RCTs indicated that EAH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primary outcome 'global assessment' compared with placebo (mean difference (MD) = -2.62, confidence interval (CI) = -4.84 to -0.40, p = 0.02). Furthermore, data extracted from two RCTs showed that EAHM significantly reduce primary outcome 'inflammatory lesion count of acne' (MD = -1.25, CI = -1.68 to -0.83, p < 0.00001) and 'non-inflammatory lesion count of acne' (MD = -1.32, CI = -1.75 to -0.90, p < 0.0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groups in secondary outcome 'sebum of skin' (MD = -0.21, CI = -0.53 to 0.11, p = 0.20) and 'patient-reported changes in symptom' (relative risk (RR) = 2.56, CI = 0.43 to 15.22, p = 0.30). No severe adverse events (AEs) were found and no treatment was stopped due to AEs of EAHM. Conclusions: EAHM seems to have affirmative effects, but quality of evidence, and non-standardized use of EAHM make our conclusion weak. Our suggestion is rigorously designed RCTs and standardization of EAHM are required in the future.

뇌졸중 환자의 가정간호중재 프로토콜 개발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me Care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 for Stroke Patients)

  • 유지수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2-136
    • /
    • 2000
  • Stroke patient needs rehabilitation after receiving an acute treatment in a hospital. When stroke patient gets involved in an early discharge program, home care nurse plays a pivotal role to make them to gain a full strength and to come back to his/her prior life before he/she is sick.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home care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 for home care nurses to perform home care nursing autonomously, home care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 for stroke patient is rar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home care nursing protocol that is applicable for stroke patients in home care nursing area. 41 home care nursing charts for stroke patients registered in home care nursing agencies from December 1st 1994 to August 31st 1999 at Y hospitals in Seoul and Won-Ju city were analyzed. 44 home care nurses who were having over three years' experience on stroke pati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user validity validati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28 nursing diagnose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evaluation of nursing diagnoses of stroke patients presented in a previous literature and case studies on home care nursing. 2. 17 nursing diagnoses were classifi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of home care nursing charts for 41 stroke patients who had received home care nursing. The order of sequence was like these: impaired skin integrity, risk for infection, nutritional deficit, impaired physical mobility, constipation, knowledge deficit,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anxiety in family members, risk for aspiration, self care deficit, altered urinary elimination, ineffective individual coping, social isolation, risk for injury, self-esteem disturbance, impaired verbal communication, fatigue of family caregiver. 3. Based on validation on expert and user validities, 44 nursing interventions which were above ICV=.80 were chosen. 4. Nursing intervention protocols which showed above ICV=.90 were developed and were like these; pressure ulcer care, position change, preventive care for circulatory dysfunction, tube care : catheter, vital sign monitor, constipation/impaction management, artificial airway management, suction of airway secre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 safety, and fall prevention.

  • PDF

Outcome of ultrasonographic imaging in infants with sacral dimple

  • Choi, Jin Hyuk;Lee, Taekwan;Kwon, Hyeok Hee;You, Sun Kyoung;Kang, Joon W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6호
    • /
    • pp.194-199
    • /
    • 2018
  • Purpose: Sacral dimples are a common cutaneous anomaly in infants. Spine ultrasonography (USG) is an effective and safe screening tool for patients with a sacral dimp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in patients with an isolated sacral dimple and to review the management of spinal cord abnormalities identified with USG. Methods: We reviewed clinical records and collected data on admissions for a sacral dimple from March 2014 through February 2017 that were evaluated with spine USG by a pediatric radiologist. During the same period, patients who were admitted for other complaints, but were found to have a sacral dimple were also included. Results: This study included 230 infants under 6-months-old (130 males and 100 females; mean age $52.8{\pm}42.6days$). Thirty-one infants with a sacral dimple had an echogenic filum terminale, and 57 children had a filar cyst. Twenty-seven patients had a low-lying spinal cord, and only one patient was suspected of having a tethered cord. Follow-up spine USG was performed in 28 patients, which showed normalization or insignificant change. Conclusion: In this study, all but one infant with a sacral dimple had benign imaging findings. USG can be recommended in infants with a sacral dimple for its convenience and safety.

기니픽 및 마우스에서 cis-Malonato[(4R,5R)-4,5-bis(aminomethyl)-2-isopropyl-1,3-dioxolane]platinum(II)(SKI 2053R)의 항원성시험 (Antigenicity test of cis-Malonato[(4R,5R)-4,5-bis(aminomethyl)-2-isopropyl-1,3-dioxolane]platinum(II)(SKI 2053R) in Guinea Pigs and Mice)

  • 이영순;강경선;신동진;김형욱;조재진;김배환;남기환;서광원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255-263
    • /
    • 1992
  • SKI 2053R and SKI 2053R-human serum albumin(HSA) mixture were examined for their antigenicity in Hartley guinea pigs as well as C57BL/6 mice in comparison with distilled water (DW), HSA and DW-HSA conjugate. Several antigenicity tests, including acitive systemic anaphylaxis(ASA), passive systemic anaphylaxis (PSA),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and indirect hamagglutination test (IHA),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Regulations of National Institute of Safety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guinea pigs were sensitized with SKI2053R or SKI2053R-HSA emulsified with complete Freund's adjuvant(CFA), these animals showed negative reactions in ASA and PSA. 2.No blue spot was observed on the back skin of guinea pigs in the PCA test. 3. Sera from guinea pigs revealed a negative reaction in IHA. 4.Guinea pigs were sensitized by HSA emulsified with CFA as a positive control, and these animals showed positive reactions in ASA, PSA, PCA, and IHA. As shown above, SKI2053R was considered to possess neither antigenic, nor haptenic properties, and confirmed not to have the haemagglutinating activity.

  • PDF

상악암에 대한 집합적 치료 (Multidisciplinary Treatment for Maxillary Cancer)

  • 조재식;김성훈;박은호;이종원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95-95
    • /
    • 1993
  • 상악암은 비교적 진행되어서야 발견되는 수가 많지만 경부 임파절 전이나 원격 전이는 다른 두경부 암에 비해 흔하지 않기 때문에 종양의 국소 억제가 치료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그러나, 상악동은 안와나 두개저에 접하고 있어서 다른 악성 종양처럼 충분하게 안전한 절제연을 두고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한 수가 많다. 한편 대부분의 시설에서 수술과 방사선요법을 단독 또는 병행요법으로 시행하고 있는데 그 치료성적이 보고자에 따라 다양하며 비교적 좋지 못한 형편이다. 저자들은 88년 t월부터 91년 12월까지 상악암으로 진단받고 동맥내 항암제 주입요법, 방사선 치료및 수술을 포함한 집합적 치료를 시행하였던 16례(전례 편평상피암, T2 1례, T3 6례, T4 9례, 평균 연령 57.2세)에 대하여 그 결과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Kaplan-Meier법에 의한 5년 생존률은 51.95%였으며 안구나 구개, 안면 피부등을 일부 보존할 수 있었고 기능적으로도 만족할 만하였다.

  • PDF

실험실에서 사무실로의 나노입자의 잠재적 노출 (Potential Exposure of Nanoparticles from Laboratory to Office)

  • 신혁진;김영훈
    • 청정기술
    • /
    • 제28권2호
    • /
    • pp.123-130
    • /
    • 2022
  • 나노입자는 화학, 의학, 환경, 정보통신 등 다양한 생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나노물질 사용량의 증가는 작업장 및 환경중 나노물질 노출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관련 연구는 이제 초기연구에 그치고 있다. 나노제품내 함유된 100 nm 이하의 나노입자가 비의도적으로 배출되게 되면, 호흡이나 피부노출을 통해 인체에 잠재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로부터 사무실로의 나노입자의 잠재적 노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나노입자 안전 가이드라인을 제언하고자 한다. 실험 진행 중 대기로의 나노입자 발생을 확인하기 위해 나노입자 포집기를 사용하였으며, 실시간 입자측정기를 통해 실험실과 사무실에서 나노입자 농도가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복에 부착 된 나노입자가 실험실 외부로 이동한다고 가정하고, 나노 카본블랙을 부착시킨 실험복을 일정시간 털어준 뒤 실험복내 잔류된 입자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복에 부착된 나노입자는 실험자의 동선을 따라 실험실에서 사무실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나노입자를 취급하는 실험실의 의복에 관한 안전 가이드라인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말뚝의 횡방향 이격거리를 고려한 터널굴착이 인접 단독말뚝 및 군말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unnelling to adjacent single piles and pile groups considering the transverse distance of pile tips from the tunnel)

  • 전영진;김성희;이철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637-6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말뚝에 인접한 터널시공으로 인한 말뚝의 거동을 터널로부터 말뚝선단의 횡방향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단독말뚝 및 간격 2.5d인 $5{\times}5$ 군말뚝을 고려하였다. 여기서 d는 말뚝의 직경을 의미한다. 수치해석에서는 순수하게 터널굴착(tunnelling-induced) 으로 인해 유발된 말뚝침하, 전단응력, 상대변위, 축력분포, 겉보기안전율 및 터널굴착 영향권을 고찰하였다. 말뚝이 터널굴착으로 인한 지반침하 영향권 내부에 존재할 경우 말뚝두부의 침하는 Greenfield 조건의 지표면 침하보다 최대 대략 111% 크게 산정되었고, 군말뚝의 경우 단독말뚝과 비교하여 말뚝침하가 크고 축력이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군말뚝내의 말뚝이 인접지반과 함께 블록(block)의 형태로 거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말뚝의 상부에서는 상향의 마찰 저항력이 발생하고 말뚝의 하부에서는 하향의 마찰 저항력이 발생하여 순수하게 터널굴착(tunnelling-induced)으로 인해 말뚝에는 인장력을 발생시켰다. 한편 말뚝이 영향권 외부에 존재할 경우 말뚝에는 tunnelling-induced 압축력이 발생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된 하중-침하 관계로부터 말뚝의 겉보기안전율을 계산한 결과 터널굴착 이전에 비해 대략 45%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는 말뚝의 사용성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반침하 영향권에 따른 단독말뚝 및 군말뚝의 거동을 심도 있게 고찰하였다.

LC-MS/MS에 의한 동물 혈청 내 피프로닐 및 피프로닐 설폰 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Fipronil and Fipronil-Sulfone in Animal Serum by LC-MS/MS)

  • 이정선;박나연;정웅;고영림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6호
    • /
    • pp.415-419
    • /
    • 2019
  • 피프로닐은 N-페닐피라졸계의 살충제로 해충 방지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WHO에서는 피프로닐을 발암물질 2급으로 분류 및 규제하고 있다. 피프로닐은 급성중독 시에 현기증, 근육약화, 호흡곤란, 피부자극, 심박수 증가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피프로닐 설폰 또한 이와 비슷한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피프로닐이 함유된 계란이 유통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독성 문제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 혈청 시료 중 피프로닐 및 피프로닐 설폰의 노출량 분석법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동상에 따른 차이 및 액체-액체 추출과 고체상추출 전처리 방법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동상은 증류수(A)와 아세토니트릴(B)을 선정하였고, 전처리 방법은 고체상추출로 진행하였다. 분석법검증을 수행한 결과, 일내/일간 정확도는 82.2~114.1% 이었고, 정밀도는 20% 이하로 나타났다. 검출한계는 피프로닐 0.027 ng/ml, 피프로닐 설폰은 0.087 ng/mL 이었고, 검량선 회귀식의 결정계수(r2)는 0.99 이상으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동물 혈청 중 피프로닐 및 피프로닐 설폰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일부 동물 혈청에서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법을 이용하여 동물 혈청뿐만 아니라 피프로닐 및 피프로닐 설폰의 인체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법으로도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문신시술의 비범죄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 (Critical Review and Alternatives to the Decriminalization of Tattooing)

  • 심영주;이상한
    • 의료법학
    • /
    • 제23권1호
    • /
    • pp.149-176
    • /
    • 2022
  • 우리나라 법제는 비의료인에 의한 의료행위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는데, 문신시술의 경우 의료행위로 분류되어 비의료인이 문신시술시 무면허의료행위로 처벌받게 된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문신시술을 의료인에게 받는 경우가 매우 드물고, 문신시술을 업으로 하고 있는 비의료인들은 직업선택의 자유 침해 등을 주장하며 비의료인에 의한 문신시술의 의료행위성을 부정하고 비범죄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문신시술은 바늘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침습이 있어 의료인이 행하지 않으면 보건위생상 위해가 발생할 수 있는 행위로 볼 수 있고 감염 예방 등을 위해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적인 부분과 법제와의 괴리를 고려할 때, 보건의료적 관점에서 안전성을 고려하면서도, 사실상 의료인에 의해 행해지는 문신시술이 많지 않은 현실을 고려하여 비의료인에 의한 문신시술을 제도화하는 방안 등에 대해 전향적으로 생각을 해 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문신시술이 의료행위에 해당하는지 법제를 검토하고, 보건의료적 관점에서 문제가 된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현실을 반영하면서도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대안으로 3단계로 나누어 단계화된 접근을 제시하였다.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효과를 갖는 다기능성 천연 자외선 차단제(BHC-S) 개발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Natural Sunscreen (BHC-S) Having Sunscreening and Anti-wrinkle)

  • 김철;정새별;임경현;강명환;안준혁;김진희;이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1-327
    • /
    • 2017
  • 본 연구는 기존의 인공적으로 합성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대체하는 안정적인 식물유래 천연 자외선 차단제(BHC-S)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땅콩싹추출물, 병출추출물 및 곰피추출물로 구성된 천연 자외선 차단제(BHC-S)는 합성 자외선 차단제인 Parsol MCX-XR (OMC)와 동등 수준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질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가지며, 주름개선 등 다기능성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자외선 차단 및 항노화을 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